気づいたら片想い
'''깨닫고 보니 짝사랑'''
키즈이타라 카타오모이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의 여덟 번째 싱글로 2014년 4월 2일 발매되었다.
작곡가는 Akira Sunset[1] 로 이번이 총 4번째 곡. MV 감독은 야나기사와 쇼우[2] 로 이번이 총 3번째다.
걸즈룰(ガールズルール)과 바렛타(バレッタ)라는 2연타로 별로 노기자카스럽지 않다는 평을 받았지만, 이번 곡은 다시 노기자카스러운 곡으로 돌아왔다 라는 반응에 초반에 말들이 많았다. 8~90년대 복고풍의 멜로디로 상큼한 봄을 겨냥한 시기에 나온 곡이지만, 조금은 씁쓸한 느낌의 가을을 연상케 하는 미디엄 템포의 댄스 발라드 곡으로 일본과 한국에서도 좋은 평이 많았다.[3] '''곡이 센터 니시노 나나세와 잘 어울린다는 점'''과, 특히 그 중에서도 뮤직 비디오가 호평이었다.[4] 총 10분 가량의 길이로 대사는 별로 없고 자막으로 대부분 흘러가는 특이한 방식이 눈에 띈 작품이다.
뮤직 비디오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사와모토 요시미츠[5] 가 제안한 것으로, 짝사랑이 이뤄지지 않는 '''애절함'''과 꿈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한정되어있는 '''찰나의 순간'''이라는 2가지의 테마가 합쳐져있고, 센터 포지션의 니시노 나나세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성이 강한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드라마 장면에서는 실제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나, 몰아치는 빗 속에서의 장면 등, 노기자카46 멤버들의 실감나는 연기도 담겨져 있어서 인상적이다. 또, 뮤직 비디오 모든 부분에서 니시노 나나세가 땅에 누워 있는 장면은 아직도 눈이 남은 극한 추위에서의 촬영이었다고. 시라이시 마이와 하시모토 나나미는 1시간 이상 비를 맞으면서 촬영에 임하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전력 투구 해서 만들어진 의욕작이라고 한다.
싱글 쟈켓은 '''안타까움'''이나 스토리성을 느끼는 '''울고 웃고'''가 주제였다. 촬영 당시에는 멤버 33명 전원에게 정말 울게 하려고 스탭에게 눈물이 나는 동영상이나 만화 등이 준비되어있었지만, 대부분의 멤버들은 가족의 편지를 읽거나, 죽은 애완동물을 생각하는 것 같은 자신의 힘으로 감정을 높이고 진심으로 '울고 웃는' 쟈켓이 탄생했다.[6] 덧붙여, 노기자카 싱글 최초로 쟈켓에 언더 멤버들이 기용되었다.
한국에서는 통상반이 정식으로 발매되었으며, 한국 노래방에는 TJ미디어에 27573번으로 수록되어 있다.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Akira Sunset | 편곡: 湯浅篤 | MV 감독: 柳沢翔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押田誠 | 편곡: 佐々木聡作, 押田誠 | MV 감독: 丸山健志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田中明仁 | 편곡: TATOO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Soulife | 편곡: Soulife | MV 감독: 池田一真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田中俊亮 | 편곡: 鈴木裕明 | MV 감독: 久保茂昭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Akira Sunset, C# | 편곡: Akira Sunset, C#
다음 싱글부터 겸임하게 된 AKB48/SKE48의 마츠이 레나가 참여한 타이틀 곡인 '''気づいたら片想い'''가 공식 사이트에 올라왔다.
키즈이타라 카타오모이
1. 개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의 여덟 번째 싱글로 2014년 4월 2일 발매되었다.
작곡가는 Akira Sunset[1] 로 이번이 총 4번째 곡. MV 감독은 야나기사와 쇼우[2] 로 이번이 총 3번째다.
걸즈룰(ガールズルール)과 바렛타(バレッタ)라는 2연타로 별로 노기자카스럽지 않다는 평을 받았지만, 이번 곡은 다시 노기자카스러운 곡으로 돌아왔다 라는 반응에 초반에 말들이 많았다. 8~90년대 복고풍의 멜로디로 상큼한 봄을 겨냥한 시기에 나온 곡이지만, 조금은 씁쓸한 느낌의 가을을 연상케 하는 미디엄 템포의 댄스 발라드 곡으로 일본과 한국에서도 좋은 평이 많았다.[3] '''곡이 센터 니시노 나나세와 잘 어울린다는 점'''과, 특히 그 중에서도 뮤직 비디오가 호평이었다.[4] 총 10분 가량의 길이로 대사는 별로 없고 자막으로 대부분 흘러가는 특이한 방식이 눈에 띈 작품이다.
뮤직 비디오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사와모토 요시미츠[5] 가 제안한 것으로, 짝사랑이 이뤄지지 않는 '''애절함'''과 꿈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한정되어있는 '''찰나의 순간'''이라는 2가지의 테마가 합쳐져있고, 센터 포지션의 니시노 나나세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성이 강한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드라마 장면에서는 실제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나, 몰아치는 빗 속에서의 장면 등, 노기자카46 멤버들의 실감나는 연기도 담겨져 있어서 인상적이다. 또, 뮤직 비디오 모든 부분에서 니시노 나나세가 땅에 누워 있는 장면은 아직도 눈이 남은 극한 추위에서의 촬영이었다고. 시라이시 마이와 하시모토 나나미는 1시간 이상 비를 맞으면서 촬영에 임하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전력 투구 해서 만들어진 의욕작이라고 한다.
싱글 쟈켓은 '''안타까움'''이나 스토리성을 느끼는 '''울고 웃고'''가 주제였다. 촬영 당시에는 멤버 33명 전원에게 정말 울게 하려고 스탭에게 눈물이 나는 동영상이나 만화 등이 준비되어있었지만, 대부분의 멤버들은 가족의 편지를 읽거나, 죽은 애완동물을 생각하는 것 같은 자신의 힘으로 감정을 높이고 진심으로 '울고 웃는' 쟈켓이 탄생했다.[6] 덧붙여, 노기자카 싱글 최초로 쟈켓에 언더 멤버들이 기용되었다.
한국에서는 통상반이 정식으로 발매되었으며, 한국 노래방에는 TJ미디어에 27573번으로 수록되어 있다.
2. 수록곡
2.1. 気づいたら片想い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Akira Sunset | 편곡: 湯浅篤 | MV 감독: 柳沢翔
2.1.1. 포메이션
2.1.2. 가사
2.1.3. 뮤직비디오
2.2. ロマンスのスタート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押田誠 | 편곡: 佐々木聡作, 押田誠 | MV 감독: 丸山健志
2.2.1. 가사
2.2.2. 뮤직비디오
2.3. 吐息のメソッド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田中明仁 | 편곡: TATOO
2.3.1. 가사
2.4. 孤独兄弟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Soulife | 편곡: Soulife | MV 감독: 池田一真
2.4.1. 가사
2.4.2. 뮤직비디오
2.5. 生まれたままで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田中俊亮 | 편곡: 鈴木裕明 | MV 감독: 久保茂昭
2.5.1. 포메이션
2.5.2. 가사
2.5.3. 뮤직비디오
2.6. ダンケシェーン
작사: 아키모토 야스시 | 작곡: Akira Sunset, C# | 편곡: Akira Sunset, C#
2.6.1. 가사
3. 여담
다음 싱글부터 겸임하게 된 AKB48/SKE48의 마츠이 레나가 참여한 타이틀 곡인 '''気づいたら片想い'''가 공식 사이트에 올라왔다.
[1] 다른 노기자카 노래를 작곡하기도 했는데, 「狼に口笛を」 「海流の島よ」 「そんなバカな」가 있다.[2] 다른 노기자카 뮤직 비디오는 「シャキイズム」 「ガールズルール」 를 만들었다.[3] 일본의 어떤 팬은 “이런 곡은 보통 여자 아이돌 그룹이 부르지 않기때문에 반대로 이런 곡을 부른다는 것은 노기자카46의 존재감이 재립하는 것” 이라는 말도 나왔다.[4] 하지만, 쓸데없이 너무 길다는 반응도 있었다.[5] 澤本嘉光. 이후의 13th 싱글 今、話したい誰かがいる의 MV 또한 담당하게 되며, 애절한 분위기가 닮았다. 참고로 사와모토는 바로 이전 싱글 バレッタ의 MV를 담당했던 곤파 나루히로(権八 成裕)와 함께 라디오 방송 澤本・権八のすぐに終わりますから를 맡고 있다.[6] 타카야마 카즈미는 노기도코 135화에서 안약을 넣었다고 말했다.[7] '인어들' - 이코마 리나, 나카모토 히메카, 후카가와 마이, 호리 미오나, 와카츠키 유미[8] '자산가 남성의 집' - 아키모토 마나츠, 이치키 레나, 에토 미사, 카와고 히나, 나가시마 세이라[9] 이토 마리카, 니시노 나나세, 히구치 히나, 마츠무라 사유리[10] '여섯 소녀의 표류기' - 사이토 유리, 나카다 카나, 하시모토 나나미, 하타나카 세이라, 호시노 미나미, 야마토 리나[11] '은행 강도' - 이쿠타 에리카, 이노우에 사유리, 타카야마 카즈미, 노죠 아미, 히구치 히나[12] '달마의 세계' - 이토 마리카, 카와무라 마히로, 키타노 히나코, 사쿠라이 레이카, 마츠무라 사유리[13] '粛々祭日' - 이토 네네, 사이토 아스카, 사이토 치하루, 시라이시 마이, 신우치 마이, 니시노 나나세[14] A코스(응모권 3장): 스페셜 이벤트 "다가회 vol.3"
メンバーとお客様が一つのテーブルでお茶を飲みながら一緒にトランプで遊んで頂きます。
各メンバー5名様、計125名様
○B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1(도쿄 회장)
1,000名様ご招待
○C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2(도쿄회장)
1,000名様ご招待
○D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3(도쿄회장)
1,000名様ご招待
E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나고야 회장)
5,000名様ご招待
F코스(응모권2장): 사인이 들어간 비장 생사진(2기생 포함) 各メンバー3名様、計126名様
G코스(응모권 1장): 멤버 전원 사인이 들어간 포스터(2기생 포함) 100명
メンバーとお客様が一つのテーブルでお茶を飲みながら一緒にトランプで遊んで頂きます。
各メンバー5名様、計125名様
○B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1(도쿄 회장)
1,000名様ご招待
○C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2(도쿄회장)
1,000名様ご招待
○D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3(도쿄회장)
1,000名様ご招待
E코스(응모권 3장): 언더 스페셜 라이브(나고야 회장)
5,000名様ご招待
F코스(응모권2장): 사인이 들어간 비장 생사진(2기생 포함) 各メンバー3名様、計126名様
G코스(응모권 1장): 멤버 전원 사인이 들어간 포스터(2기생 포함) 1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