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아가씨

 


[image]
발매 당시의 LP 표지.
1. 개요
2. 상세
2.1. 가사
2.2. 발표 및 경과
2.3. 금지곡 지정 및 해금
3. 여담


1. 개요


1964년에 발표되었던 트로트 곡으로, 이미자의 대표곡 중 하나.

2. 상세



2.1. 가사



헤일 수 없이 수많은 밤을
내 가슴 도려내는 아픔에 겨워
얼마나 울었던가 동백아가씨
그리움에 지쳐서 울다 지쳐서
꽃잎은 빨갛게 멍이 들었소

동백꽃 잎에 새겨진 사연
말 못할 그 사연을 가슴에 안고
오늘도 기다리는 동백아가씨
가신 님은 그 언제 그 어느 날에
외로운 동백꽃 찾아오려나

2.2. 발표 및 경과


1963년 동아방송의 라디오드라마 《동백아가씨》[1]의 리메이크 작인 1964년 발표된 신성일, 엄앵란 주연의 같은 이름의 영화 주제가이다. 한산도[2] 작사 백영호[3] 작곡. 스카라극장 근처 목욕탕 건물 2층에서 방음장치를 하고, 얼음물에 발을 담그고 녹음했다고 한다.[4]
이 노래는 국내가요사상 최초로 가요프로그램에서 35주 동안 연속 1위를 기록하여, 25만 장[5]이란 엄청난 음반 판매고를 올리며[6] 당시 신인이었던 이미자를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렸던 곡이다.

2.3. 금지곡 지정 및 해금


당시 박정희 정권은 돌연 이 곡에 방송금지 조치를 해버렸다.[7] 이유는 일본의 엔카와 비슷하다는 것. 물론, 한국의 트로트가 일본의 엔카와 비슷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이전의 다른 가수들의 트로트 곡들은 그때까지 이런 시비를 걸지 않았으면서 유독 이미자의 곡들에 시비를 거는 것은 어불성설이었다.
또 다른 이유로 가사 때문이라는 설도 있는데, 문제가 되었던 부분은 "그리움에 지쳐서 울다 지쳐서 꽃잎은 빨갛게 멍이 들었소" 라고 한다. 무얼 기다리느냐는 것으로, 기다릴 일이 없으면 마음에 멍들 일도 지칠 일도 없을 것이라는 것. 아마도 시대적 배경을 무시할 수 없는데, 당시 한일회담의 역작용으로 《동백아가씨》가 희생양이 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이후로 《섬마을 선생님》[8], 《기러기 아빠》[9], 《유달산아 말해다오》[10] 등, 새로 발표하는 곡들이 왜색 등의 이유로 금지곡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이미자 본인은 노래를 그만 둘까 생각도 했다고 한다.
그 후, 1987년 민주화 운동을 계기로 금지곡들이 모두 풀리게 된다.

3. 여담


  • 독일 함부르크대학에서 동양학을 전공한 로미나가 2009년 한국 외국어대학교의 교환학생으로 한국에 왔다. 우연히 간 친구의 집에서 친구의 아버지가 듣고 있던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를 접하고 트로트 가수의 길을 택했다고 한다. 그녀가 부르는 《동백아가씨》 영상이 우연히 유튜브에 올려지면서# [11] 알려지고, 급기야 이미자에게도 알려지게 되면서, 이미자의 수제자가 되는 영광까지 누리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가요무대 등의 방송 출연은 물론이고, 이미자 콘서트에도 동행하면서 사제지간의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고 한다.

[1] 남쪽 섬마을의 처녀가 서울에서 내려온 대학생과 사랑하여 미혼모가 되고 재회, 이별하는 내용.[2] 본명은 한종명.[3] 본명은 백영효.[4] 당시 이미자는 임신 9개월인 만삭의 몸이었다.[5] 당시에는 3천 장도 성공했다는 말을 들을 정도였다고 한다.[6] 이 때에 이미자는 집, 전화, 자동차를 구입할 만큼의 부와 명예를 얻었다고 한다. 당시 전화는 300만 ~ 500만 원이나 할 정도의 재산목록 1호였다고.[7] 정작 박정희는 이미자를 불러다가 이 노래를 시키거나 혼자 몰래 듣곤 하였다고 한다.[8] 표절시비 때문에 금지곡이 되었는데, 정작 표절시비에 얽힌 일본 곡이 《섬마을 선생님》 보다 나중에 발표된 곡이었다. 기사 참조 [9] 비관적인 노랫말이라는 이유로[10]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금지곡이 되어 2년 후에 전반부를 고쳐서 발표하게 된다. 1967년판 1969년판 [11] 로미나가 그녀의 SNS에 올린 것을 누군가가 유튜브에 올렸는데, 열광적인 반응의 댓글이 올라온 사실을 지인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