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송암73
[image]
[1]
1. 노선 정보
2. 개요
삼아교통이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583번이 전신이다.
- 2006년 개편 때 번호가 송암73번으로 바뀌었으며, 상무지구 굴곡을 많이 없앴다. 또한 운천로를 통해 시청까지 갔으며, 송암공단 출발이었다. 송암공단 - 풍암사거리 - 서구문화센터 - 상무중 - 5.18 기념공원 - 시청 - 상무역 - 현재 구간(도산동) 순이다. 현재의 송암72번과 운림50번을 합쳐 놓았다고 생각하면 상무역까지의 구간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 2006년 개편 당시에는 천일버스가 운행을 하였다.
- 2007년 개편 때 이 노선의 대개편이 이루어졌는데, 우선 출발지가 서광주역으로 바뀌었고, 송암공단 쪽에서의 방향이 바뀌었으며 진월동과 월산동, 화정동을 경유한 후 운천저수지에서 좌회전하여 도산동까지 갔다. 이 때 지금의 송암73번과 노선이 거의 비슷해졌다.
- 시기 미상으로 기존 건강협회 정류소에서 남쪽으로 조금 내려간 곳(광주혜성교회 앞)에 건강협회(남) 정류소를 신설하였다. 즉, 종점(서광주역) 방향으로는 기존 건강협회 정류소를 경유하지만, 기점(도산동) 방향으로는 건강협회(남) 정류소를 경유한다. 이유는 화정중 쪽으로의 좌회전 때문인 듯.
- 2011년 4월 30일 개편 때 상무지구입구 대신 상무자유로를 통해 라마다호텔과 농협운천지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3월부터 운천저수지 경유 후 상무지구 입구사거리에서 직진하는 대신 좌회전한 후 상무대로와 시청로를 경유하여 라마다호텔로 간다. 경유 정류소에는 차이가 없다. 상습적으로 막히는 운천로 구간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아래 그림 참고. 빨간색과 파랑색이 현재 송암73번이 운영하는 구간이고 보라색과 주황색이 3월 전에 운행했던 구간이다.
4. 특징
- 도산동 방향은 동산교차로 3개 정류장에 모두 정차한다. 북쪽 2군데와 남쪽 1군데.
- 삼아교통이 전담하고 나서, 쌍촌동차고지(현 미가)와 덕흥동차고지(현 황금자원) 시절 공차거리는 종점인 서광주역 기준으로 가까웠지만 현대교통 차고지로 이전 및 병합하고 나서 기점인 도산동 기준으로 가까워졌다.
- 노선이 어지간한 간선버스 급으로 길다. 그리고 시간표가 꽤 빡빡한 편인지 이 노선 기사들은 상당히 밟는 편이다. [2]
- 서구 금호동, 마재동 일대에서 송정리를 오갈때는 이 노선보다는 진월75번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 이 버스는 남구 송암동, 진월동, 서구 화정동, 상무2동 등을 거쳐 매우 돌아간다. 게다가 송정리의 중요 거점인 광주송정역은 미경유한다.
- 삼아교통 소속 중형노선들 중 가장 늦게 신차 대차작업이 진행 중이다. 동사 타노선(지원56번, 상무64번, 대촌69번) 차량들은 대촌69번의 15년식 그린시티 자체 증차분을 제외하면 모두 17년식 차들이다. 본래 이 노선도 모든 차량이 팬더미디였으나 현재는 모두 대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