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1. 소개
종종 볍씨(=씻나락[1] )에서 싹이 트지 않을 때 사람들이 "귀신이 까먹었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 또다른 설은, 경상도 지방에서 귀신은 제사상이 허술하면 고픈 배를 움켜쥐고 광에 가서 씻나락을 까먹는다고 한다. 원래 제사를 지낼 때에는 절을 올리고 난 후 조상님이 식사를 하실 동안 툇마루를 완전히 물러나서 제사 지내는 사람들이 광이나 창고 같은 데 갔다가 오는데, 광까지 쫓아와서 씻나락을 까먹는 상황인 것이다.
제삿날 귀신이 씻나락을 까먹을 정도면 얼마나 어이없는 상황이냐고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하고 있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맞춤법상으로는 '''"씻나락"'''이 맞지만 "씨나락"으로 쓰는 예가 많다. [2]
쉽게 말하자면 "말도 안 되는 소리", "엉뚱한 소리", "라는 뜻으로 쓰인다. 즉, 개 풀 뜯어 먹는 소리와 같은 용법으로 쓰인다는 말이다. 의미에 상관없이 어감 때문에 그렇게 들리는 면이 꽤 큰 듯.
유튜버 진용진이 무슨 소리인지 알아냈다. 영상 개 풀 뜯어 먹는 소리는 덤.
2. 파생형
파생어를 무한으로 만들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사용법은 'XXX OO하는 소리'. 일부 문서들은 거기에 들어가보면 왜 이런 소리가 나왔는지에 대한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다.
바리에이션으로 '피콜로 더듬이 빠는 소리', '개 풀 뜯어 먹는 소리', 김밥 옆구리 터지는 소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각자의 취향에 따라 1, 2 온갖 비유가 나오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비슷한 표현으로 '가을 뻐꾸기 같은 소리'란 말도 있다. 뻐꾸기는 여름 철새이므로 가을에는 남방으로 이주한다. 따라서 가을에 뻐꾸기가 울 리는 없으므로 말이 안 되는 소리라는 뜻이다.
3. 관련 문서
[1] 씨앗+ㅅ+나락. 여기에서 나락이란 벼의 사투리다.[2] ㄴ 앞의 사이시옷이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은 씬나락이 된다. 그 덕에 1대 100에서 이 문제가 등장한 적이 있는데, 다수가 함정인 씨나락을 골라 48명 중 '''7명'''만 생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