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부발전
[image]
▲ 충청남도 보령시 보령북로 160 (대천동)에 위치한 한국중부발전(주) 본사 사옥.
'''삶의 가치를 높이는 글로벌 에너지 리더'''
한국중부발전(주)의 캐치프레이즈
[clearfix]
1. 개요
1999년 1월 21일,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전력산업 구조개편 기본계획인 한국전력공사의 발전부문 및 배전부문의 민영화 계획과 2000년 12월 23일자로 의결·공포된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관한법률'에 따른 한국전력공사의 물적분할에 의해 2001년 4월 2일에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 본사는 충청남도 보령시 보령북로 160 (대천동)에 있다.
화력발전소 중 가장 큰 규모였던[1] 보령화력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또한 5개 발전사 중 해외사업이 가장 활발하고 성과도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인도네시아 찌레본, 탄중자티 화력발전소와 왐푸, 땅가무스 수력발전소 등이 대표적이다.
총 발전설비용량은 8,434MW이며 국내 전력공급의 9.7%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가 최대주주로 100%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2. 역사
1961년 7월 1일, 기존 남한 지역에 남아있던 3개 전력회사(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를 통합시켜서 만든 '''한국전력주식회사'''에서 시작된다. 이후 전력산업구조개편에 따라 발전부문은 한국전력으로부터 따로 떨어져 나오게 되었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사실 구조개편의 목적은 전력시장 민영화에 있었다. 당시 한국전력 자체만 놓고 보자면 국내 1위의 매출과 이익을 내고 있는 명실상부 현재 삼성전자와 같은 취급을 받는 대기업이었고 민영화를 시키기에 너무나 대규모의 기업이었기에 3단계에 거쳐 시장분리계획을 하게 된다. 그 1단계가 5개 발전사인 남부, 남동, 동서, 서부, 중부발전으로 발전부문을 나누어 경쟁체제를 가지게 하였다. 다만 그 이상의 시장분할은 반발이 심한 것과 더불어 국내 시장에 있어 시장분할은 문제점이 많아 1단계에서 보류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3. 역대 사장
- 김봉일 (2001~2002)
- 김영철 (2002~2005)
- 정장섭 (2005~2008)
- 배성기 (2008~2010)
- 남인석 (2010~2012)
- 최평락 (2012~2015)
- 이정릉 사장대행 (2015~2016)
- 정창길 (2016~2017)
- 장성익 사장대행 (2017~2018)
- 박형구 (2018~ )
4. 사업소
- 서울건설본부: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56, 국내 최초의 화력발전소였으나, 최근 폐지 후 2019년 8월까지 도심 지하화 발전소 건설 중. 도심에 건설되는 최대 규모의 지하발전소이다. 본래 2018년 9월까지였으나 준공기한이 연장되었다. 지하화되고 남은 자리는 상수-당인동과 한강을 이어줄 수 있도록 공원화되어 민간개방한다고. 폐지된 발전소 건물은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으로 문화창작발전소로 꾸민다고 한다.
- 인천발전본부: 인천광역시 서구 중봉대로405번길 411 (10기/ 총 1,462.748MW) 수도권 전력공급 핵심으로서 인천 내 화력발전소 단지 내에 있다.
- 보령발전본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천해안로 89-37 (26기 / 총 5,358.371MW) 중부발전의 코어발전소이다.
- 서천건설본부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서인로 235번길 85 (4기 / 총 401.23MW), 유일하게 국내 석탄을 쓰던 발전소였으나 최근 폐지되고 2019년까지 1009MW 발전소 대체 건설(하지만 공기가 변경되어 2020년으로 연장될 예정)
- 제주발전본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당로 133 (8기 / 총287.343MW) 최근 제주도 최초 LNG복합발전소를 준공하였다.
- 세종발전본부: 세종특별자치시 금송로 625 (3기 / 총530.441MW) 세종 정부청사와 인접해있다.
- 신보령발전본부: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송도길 201 (2기 / 총2,000MW) 일반적으로 일본, 미국 등의 기술을 가져다 쓰던 보일러, 터빈 기술을 두산중공업과 함께 국내 최초로 순수 국산기술을 연구하여 만든 초초임계압 발전소로 유명하다.
5. 상징
5.1. 로고
[image]
▲ 2001년 4월 2일부터 2015년 1월 1일까지 사용하던 구 로고이다.
[image]
▲ 2015년 1월 2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신 로고이다.
5.2. 캐릭터
[image]
▲ 마스코트 '세코미'와 '에코미'
6. 기타
사업소 위치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지라 5개 화력발전사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도 특징. 하지만 직원 2,200명 중 1,000여 명이 보령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만큼 서울건설본부는 기성직원들도 꿈의 사업소다. 특히 서울 시내에서도 가장 핫하고 땅값 오르기로 유명한 동네인 홍대-합정 바로 밑 당인동에 위치하니 사업소 위치까지 화룡점정. 현재 서울 사업소에서 일하는 직원은 150명 안팎인데다가 경쟁이 치열하여 대부분 30대 중후반 이상의 직원들로 채워져있는 것이 함정이므로, 최소 5년 이상은 보령지역에서 구른 이후에나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게 마음이 편하다.
그 밖에 서울에서 가까운 인천에 사업소가 있다는 것도 메리트로 작용하며, 뭔가 로망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은 제주발전본부도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입사를 꿈꾸는 취준생들에게 중부발전을 선택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불어 이제는 하나의 대도시로 자리매김한 세종발전본부도 제법 근무하기 좋은 환경이고, 보령 지역에 근무가 떨어지더라도 아침에 바삐 움직이면 세종에서 출퇴근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 바람.[2] 대신에 서천건설본부는 근처에 정말 놀 것이 없기로 유명하다. 젊은 독신 직원에 경우 사택에서 하루종일 동기 및 근기수들과 놀게 된다고. 보령은 나름대로 서울에서 버스로 약 2시간거리로, 많이 멀지 않아 주말에 서울과 왕복하며 지내는 직원들도 많다. 스벅이 들어온다는 소문이 있다.
7. 노동조합 현황
참고
8. 관련 문서
- 당인리선 - 경의선과 서울화력발전소를 연결하는 철도. 폐선되었다.
- 서천화력선 - 장항선과 서천화력본부를 연결하는 철도. 전 구간 중부발전 소유. 폐선되었다.
- 한국전력공사
- 한국남동발전
- 메가폴리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