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천정

 




[image]
낙천정의 모습[1]

1. 개요


태종의 별궁이자 조선 초기의 3대 이궁 중 하나였던 궁.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이름은 《주역》 - 〈계사(繫辭)〉에 나온 ‘낙천지명고불우(樂天知命故不憂)’에서 따왔다. '하늘(天)을 즐기고(樂) 명(命)을 알면(知) 근심(憂)이 없다(不)'는 뜻이다. 건립 당시 상왕 태종의 명을 받아 좌의정이었던 박은이 지었다.

2. 위치


지금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했다. 한강변에 위치한 대산(臺山)이란 산 정상에 있었다.
낙천정이 위치한 대산은 표고 42.8m로 시루를 엎어 놓은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시리미’라고도 불렸다. 주변에 다른 높은 지형이 없어 아름다운 한강을 조망할 수 있었다.

3. 역사


1418년(태종 18년)에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물러난 태종이 그 해 9월에 이궁으로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인 1419년(세종 1년) 2월에 완공되었다.[2] 변계량이 지은 《낙천정기(樂天亭記)》에 의하면 태종이 바람을 피해 언덕의 간방(艮方) 모퉁이에 이궁을 짓도록 했고, 언덕 위에 정자를 짓도록 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변계량이 지은 《낙천정기》는 판한성부사 권홍이 쓰고 판각하여 정자에 걸었다고 한다.
문종중종 대에 수리했다. 인조 연간까지는 기록에 보이나 그 이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로 미루어 보아서는 낙천정 또한 조선후기에 이르러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다가 자연스레 무너져 없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4. 용도


상왕 태종을 위해 지었기에 태종과 세종이 이곳에 자주 들러 매사냥을 즐기고 연회를 열었다. 세조단종과 함께 낙천정에서 매사냥과 고기 잡는 모습을 보고 즐기기도 했다. 그리고 성종 또한 낙천정에서 열병과 활쏘기를 구경하였다.
그 밖에도 조선시대의 왕들은 명나라 사신이 왔을 경우 이곳에서 연회를 베풀기도 하였다.

[1] 현재 위 사진의 낙천정은 위치도 다르고 형태도 달라서 문화재적 가치가 없다.[2] 그무렵, 한성 서쪽에 연희궁, 동쪽에 풍양궁, 남쪽에 낙천정을 건립합으로서 태종이 머물 3개의 이궁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