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컨벤션센터역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image]
평동 방면공 항
하저터널 통과 → 2.9 km →

'''다국어 표기'''
영어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Mareuk)
한자
金大中컨벤션센터(馬勒)
중국어
金大中会展中心
일본어
金大中(キム・デジュン
コンベンションセンター
(馬勒(マルク)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 705 (마륵동)
'''운영 기관'''
1호선

'''개업일'''
1호선
2008년 4월 11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金大中컨벤션센터(馬勒)驛 /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Mareuk)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교통
6. 기타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14번.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 705 (마륵동)[1]에 위치해 있다. 이 역부터 평동역까지를 이 역에서 관할한다.

2. 역 정보


공사 당시 역명은 지역명을 딴 '''서창'''역[2]이었으나 인근에 김대중컨벤션센터가 있어서 '''김대중컨벤션센터'''역이 되었다. 병기역명은 '''마륵'''. 이 쪽은 해당 지역의 법정동명. 참고로 영문 역명은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Station. 정말 길다. 참고로 부산에는 더 긴 역명이 있다. Busan International Finance Center·Busan Bank역.
대한민국 도시철도 중에서 유일하게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이름을 사용하는 역이며, 개통 당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은 1년 후인 2009년에 세상을 떠났다. 참고로 사람 이름을 쓴 역으로는 경춘선 김유정역이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등장하기 전까지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함께 가장 이름이 긴 역[3]이었으나,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한글로는 10자, 영문으로 40자)이 등장하였으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도 밀렸다.
사족으로, JUC 페스티벌이 열리면 코스프레 복장을 한 코스어들이 역에 등장하는 진풍경을 볼수 있다.[4]

2.1. 승강장


[image]
승강장
[image]
역안내도
상무




공항

[image]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상무·농성·금남로4가·녹동 방면

공항·송정공원·광주송정·평동 방면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 시설물은 500미터 떨어진 김대중컨벤션센터와 몇몇 단독주택, 5.18 기념공원과 상무시민공원 및 조각공원, 결혼식장, 광주에서 나름 유명한 홀리데이인 호텔 등이 있으나, 지하철 연계가 그다지 좋지 않아 주말이면 결혼식이나 공원, 김대중컨벤션센터에 방문한 차량들로 혼잡하기도 하다.

4. 일평균 승차량


  • 2016년 이후 자료는 승하차량 합.
  • 2019년 부터선 통계청 자료를 기입함. 이전 자료는 광주도시철도공사 자료로 하차량이 집계가 되어있지 않아 실제와 오차가 있을 수 있음.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508명
748명
877명
958명
1,075명
1,168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063명
1,122명
2,275명
2,239명
2,240명
'''2,388명'''
  • 역명 그대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제일 가까운 역이다. 그러나 역에서 도보로 접근하기에는 은근히 떨어져 있는 곳이다. 게다가 광주 1호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고 광주광역시 버스망이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컨벤션센터 철도분담률은 높은 편은 아니다.
  • 상무지구를 끼고 있지만 서쪽 끝자락에 붙어있어 상무지구 이용객을 끌어오는 데 상당한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상무지구를 낀 세 역[5] 중에서 승하차량이 제일 낮다. 게다가 남쪽으로는 아무런 시설이 없고 논밭 뿐이다.

5. 연계 교통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2131)'''
급행버스
순환01, 좌석02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순환01
세하공영차고지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세하공영차고지
좌석02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송정역 - 혁신로

간선버스
송정19, 일곡38, 운림50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송정19
도산동 - 광주송정역 - 전남대동문 - 장등공영차고지
일곡38
살레시오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송산유원지
운림50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남광주역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지선버스
첨단20, 상무62, 상무64, 대촌69, 송암73, 대촌270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첨단20
첨단공영차고지 - 광주우편집중국 - 흑석사거리 - 광주월드컵경기장
상무62
상무조각공원 - 동천마을3단지 - 영광통 - 상무조각공원
상무64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
대촌69
칠석 - 서창동주민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송암73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 - 서광주역
대촌270
매월공영차고지 - 운천저수지 - 서창동주민센터- 구소

나주버스
160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160
영산포공용터미널 - 광주송정역 - 서구청 - 전남대후문 - 문흥동

함평버스
500번대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500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삼도 - 월야 - 함평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2132)'''
간선버스
송정19, 운림50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송정19
도산동 - 광주송정역 - 전남대동문 - 장등공영차고지
운림50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남광주역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지선버스
첨단20, 상무62, 대촌69, 송암73, 대촌270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첨단20
첨단공영차고지 - 광주우편집중국 - 흑석사거리 - 광주월드컵경기장
상무62
상무조각공원 - 동천마을3단지 - 영광통 - 상무조각공원
대촌69
칠석 - 서창동주민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송암73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 - 서광주역
대촌270
매월공영차고지 - 운천저수지 - 서창동주민센터- 구소

나주버스
160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160
영산포공용터미널 - 광주송정역 - 서구청 - 전남대후문 - 문흥동

함평버스
500번대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500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삼도 - 월야 - 함평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2328)'''
급행버스
순환01, 좌석02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순환01
세하공영차고지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세하공영차고지
좌석02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송정역 - 혁신로

간선버스
일곡38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일곡38
살레시오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송산유원지

지선버스
상무64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상무64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


6. 기타


  • 사람 이름을 역명으로 붙인 몇 안 되는 역이다. 역명에 김대중 前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가 있으며 사람의 이름을 붙인 다른 역으로는 소설가 김유정의 이름을 붙인 김유정역과 고려의 명신 강감찬을 부역명으로 가진 낙성대역이 있다.

[1] 마륵동 170-40번지[2] 행정동상의 지역명이자, 1988년 이전에는 광산군 서창면이었다.[3] 한글로 8자(부역명을 포함하면 10자), 영문으로 26자(부역명을 포함하면 32자). 영문 명칭은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경성대·부경대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 이어 5위.[4] 서코행사장 주변의 학여울역, 양재시민의숲역부코행사장 주변의 센텀시티역과 비슷한 모습이다. 환승역인 종합운동장역(서울)도 비슷하다.[5] 운천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상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