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악파

 

1. 개요
2. 지역별 주요 작곡가들
2.1. 러시아
2.2. 유럽
2.2.1. 동유럽
2.2.2. 북유럽
2.2.3. 스페인
2.2.4. 기타
2.3. 남미
2.4. 영국, 미국


1. 개요


Musical nationalism
각기 자기 나라와 민족의 개성을 드러낸 음악으로써 이러한 사조는 후기낭만주의 음악이 활성화 되면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현상이다. [1] 국민주의 음악의 특징으로는 작곡가들이 그들 조국의 민요, 춤곡 ,전설 등의 소재를 중심으로 오페라, 교향시, 모음곡등의 표제음악을 만든 것이며 이러한 곡들의 기반은 19세기 전반에 걸친 각국의 시민 계급에 의한 자유와 평등 정신을 바탕으로 했는데 대표적인 곡으로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 등이 있다.[2]
이러한 운동은 러시아를 중심으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 북유럽으로 널리 퍼졌고 선진국 중심이었던 음악활동이 점차 주변 민족으로 확대되었다. 국민주의 음악은 민속음악과는 구별되는데 민속음악은 서민들의 음악으로 자연 발생적인 반면에 국민주의 음악은 국민 정신을 구체화하거나 민족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음악예술작품을 만들려고 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민족의 소재나 음악적 특성을 차용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비제의 〈카르멘〉이나 드보르작의 〈신세계 교향곡〉 푸치니의 〈나비부인〉등이 그러한 곡이다.

2. 지역별 주요 작곡가들


아래에 열거하는 작곡가들 중 상당수는 현재의 국명으로 불러주지만 생애의 전부나 대부분을 다른 나라국적으로 살아간 사람들이 많다. 이들이 주로 활동할 때는 이들과 연관된 나라들은 다른 나라의 소유였던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를 붙인다.

2.1. 러시아



2.2. 유럽



2.2.1. 동유럽



2.2.2. 북유럽



2.2.3. 스페인



2.2.4. 기타



2.3. 남미



2.4. 영국, 미국


  • 에드워드 엘가(넓은 의미), 레이프 본윌리엄스(영국)[3]
  • 아론 코플랜드(미국)


[1] 기실 낭만주의 음악이 처음부터 모색했던 것이 민족적인 것의 표출이기도 했다.[2] 이와 더불어 해외 음악의 영향에서 벗어나려고도 했는데 가령 국민악파의 음악가들은 당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이탈리아로 된 음악용어 대신 자기 나라 말로 된 용어를 쓴 경우도 나타났다.[3] 구스타브 홀스트와 함께 영국 민요를 발굴하며 이를 작곡에 참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