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룡섬
후지와의 대결 중에 구두룡섬을 사용하는 히코 세이쥬로이다.
1. 설명
만화 《바람의 검심》에 나오는 검술 비천어검류의 오의. 실사 영화 제작과 연계해 그려진 만화에서는 이 기술이 최종오의가 된다.비천어검류의 신속함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9개의 참격을 동시에 명중시킨다면 '''적은 절대로 막을 수 없다.''' 이것이 비천어검류 구두룡섬, '''내가 가장 자신있게 내보이는 기술이지.'''
-
- 히코 세이쥬로
비천어검류의 오의 전승은 이 기술을 가르치는 것으로 시작한다. 때문에 히무라 켄신은 이걸 오의로 착각했지만 진짜 오의는 아니다.[2] 비천어검류 오의 천상용섬을 후계자에게 전수하기 위해 제작된 실험적 기술. 그렇지만 엄청난 위력을 지닌 기술로 탄생했다.
검술은 기본적으로 내려베기, 올려베기, 종단베기, 대각선 내려베기, 대각선 올려베기의 8개에다가 최단거리의 찌르기까지 총 9가지가 존재한다. 비천어검류의 신속을 최대한 이용하여 적에게 동시에 9개 방향에서 공격을 날리면, 상대는 비록 공격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도, 절대로 막을 수 없다.
비슷한 연속 베기 계열 오의인 용소섬과는 달리 개개가 일격필살급의 위력을 지니고 있기도 하고, 돌격기이기 때문에 피하는 것도 힘들다. 발생한 기술을 막을 유일한 방법은 상대도 9개의 방향으로 공격을 하는 것 뿐. 즉, 구두룡섬을 서로 쓰거나, 또는 기술이 발생하기 전에 베어버리는 것 뿐이다.
히코 세이쥬로가 가장 자신있어 하는 기술인데, 이는 만약 상대도 구두룡섬을 쓰는 것이 가능해도 그가 워낙 완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대의 구두룡섬을 씹어버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반면 켄신이 썼을 때는 많이 씹히는 기술. 상대가 더 빠르다던가, 9개를 다 막던가… . 게다가 켄신은 역날검이라도 9격의 찌르기를 실제로 시전하면 상대방을 찔러죽일 수 있기 때문에 마지막에 찌르는 대신에 칼손잡이끝으로 타격을 가하고, 그걸 맞은 상대는 다음 장면에 멀쩡하다는 듯이 일어난다.
방어도 회피도 불가능한 기술이라지만 소지로가 피해버리고 에니시는 전부 막아내서 위상이 좀 떨어졌다. 역시 켄신의 약한 완력과 모자란 체중 그리고 불살때문에 금새 파해가 되는듯 싶다.[3] 이러한 약점이 없고 불살추구하지도 않는 히코가 쓰는 구두룡섬이라면 켄신과는 달리 진짜 방어도 회피도 불가능한 완전무결한 기술이었을지도 모르지만...[4] 오의 천상용섬을 띄워주기 위해서 먼저 깨지는 식으로 나오다 보니까 취급이 좋지 않다.
"동시에 참격을 날린다."는 설명 자체는 당연히 물리적으로는 불가능하다. 검기나 차원굴절이라도 쓰지 않는 이상 칼 1개로 9방향의 공격을 동시에 넣는 방법 따위는 없다. '''칼이 9자루'''면 될지도 모르겠지만. 에니시가 죄다 막아버리는것을 보면 완벽한 동시는 아닌듯...홋카이도 편에서는 에니시보다 확실히 기량이 딸리는 야히코가 9격중 4격은 못막아냈지만 나머지 5격을 막아낸 걸 보면 확실히 완벽한 동시는 아닌듯 하다. 단, 이때의 켄신은 비천어검류의 부작용으로 전성기 때보다 체력이 많이 약해진 상태였다.
홋카이도편에서는 검술병기 이테쿠라 하쿠야에게 무려 구두룡섬 삼연격, 쵸우 왈 이십칠두룡섬을 날렸다. 이테쿠라는 이 것을 보고 자연재해인 태풍으로 인식했고 안지와 카마타리,쵸우는 그야말로 경악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사용한 켄신도 몸 상태가 예전만 못한 상태라서 무리한건지 호흡곤란 상태가 왔다.
실제 일본 검술에 '팔방베기'라는 기술이 존재한다. 물론 동일한 기술은 아니다.
게임에서의 연출은 참격이 아니라 광선 수준. 상대에게 9개의 광선을 날린다(...).
KOF 2000과 KOF 2002 UM(우라 버전 한정)의 로버트 가르시아는 동명의 초필살기를 가지고 있다. SNK와 바람의 검심의 관계를 생각하면 대놓고 패러디인 듯. 성능은 두 작품 다 매우 좋은데, 빠른 발동 속도와 긴 무적시간이 이를 증명해준다.
실사 영화판에서는 구두룡섬이라는 이름이 명시되지는 않지만, 히코 세이쥬로와 켄신과의 대련에서 히코 세이쥬로가 목검으로 시전[5] , 켄신은 시노모리 아오시와 결투에서 시전하며 빠른 팔방베기와 찌르기[6][7] 구성으로, 원작의 같은 난격술인 용소섬과 어레인지한 11연격으로 재현되었다. 원작을 생각하면 단조롭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실사 영화판은 조금이라도 리얼리티를 추구했기에 어쩔수 없는 연출이긴 했다.[8]
2013년 디시 정사갤 살인사건은 가해자가 피해자를 9번 찔러 죽인 것에 빗대어 구두룡섬 사건이라 불리기도 한다.
은혼난무에서는 구두를 가타카나로 바꾸어서 쓰레기룡섬(구두와 쓰레기가 같은 발음(쿠즈)인 걸 이용한 말장난)이라고 사용했다.
2. 관련 항목
[1] 완전판에서는 '구두'''용'''섬'이라고 번역되었다. '구두룡섬'을 하나의 단어로 보느냐, 각각의 한자 단어를 끊어서 보느냐의 차이로 보인다. 혹은 천상'''용'''섬을 바꾸지 않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이쪽을 바꿨거나(...).[2] 키네마편에서는 천상용섬이 단순한 최속 발도술로 격하당하고 이 기술이 진짜 오의가 된다.[3] 히코가 언급하기를 난격술에는 완력이 돌진술에는 중량이 위력을 결정하는데 구두룡섬은 이 두가지를 합친 기술이고 켄신의 완력과 체격은 비천어검류 검사로는 실격 수준이다.[4] 사실 히코도 상대를 봐주면서 싸울때는 칼등으로 치는 경향이 있다. 켄신과 후지가 그 예.[5] 진검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서 찌르기 전단계에서 부서진다.[6] 히무라 켄신이라는 캐릭터를 생각하면 '찌르기'는 완벽한 오류. 아무리 날이 서지 않는 역날검이라고 해도 칼끝만큼은 송곳이나 다름없다. 더군다나 구두룡섬은 비천어검류 기술 중에서 돌진력 하나만큼은 최강이기에 제대로 찌르기를 쓴다면 즉사기가 된다.[7] 원작과 비교를 하자면 구두룡섬의 마지막 동작인 찌르기를 할 때 켄신은 언제나 역날검을 역수로 잡고 손잡이 끝으로 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역날검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격 중에 살상을 할 수 있는 기술이 찌르기이기 때문이다.[8] 참고로 실사 영화에서는 칼 사냥꾼 쵸우의 박인내태도, 세타 소지로의 축지 등등 죄다 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