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EMANI)
[image]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은 dj TAKA. 전형적인 타카식 트랜스 악곡이다. 곡 전개가 ΕΛΠΙΣ와 상당히 비슷하다.
Hard패턴 97.9% 영상.
파스텔군과 갓키 박사의 두근두근 리듬 연구소 가동 시점 최종 해금곡으로 엄브렐러 벨을 개발하면 해금된다. 볼짜2 가동 이후 키 40개로 해금 가능. 이는 두번째로 많은 키를 요구하는 악곡인데 가장 많은 키를 요구하는 곡은 Rebellio로 무려 99개. dj TAKA가 December Breeze 이후로 오랜만에 제공한 보스곡 포지션의 악곡이다. 이 곡을 해금하면 개러지에서 선곡 BGM을 구입할 수 있다.
CLAMARE, 伐折羅-vajra-에 이어 난이도가 6-9-12인 악곡이다. 직전 해금곡인 SERVI가 동시치기 장난과 슬라이드로 난이도를 높였다면 이 곡은 기존의 고난이도 악곡처럼 트릴과 체인풀린 16비트로 난이도를 높였다. 특히 dj TAKA의 11/12레벨 악곡들에서 볼 수 있는 패턴들이 혼합되어서 나와서 어디서 많이 해본듯한 패턴이 잔뜩 나온다는게 특징. 때문에 패턴이 트리키하다기보다는 정직하게 정면승부를 하는 패턴이라고 볼 수 있겠다. 특히 체인 풀린 16비트가 주가 되니 해당 패턴에 강한 유저라면 어렵지 않게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베이직과 미디엄은 동레벨 중 중간쯤 되는 체감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는 하드의 난이도가 구 12, 13레벨에 해당되는 15레벨로 배정되었다.
SPA 정배치 영상
전반적으로 타카가 투덱에 제공한 여타 12짜리 곡들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속도의 무난한 난타패턴이 이어지다가 정배기준 1번과 7번키에서 번갈아서 차지노트가 나오는데 랜덤을 걸 시 이 부분이 은근히 어려워진다. 다만 다른 부분은 랜덤을 걸어도 딱히 어려워지지는 않는다. 클리어에 있어 가장 고비가 되는 부분은 연타가 동반되며 패턴의 난이도가 상승하는 극후반부인데 연타가 나오기 전까지 게이지를 충분히 비축해둬야 안정적으로 클리어가 가능하다. 정배는 오른손이 많이 혹사당하는 보면이므로 오른손이 약하면 랜덤을 거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상술했던 차지노트 지대만 잘 나온다면 오히려 랜덤이 정배보다 나을 수도 있다. 노멀/하드게이지 모두 지력 D 정도로 추정된다. True Blue, AA, TIEFSEE 등과 비슷한 수준.
DPA 정배치 영상
2020년 9월 16일,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을 통해 이식되었다.
보통 난이도가 8레벨로 책정되었음에도 셔플스텝이 일절 등장하지 않고 대부분이 4비트 탭으로 때워진 반면 간단 난이도에서만 셔플스텝이 등장한다. BEMANIWiki에서는 '''난이도가 역전되었다'''고 할 정도. 그 덕에 채보에 대한 평가는 매우 안 좋다.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은 dj TAKA. 전형적인 타카식 트랜스 악곡이다. 곡 전개가 ΕΛΠΙΣ와 상당히 비슷하다.
2. 리플렉 비트 시리즈
Hard패턴 97.9% 영상.
파스텔군과 갓키 박사의 두근두근 리듬 연구소 가동 시점 최종 해금곡으로 엄브렐러 벨을 개발하면 해금된다. 볼짜2 가동 이후 키 40개로 해금 가능. 이는 두번째로 많은 키를 요구하는 악곡인데 가장 많은 키를 요구하는 곡은 Rebellio로 무려 99개. dj TAKA가 December Breeze 이후로 오랜만에 제공한 보스곡 포지션의 악곡이다. 이 곡을 해금하면 개러지에서 선곡 BGM을 구입할 수 있다.
CLAMARE, 伐折羅-vajra-에 이어 난이도가 6-9-12인 악곡이다. 직전 해금곡인 SERVI가 동시치기 장난과 슬라이드로 난이도를 높였다면 이 곡은 기존의 고난이도 악곡처럼 트릴과 체인풀린 16비트로 난이도를 높였다. 특히 dj TAKA의 11/12레벨 악곡들에서 볼 수 있는 패턴들이 혼합되어서 나와서 어디서 많이 해본듯한 패턴이 잔뜩 나온다는게 특징. 때문에 패턴이 트리키하다기보다는 정직하게 정면승부를 하는 패턴이라고 볼 수 있겠다. 특히 체인 풀린 16비트가 주가 되니 해당 패턴에 강한 유저라면 어렵지 않게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베이직과 미디엄은 동레벨 중 중간쯤 되는 체감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는 하드의 난이도가 구 12, 13레벨에 해당되는 15레벨로 배정되었다.
3. beatmania IIDX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24 SINOBUZ ~
- 가정용판 수록 : INFINITAS (vol.12)
SPA 정배치 영상
전반적으로 타카가 투덱에 제공한 여타 12짜리 곡들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속도의 무난한 난타패턴이 이어지다가 정배기준 1번과 7번키에서 번갈아서 차지노트가 나오는데 랜덤을 걸 시 이 부분이 은근히 어려워진다. 다만 다른 부분은 랜덤을 걸어도 딱히 어려워지지는 않는다. 클리어에 있어 가장 고비가 되는 부분은 연타가 동반되며 패턴의 난이도가 상승하는 극후반부인데 연타가 나오기 전까지 게이지를 충분히 비축해둬야 안정적으로 클리어가 가능하다. 정배는 오른손이 많이 혹사당하는 보면이므로 오른손이 약하면 랜덤을 거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상술했던 차지노트 지대만 잘 나온다면 오히려 랜덤이 정배보다 나을 수도 있다. 노멀/하드게이지 모두 지력 D 정도로 추정된다. True Blue, AA, TIEFSEE 등과 비슷한 수준.
DPA 정배치 영상
4. DANCERUSH
2020년 9월 16일,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을 통해 이식되었다.
보통 난이도가 8레벨로 책정되었음에도 셔플스텝이 일절 등장하지 않고 대부분이 4비트 탭으로 때워진 반면 간단 난이도에서만 셔플스텝이 등장한다. BEMANIWiki에서는 '''난이도가 역전되었다'''고 할 정도. 그 덕에 채보에 대한 평가는 매우 안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