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비
去卑
생몰년도 미상
후한 말과 삼국시대 남흉노족의 일원으로 성은 난제(欒提). 강거의 동생. 조카로는 어부라와 호주천이 있다.
188년에는 형인 강거가 반란으로 살해당하면서 그 이후에는 수복골도후, 어부라, 호주천 등이 차례로 선우 자리에 올랐는데, 195년에 삼보의 난 때 우현왕으로 있던 거비는 동승과 양봉의 요청으로 이락, 한섬, 호재와 함께 황제 호위군에 참가해서 이각을 공격해 수천 명의 수급을 벤다. 그 후 호재, 양봉, 한섬과 함께 뒤에서 어가를 호위하며 갔지만 이번에는 이각군에 대패한다.
216년 7월에 호주천이 그의 명왕을 데리고 오면서 조조에게 항복하고 업에 자리잡아 살면서 빈객의 예우를 받았는데, 이 때 호주천이 우현왕 거비에게 자신을 대신해서 나라를 통치하게 한다.
그 후 병주에서 유표가 흉노를 합병할 때 등애가 올린 상소에서 언급된다.
195년에 황제를 도울 때 효헌황제기에는 좌현왕으로 되어있지만 강거가 죽은 후 좌현왕은 유표였고 이 때의 거비는 자치통감에서는 이를 우현왕으로 기록했다.
난제의 경우도 자치통감에서는 195년에는 우현왕 거비라고 나오고 216년에는 난제거비라고 나오는데, 이 난제는 흉노 선우의 성으로 앞에 우현왕 때는 안 붙인 것 뿐이다.
삼국지 6에 등장한다.
소설 삼국지 조조전에서는 조조가 허현으로 천도하고 천자를 옹립하고 조정을 갖추자 평양현으로 돌아가 호주천을 보필하기 위해 조조의 막사로 들어가면서 연회를 하게 되었는데, 조조에게 평양현으로 돌아갈 것을 이야기하려다가 조조가 양봉, 한섬과 백파적들을 토벌하고 돌아가야 한다는 뜻을 비추자 이를 받아들인다.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후한 말과 삼국시대 남흉노족의 일원으로 성은 난제(欒提). 강거의 동생. 조카로는 어부라와 호주천이 있다.
2. 생애
188년에는 형인 강거가 반란으로 살해당하면서 그 이후에는 수복골도후, 어부라, 호주천 등이 차례로 선우 자리에 올랐는데, 195년에 삼보의 난 때 우현왕으로 있던 거비는 동승과 양봉의 요청으로 이락, 한섬, 호재와 함께 황제 호위군에 참가해서 이각을 공격해 수천 명의 수급을 벤다. 그 후 호재, 양봉, 한섬과 함께 뒤에서 어가를 호위하며 갔지만 이번에는 이각군에 대패한다.
216년 7월에 호주천이 그의 명왕을 데리고 오면서 조조에게 항복하고 업에 자리잡아 살면서 빈객의 예우를 받았는데, 이 때 호주천이 우현왕 거비에게 자신을 대신해서 나라를 통치하게 한다.
그 후 병주에서 유표가 흉노를 합병할 때 등애가 올린 상소에서 언급된다.
서진 시기에 여러 차례 변경에 침입했다가 위관이 계략을 통해 탁발부와 이간시키자 거비는 서진에 귀부했다.거비는 이전의 조대(무제 시대)에서 공적이 역력했지만, 그의 자손은 사업을 이을 수 없었으므로 그의 자손들에게 고귀한 칭호를 더해 주어 안문에 거주하도록 하십시오. 흉노의 나라를 분리해 세력을 약하게 하고, 옛날의 공훈에 대해서 추적해 기록하는 것, 이것이 변방을 제어하는 장기간의 계책입니다.
3. 관련 기록 논란
195년에 황제를 도울 때 효헌황제기에는 좌현왕으로 되어있지만 강거가 죽은 후 좌현왕은 유표였고 이 때의 거비는 자치통감에서는 이를 우현왕으로 기록했다.
난제의 경우도 자치통감에서는 195년에는 우현왕 거비라고 나오고 216년에는 난제거비라고 나오는데, 이 난제는 흉노 선우의 성으로 앞에 우현왕 때는 안 붙인 것 뿐이다.
4. 미디어 믹스
삼국지 6에 등장한다.
소설 삼국지 조조전에서는 조조가 허현으로 천도하고 천자를 옹립하고 조정을 갖추자 평양현으로 돌아가 호주천을 보필하기 위해 조조의 막사로 들어가면서 연회를 하게 되었는데, 조조에게 평양현으로 돌아갈 것을 이야기하려다가 조조가 양봉, 한섬과 백파적들을 토벌하고 돌아가야 한다는 뜻을 비추자 이를 받아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