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매울 신
'''부수
나머지 획수'''

辛, 0획
'''총 획수'''
7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から-い, ''かのと, つら-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xīn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 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설명
2.1. 자형
2.2. 용례
2.2.1. 고사성어
2.2.2. 낱말
2.2.3. 지명
2.2.4. 인명
2.3. 부수
3. 유의자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매울 신.
유니코드는 8F9B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3급으로 분류된다.

2. 설명


종의 이마에 먹실을 넣는 바늘의 모양을 본딴 상형자.
인기 상품인 신라면의 포장지에 적혀 있어서 여러 사람들에게 친숙한 한자이다.

십간중 8번째 글자로서 십이지와 함께 갑자를 이룬다. 다만 십이지에도 한자만 다른 신(申)이 있다 보니 한국어, 일본어 음독으로는 헷갈리는 편. 또한 두 한자 모두 한국의 '신' 성씨를 이룬다.

2.1. 자형


[image]
소전체

2.2. 용례



2.2.1. 고사성어


  • 간난신고 (艱難辛苦)

2.2.2. 낱말



2.2.3. 지명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상신리(慶尙北道 慶州市 內南面 上辛里)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忠淸南道 舒川郡 麒山面 辛山里)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忠淸南道 公州市 反浦面 上辛里)

2.2.4. 인명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92,877명, 전체 42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영산(靈山)과 영월(寧越)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신(성씨) 문서 참조.

2.3. 부수



명칭 : 매울신부
강희자전안에 160번째 기록 돼 있는 부수로써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36개이다.
설문해자에서 별도 부수로 세운 辡(송사할 변)을 병합했지만, 이 글자는 뜻보다는 형성자의 음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서 설문해자의 辡부에는 오직 말잘할 변(辯) 하나밖에 없던 것을 강희자전에서는 다른 부수에 속하던 글자까지 많이 매울 신부로 끌어왔다. 그러나 다 끌어온 것은 아니고 외씨 판(瓣), 땋을 변(辮)은 각각 오이과변, 실사변에 그대로 남아 있어서 부수 분류에 일관성이 없다.

2.4. 중국어


중국어에서는 '힘들다', 고생스럽다'라는 의미로만 쓰인다. (辛苦了。= 고생하셨습니다.)
맛이 맵다는 의미로는 라는 말을 쓴다.

2.5. 일본어



2.5.1. 훈독


  • 辛い (からい, JLPT L5) : 맵다, 짜다
  • 辛い (つらい) : 고통스럽다

2.5.2. 음독


辛抱(しんぼう): 참고 견딤. (辛抱強い: 참을성있다)

3. 유의자


  • (매울 랄)
  • (매울 렬)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다행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