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백

 



1. 空白(공백) ‘ ’(U+0020)
2. 특수 문자 ‘ ’(U+3000)
3. 한글 채움 문자 ‘’(U+3164)
4. Zero Width Space ‘​’(U+200B)
5. 관련 문서


1. 空白(공백) ‘ ’(U+0020)


공백. 종이나 양피지 따위에 글씨가 쓰여 있지 않고 비어 있음. 비유적인 의미로 머리에 지식이 없고 바보스러움을 나타낼 때 쓰기도 한다. 굳이 문자에만 한정된 것이 아닌,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이 빈 상태나 기간을 나타낼 때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 언어는 공백, 즉 띄어쓰기를 사용하여 낱말을 구분하지만, 모든 언어가 이 법칙을 따르지는 않는다.[1] 현대의 중국어와 일본어는 대부분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편이지만, 한국어에서는 띄어쓰기를 사용한다. 한자를 표기하지 않고 글을 적었을 경우 띄어쓰기가 없으면 의미 전달에 혼동을 주고 가독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문장을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라고 썼을 경우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로 해석될 수도 있다.[2]
소설, 특히 라이트 노벨 등지에서 충격이나 정적, 긴박감을 표현하기 위해 이것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경험이 적은 작가일수록 그런 경향이 강하다. 이 경우, 대부분 소설을 성의 없이 썼다는 느낌을 주게 되므로 주의.
일부 공기 드립이 통용되는 캐릭터에게, 인물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며 놀림 요소의 의미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2. 특수 문자 ‘ ’(U+3000)


ㄱ을 입력한 한자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창에서 숫자 키 1을 누르면 나오는 특수문자인 넓은 공백( )이다.
윈도우 10에서는 Alt + = 를 누르고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입력된다.
2바이트 전각 문자로, 스페이스바를 두 번 누른 '  '과 같은 칸[3]을 차지한다.[4] 스페이스 바로 입력하는 한 칸은 반각이라고 한다. 일본어 입력기 상태에서는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이 문자가 나온다.
일부 온라인 게임이나 소셜 메신저에서는 ‘ ’←이 공백만으로도 닉네임을 만들 수 있기에, 소위 공백 아이디를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주로 사용되기도 한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통하지 않는다. 이런 것을 통용되게 해 놓으면 여러 가지 면에서 서비스 운용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5]이다.
또는 글을 쓸 때, 제목을 이 ‘ ’만으로 채우면 마치 제목 없는 글처럼 보이게 되어, 대체 어느 부분을 클릭해야 글을 읽을 수 있는지 가벼운 혼동을 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니면 폴더나 파일의 이름을 ‘ ’만으로 채우고 아이콘을 없애면 유령폴더, 유령파일이 된다.
흔히 부르는 말은 '''ㄱ 한자 1''', 하지만 정식 명칭은 공백이 어울릴 듯하다. 가끔 ‘전각 공백’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오유나 엠팍 등지에서는 공백 댓글이 유행하는 중이다.
참고로 대문 페이지에는 ‘ ’ 리다이렉트가 없는데 ‘ ’ 로 검색한 후 문서로 가면 검색 결과 또는 대문 페이지로 이동된다.

3. 한글 채움 문자 ‘’(U+3164)


해당 문서 참고.

4. Zero Width Space ‘​’(U+200B)


공백이지만 가로폭이 없는 공백이다. '공​백'에서 공 자와 백 자 사이에 이 공백이 들어가 있다.
이 문자를 이용해서 위키에 숨은 항목을 만들거나 반달을 저지를 수도 있었다. 현재는 불가능한 기능이다.
'''편집을 누르면 예시를 볼 수 있다.'''
아래와 같은 방법들로 복사할 수 있다.
  1. Chrome 에서 콘솔(F12)을 열고 아래를 입력한다.
copy("\u200B")


  1. ALT 키를 누르고 넘버패드 8, 2, 0, 3을 차례대로 누른다.
아니면 이 사이트에 들어가 copy/paste 칸에서 Ctrl+A를 눌러 전체선택 한 후(파란색으로 강조되어 보이지 않아도 선택이 된 것이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방법도 있다.
이 나올 수도 있다.

5. 관련 문서


[1] 인터넷에선 띄어쓰기를 공백이라 하기도 한다.[2] <황현택 군산평생교육원장>(바른 국어 생활)[3] 타이포그래피에서 사용하는 단위로는 1em이다. 1em은 대문자 M의 너비와 같으며, 그래서 단위의 이름도 '엠'이다.[4] 당연히 프로그래밍 쪽으로는 같지 않으며, 겉보기에만 같은 것이다.[5] 이용자 입장에서만 생각해도 당장 친구 추가나 차단 등의 닉네임을 활용한 행위가 어려워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