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입 구
'''부수
나머지 획수'''

口, 0획
'''총 획수'''
3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コウ, ク
'''일본어 훈독'''
くち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kǒu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口의 필순
1. 개요
2. 상세
2.1. 부수
3. 용례
4. 기타

[clearfix]

1. 개요


입 구. 기초가 되며 중요한 한자 중 하나다. '' 등을 나타낸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입
'''음''' : 구
'''일본어'''
'''음독''' : ク·コウ
'''훈독''' : くち
'''중국어'''
'''표준어''' : kǒu
광동어 : hau2
객가어 : khiéu / héu
민남어[1] : kháu, káu[2] / khió[3]
오어 : kheu (T2)
'''베트남어'''
'''훈''' : miệng
'''음''' : khẩu
유니코드에는 U+53E3에 배당되었으며, 주음부호로는 ㄎㄡ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口(R)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기초가 되는 쉬운 한자인데도 조금 높은 7급으로 분류된다.
口는 기본적으로 입이라는 뜻이지만, 언어별로 구멍, 말, 말하다, , 어귀, 인구수 같이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추가되기도 한다.
口의 이체자로는 𠙵[4]와 𠮚[5]가 있다. 일부 웹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바람.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口는 입의 모양[6]을 본뜬 상형자이다.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변화를 거치는 모습을 보여줄 때 예시로 매우 많이 드는 글자의 하나다.

2.1. 부수



口는 대단히 많은 한자들이 가진 구성요소의 하나다. 일단 口의 부수인 입구부는 강희자전에서 분류된 30번째 부수인데, '''1,146개에 이르는 한자들이 삼는 부수로 초두머리, 삼수변에 이어 최대 수준이다.''' 또한 부수가 아닌 구성요소로서도 셀 수 없이 많은 한자들이 가졌는데, 덕분파자할 때 입구자는 꽤나 자주 분리되어 나와서 어떻게든 입과 뜻을 연관지어야 할 상황이 생긴다. 주로 啦, 喺같은 방언자들이 많다.
큰입구몸(囗)과는 다른 글자이다. 큰입구몸은 몸[7]으로써 사용되는 부수이다. 이따금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四, 固와 같은 글자의 부수를 입구부로 착각하기도 한다. 또한 가타카나 와 혼동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이 둘은 모양만 같을 뿐, 발음과 형성기원이 다르다. 한글 도 유사한데, 口와 ㅁ은 똑같이 입을 상형하여 만들어진 글자다.

3. 용례


기초 한자다 보니 매우 흔히 쓰이며 주로 입, 말, 인원수 등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인다.

3.1. 고사성어


고사성어에도 단골로 출현한다.
  • 구밀복검 (口蜜腹劍)
  • 양약고구 (良藥苦口)
  • 유구무언 (有口無言)
  • 이구동성 (異口同聲)
  • 이목구비 (耳目口鼻)
  • 일구이언 (一口二言)
  • 중구난방 (衆口難防)
  • 함구불언 (緘口不言)
  • 호구지책 (糊口之策)
  • 무구지보 (無口之輔)

3.2. 이름


口자는 일본인의 성씨에 많이 쓰인다. 특히 야마구치#s-2(山口)와 노구치(野口)는 일본 성씨 빈도 순위 중 100위 내에 든다.[8] 반면 한국과 중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3.3. 지명



3.4. 나라별로 다른 용례


일본 한자음은 입이라는 뜻으로 쓰는 경우가 별로 없다. 음독인 'く'에는 그릇이나 도구, 인구를 세는 뜻이 있으며, 한자음인 'こう'에는 구멍이라는 뜻이 있다. 'むくち()'처럼 '입'이나 '말'을 나타낼 때 보통 훈으로 'くち'라고 읽는다. 그리고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入口등의 일부 용례에서만 문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일본에서는 東口(동쪽 출구), 北口(북쪽 출구)등 출입구의 의미로서도 사용된다.

4. 기타


입 구자는 사각형이 한 개다. 그런데 입 구와 같이 사각형만으로 이루어진 한자가 몇 개 더 있다.
  • 한 개: 口(입 구)
  • 두 개: 日(날 일), 曰(가로 왈), 回(돌아올 회), [9]
  • 세 개: 品(물건 품), 目(눈 목)
  • 네 개: 田(밭 전), 昌(창성할 창)
  • 다섯 개: 囬(돌아올 회) , 唱(노래 창)
  • 아홉 개: 囲(둘레 위), 晶(맑을 정)
정체자는 圍이며 이 자형은 일본에서 쓰이는 신자체이다.

[1] 대만어 기준[2] 백독[3] 문독[4] 口에서 위쪽 一이 분리됨.[5] 口 안에 •가 들어감.[6] 과 유사하게 생겼다.[7] 國, 因 등과 같이 글자를 에둘러 싸는 부수[8] 종류가 자그마치 10만여 개나 되는 일본의 성씨 사이에서 100위 안에 들면 상위권이다.[9] 비공식 한자이나,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기에 취소선을 쳐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