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麥'''보리 맥
'''부수
나머지 획수'''

麥, 0획
'''총 획수'''
11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バク
'''일본어 훈독'''
むぎ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mài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낱말
3.2. 지명
3.3. 고사성어·숙어
4. 부수
5. 일본어에서 보이는 쓰임새

[clearfix]

1. 개요


보리 맥(麥).
벼과 작물의 일종인 밀류의 총칭으로 사용되며 을 직접적으로 가리키거나 밀을 따로 소맥(小麥)으로 지칭하여 보리와 분류하기도 한다. 서아시아에서 전래된 작물인 만큼 일찍이 고대 중국에서 밀이 흔치 않아 명절과 같은 특별한 때 밖에 먹지 않는 귀족의 음식이었다.
유니코드는 9EA5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3급II으로 분류된다.
(올 래) 자와 (뒤쳐올 치) 자가 합쳐 만들어진 형성자, 來 자의 유래까지 따지면 회의자도 겸한다. 夂자가 사람의 다리의 상형인지 밀과 작물의 긴 뿌리의 상형인지는 의견이 갈린다. 來가 원래 밀과의 작물을 뜻하는 글자였으나 온다는 뜻으로 교체된 뒤 麥자를 따로 쓰게 되었다. 당연히 부수는 (뒤쳐올 치)가 아니라는 점에 반드시 유의할 것.
일본과 중국에선 자체를 간략화한 麦자를 사용하고 있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낱말



3.2. 지명


  •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대맥리(慶尙北道 醴泉郡 甘泉面 大麥里)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全羅南道 務安郡 三鄕邑 麥浦里)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맥호리(全羅南道 長城郡 黃龍面 麥湖里)

3.3. 고사성어·숙어



4. 부수



명칭 : 보리맥부
강희자전에 199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131자다.
부수로 붙을 때에는 밀과의 작물이나 식량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부수로 쓰인 예시로는 麪(밀가루 면) · 䴵(가루떡 병) · 麭(떡 포)가 있다.

5. 일본어에서 보이는 쓰임새


  • 麦 (むぎ) : 보리 · 밀 · 귀리 등의 총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