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옳을 가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べし''[1]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kě, kè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3.2. 인명, 지명, 창작물
3.3.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모양자

[clearfix]

1. 개요


可는 ''''옳을 가''''라는 한자이다. '옳다', 좋다', '진실로', '대략'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상세


[image]
可의 획순
[image]
可의 자형
현재 자형은 (입 구)와 (고무래 정)이다. 그러나 丁 자의 갑골문은 현재와 전혀 다른 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可 역시 丁 자와 무관한 글자이다. 따지자면 可 자의 오른쪽 부분은 丂 자와 더 닮았다. 워낙 자형이 단순해서인지 자원(字源)을 파악하기 어렵다.
성적이나 등급 따위를 평점하는 기준 중 하나인 수우미양가의 '가'이다. 가능성이 있다는 뜻.
카간의 음역어 '可汗'(가한)을 읽을 때 한정으로, 중국어에서는 독음이 달라진다.
유니코드는 U+53EF에 배정되어있고, 한자검정시험에서는 5급으로 분류된다.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단어
  • 가결(可決)
  • 가능(可能)
    • 가능성(可能性)
    • 불가능(不可能)
  • 가동(可動)
  • 가련(可憐)
  • 가망(可望)
  • 가소[2](可笑)
  • 가시광선(可視光線)
  • 가증(可憎)
  • 가한(可汗)[3]
  • 불가(不可)
  • 불가피(不可避)
  • 허가(許可)

'''고사성어'''
  • 가관(可觀)
  • 불가사의(不可思議)
  • 막무가내(莫無可奈)

3.2. 인명, 지명, 창작물



3.3. 기타



4. 유의자


  • (바를 광)
  • (이 시, 옳을 시)
  • (옳을 의)

5. 상대자


  • (아닐 불, 아닐 부)
  • (아닐 부)[4]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모양자



[1] 한문훈독에서 자주 쓰인다.[2] '가소롭다' 할 때의 '가소'이다.[3] 극한이라고도 함.[4] 不와 훈음이 같지만 다른 한자이다. 차이는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