Pe-8
[image]
Petlyakov Pe-8, Петляков Пе-8
1. 개요
제2차 세계대전때 개발된 소련 공군의 4발 중(重)폭격기. 소련군은 이전에도 TB-3 같은 4발 중폭격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차대전 때 소련에서 개발된 4발 중폭격기로는 이게 유일하다.
2. 상세
30년대 중반즘 해서 소련이 보유한 투폴레프 TB-3 4발 중폭격기가 구식이 되자 소련 공군에서 TB-3의 두배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폭격기를 요구했고 1934년 7월에 투폴레프 설계국의 페틀리야코프가 개발에 착수했다. ANT-42로 명명되었다가 후에 TB-7로 명명이 되고 또 Pe-8로 명명되었다. 투폴레프와 페틀리야코프는 TB-3의 개발에도 참여했었다.
[image]
ANT-42의 모습.
첫 프로토타입의 처녀비행은 1936년 12월 27일에 했었지만 몇년동안 더이상의 개발에 진전이 없었다. 스탈린이 1937년 10월에 투폴레프와 페틀리야코프를 둘 다 굴라그에 보내버렸기 때문. 그래서 두번째 프로토타입의 제조는 36년 4월부터 했지만 비행은 1938년 7월 16일에 있었다.
엔진의 수급과 성능 문제가 속을 썩여서 밍기적대다가 1940년대에 다시 본격적인 생산에 착수했다.
이때 개발된 바리에이션중 항공 디젤 버전이 둘 있는데, 그중 하나가 Yer-2에 쓰인 엔진과 같은 엔진을 달고 있었다.[1]
페틀리야코프가 1942년에 Pe-2 추락사고로 죽자 그를 기려 폭격기를 Pe-8로 다시 명명했다. 총 93대가 생산되었다고. 이중에는 특수수송기 버전인 Pe-8ON과 폭탄창을 들어내고 내부를 호화롭게 꾸민 강철의 대원수 전용기 버전이 1대 있었다.
소련의 시궁창적인 상황과, 비행기 추락 사고로 안타깝게 사망해버린 페틀랴코프 때문에 생산대수도 적고 제대로 운용되지 못했지만 1942년까진 다른 4발 폭격기와 비교하면 꿇리지 않거나 폭장량과 항속거리에서 더 우월한 매우 강력한 기체였다. 독일은 전쟁이 끝나는 그날까지 4발 폭격기를 개발해놓고도 배치하지 못했다.[2] 일본은 개발을 했지만 생산하지 못했으며 이탈리아 정도나 배치가 가능했다.
후기형에 가면 Ash-82(La-5에도 장착된)를 장착한 형태가 생산되었다. 6톤의 폭장량으로 5,600km의 항속거리를 가졌고 소련의 항공기술로는 매우 강력한 기체였으나 역시 페틀랴코프의 사망 때문에 일체의 개량계획이나 후속기 개발이 취소되고 B-29의 카피인 Tu-4가 생산되게 된다.[3]
3. 실전
바르바로사 작전 때 참여했다. 첫 실전은 1941년 8월 10일에 TB-7 8대가 Yer-2 폭격기들과 함께 베를린을 폭격하러 갔지만 한 대는 바로 추락하고 네 대만이 베를린에 도착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복귀중 핀란드에 한 대, 에스토니아에 한 대가 불시착했다. 귀환을 한 기체는 단 두 대 뿐이었다.
참고로 에스토니아에 불시착한 기체는 소련공군 제 81 장거리폭격기 사단의 비행단장 기체로, 베를린으로 가던길에 발트해 한가운데에서 같은편 해군 전투기 I-16에게 오인사격당해 엔진 하나를 잃었고,
거기다가 하필 베를린에서 대구경 대공포(당시 독일측 주력 88mm로 추정)에 연료탱크가 직격당했다. 다행히 불이 붙거나 하진 않았지만 덕분에 점령지 근처도 못 갈 정도로 연료가 다 새서 겨우 에스토니아로 갔다고.
그 외에도 여러번 작전에 참여했었다.
4. 제원
(Pe-8/AM-35A 기준)
5. 참고 링크
6. 대중 매체
워 썬더에 등장한다. 3랭크 첫번째로 4발 중폭격기로 등장. 크고 아름다운 5톤짜리 폭장 FAB-5000을 탑재할 수 있다. 일명 '''혁명 5톤.''' 또는 '''혁명의 눈물.'''
절대로 워썬더 리얼리스틱 지상전에서 옹기종기 모여있는 적 전차 근처에 돌아다니면 안된다. 아군 Pe-8이 던진 혁명5톤에 같이 동귀어진 하는수가 있다(...)
해상전에서도 5톤은 대충 던져도 구축함이고 중순양함이고 뭐고 다 박살낸다. 다만 해상전은 방공망이 워낙 두꺼워서 성공 확률은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