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보집물

 

'''고'''유명사
'''추'''상명사
'''보'''통명사
'''집'''합명사
'''물'''질명사

'''고추가, 보지를 만나면, 물이 나온다!'''

-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1. 개요
2. 설명
3. 관련 문서


1. 개요



비실용적인 대한민국 영어 교육의 대표적인 산물이자 동시에 그것을 풍자(?)하는 은어. 이를 연기한 배우는 권태원.

2. 설명


대한민국의 일부 영어 강사들이 과거 학생들의 암기를 돕기 위해 사용하곤 하던 표어이다. 영어를 배울 때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 해당하는 명사 분류의 이름 앞글자를 절묘하게 따 온 것인데, 마치 고추보짓물을 연이어 부르는 듯한 느낌을 주어 학생들의 암기를 돕는다. 가산/불가산 명사를 구분하기 위하여 보집물고추로 하기도 한다.
하지만, 과거 대한민국의 영어 교육이 영어를 '''소통의 수단이 아닌 지식의 집합'''으로 취급했음을 보여주는 단편적인 예시이기도 하다. 이 표어의 목적, 즉 명사의 분류를 암기하는 것은 주로 명사의 가산 여부, 즉 셀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가르치기 위함인데,[1] 개정을 거듭한 현재의 영어 교육과정은 위 내용을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2]
그뿐만 아니라, 이제는 사교육계에서조차 이와 같은 단순한 지식 암기 위주의 표어를 이용해 강의를 진행하는 곳은 찾기 힘들다. 실제로 대학수학능력시험EBS 등의 교재들도 실질적인 독해 능력을 더 중요시하는 추세이다.[3] 이런 식의 유형 분류는 언어학을 따로 전공하지 않는 한 접할 기회가 매우 드물다.
이러한 교육 과정의 변화는 위의 명사 분류와 같은 세분된 어법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실생활에서 영어를 직접 구사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게다가 현대에 이런 식의 발언을 했다가는 성희롱으로 고소당해도 할 말 없다.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 이 표어가 등장하며 현대 학생들 사이에서도 유명해졌다. 관련 장면
물질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이하 못 세는 명사)를 묶어 '''물고추'''라 부르기도 했다.

3. 관련 문서



[1] 한자로 가산명사, 불가산명사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 고추보집물은 고유명사를 제외한 불가산명사이다.[2] A bottle of water, Many와 Much의 차이 등으로 쉽게 풀어서 다룬다.[3] 관련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