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

 

1. 朴訔
1.1. 대중 매체에서
2. 朴誾


1. 朴訔



'''조선 초기의 역대 수상(首相)'''
15대 유정현

'''16대 좌의정 박은
(1416 ~ 1421)
'''

17대 이원
(1370 ~ 1422)
부친은 고려 말의 문신 박상충이고, 외삼촌이 '''목은 이색'''이다.
여말선초문신. 태종이 1,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을 때 그를 도와 공을 세웠다. 좌의정을 지내기도 했다.
태종의 외척숙청 계획에 가담하였는데 특히 그 중 세종의 처가인 심온의 가문을 작살내는데 한 몫하였다. 이에 심온은 절대 박씨와는 결혼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1]

1.1. 대중 매체에서


  • 용의 눈물 - 임병기 - 태종이 처음 조회를 보는 날부터 시작해 꾸준히 등장하며 다양한 직책과 책임을 맡다 좌의정까지 오른다. 심온의 옥사 이전까지는 그와 제법 친한 사이로 묘사되며[2], 태종이 민무회와 민무휼을 숙청할 때는 사위 민무휼을 어떻게든 지켜주고 싶어했던 우의정 이직을 겁박하다시피하며 말도 못하게 하는 대사헌 유정현에게 너무 심하다며 한 마디 할 정도로 외척 숙청에 온건한 입장을 보인다. 하지만 심온의 숙청 때에는 실제 행적과 같이 영의정인 유정현과 함께 심온을 국문하는데, 심온이 유정현은 그럴 줄 알았지만 박은에게는 그야말로 배신감을 느낀다고 비난하자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3]. 결국 양심의 가책을 느꼈는지 태종에게 국문을 중단하자고 제안하여 가납되기도 하며, 중병에 걸렸을 때 세종과 소헌왕후가 어의를 보내자 감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대왕 세종 - 박영지 - 이조판서로 등장하며, 작중 내내 영의정 하륜과 대립하며 하륜을 비롯한 이숙번, 김한로 등 공신과 세자파들을 견제하려 하지만 하륜에게 번번이 정치적으로 밀린다. 이후 심온을 끌어들여 노비변정도감을 설치해 하륜을 도모하려 했고, 충녕을 움직여 세자를 견제하려 했지만 정쟁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륜을 쳐내려는 태종의 발탁을 받아 그의 부패를 밝혀내 탄핵시키는데 성공하고, 하륜의 사직 이후 6조 직계제가 실시되면서 조정의 실세로 자리잡을 기대에 부풀지만 조말생으로부터 태종이 그를 좌의정으로 승차시키려 한다는 말을 듣곤 자신에게 뒤통수를 친 조말생과 태종에게 역정을 내는 것이 백미.

2. 朴誾


(1479 ~ 1504)
조선 초의 문신이자 시인. 경연#s-2(經筵)에서 연산군에게 바른말을 하다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사형당했다.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다. 그의 시는 『천마잠두록』(天磨蠶頭錄),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에 전한다.

[1] 참고로 박은은 태종이 죽기 하루 전 죽었는데 사후 세종에게 "아첨하는 신하" 라며 까였다. 아무래도 심온 사건때 보여준 태도에 적잖이 기분 나빴던 모양.[2] 심온와 박은 두 사람만 따로 묶인 적은 없으나 하륜으로부터 앞날이 기대되는 인재들에 포함되기도 했으며, 황희 역시 이 둘과 다른 몇몇을 태종에게 천거하기도 했다. 영의정에 임명된 심온은 사석에서 자신보다 박은이 이 자리에 더 적합하지 않은가 하며 의문을 표하기도 했고, 명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는 좌의정인 그에게 조정을 잘 부탁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3] 당시 심온은 유정현에게는 호놈을 하며 반말을 썼지만, 박은에게는 '좌상 대감' 이라고 관직을 부르며 하오체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