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來'''올 래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ライ
'''일본어 훈독'''
く-る, きた-る, きた-す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lái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올 래(來). 오다, 이후, 앞날 등을 뜻하는 한자다.

2. 상세


유니코드는 4F86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에서는 7급으로 분류된다.
원래 이 글자는 보리와 같은 곡식을 본떠 만든 상형자로, '보리'를 뜻하는 한자였다. 그런데 '오다'라는 동사를 뜻하는 단어의 발음이 상고시대를 기준으로 '보리'와 비슷하였고, 이 때문에 '오다'라는 뜻을 표현할 때 이 글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보리'를 뜻하는 낱말은 來 밑에 夂(뒤쳐올 치) 자를 붙인 (보리 맥) 자를 이용해서 표현하게 되었다. 이 夂 자는 보리에서 뿌리가 강조된 부분이라는 견해도 있다. 상고한어에서 來 자의 발음은 머럭(mə.rˤək), 麥 자의 발음은 므럭(mrˤək)으로 추정된다[1].


3. 용례



3.1. 낱말



3.2. 고사성어


  • 고진감래(苦盡甘來)
  •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 권토중래(捲土重來)
  • 내자가추(來者可追)
  • 설왕설래(說往說來)
  • 성년부중래(盛年不重來)
  • 자고이래(自古以來)
  • 차래지식(嗟來之食)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한래서왕(寒來暑往)
  • 흥진비래 (興盡悲來)

3.3. 이름



3.4. 지명



3.5. 창작물



3.6. 그 밖에


  • 도래인(渡來人)
  • 여래신장(如來神掌)
  • 재래시장(在來市場)
  • 후래자삼배(後來者三杯)(...) '나중에 오는 사람은 세 잔'이라는 뜻이다. 술자리에 늦게 도착한 사람은 이미 술을 마시던 사람들과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세 잔 분량은 마셔줘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러나 '후래자삼배'를 강제하는 몰지각한 행동은 하지 말자.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동녘 동)
  • (끝 말)
  • (나무 목)
  • (아닐 미)
  • (근본 본)
  • (묶을 속)
  • (가시 자, 묶을 속)

[1] Baxter-Sagart 기준. 정장 상팡 기준으로는 각각 (므)륵(m·rɯːɡ), 므륵(mrɯː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