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 밀피

 

<color=#373a3c><colbgcolor=#ffee00> '''프로필'''
[image]
<colcolor=#373a3c> '''이름'''
ルカ・ミルフィ
'''성별'''
여성
'''연령'''
-
'''소속'''
-
'''주요 출연작'''
해적전대 고카이저
'''인물 유형'''
조력자, 히로인
'''변신체'''
고카이 옐로(캡틴 옐로)
'''첫 등장'''
천장전대 고세이저 VS 신켄저 Epic on 은막[A]
'''마지막 등장'''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
'''배우'''
이치미치 마오[1]
'''한국판 성우'''
서혜정[2]
강시현[3]
강은애[4]
'''슈트 액터'''
하치스카 유이치

[image]
[image]
<color=#373a3c> 고카이 옐로가 변신하는 역대전사 일람[5]
1. 개요
3. 현상금
4. 기타
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시~끄러, 바~보야!"'''[6]

해적전대 고카이저》의 히로인. '''고카이 옐로(캡틴 옐로)'''로 변신한다.

2. 작중 행적




3. 현상금


1화 300,000Z → 5화 750,000Z → 15화 1,500,000Z → 39화 3,000,000Z

4. 기타


  • 전투 중에는 주로 와이어를 사용하여 고카이 사벨 두 자루를 채찍처럼 휘두르는 전법을 쓰는데, 고카이 사벨 두 자루의 손잡이 부분을 합쳐서 양날검 형식으로도 사용하기도 한다.
  • 아임 드 파미유를 많이 아끼는지, 이카리 가이가 아임과 조금이라도 엮인다 싶으면 바로 막는 모습을 보여준다.[7]
  • 작중 반응을 보면 요리는 그다지 특기가 아닌 듯한데, 루카가 "나도 오늘은 요리를 돕겠다"고 하니 돈 도고이어가 그럴 필요 없다며 한사코 거부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 담당 배우인 이치미치 마오는 오디션 때 옐로만이 아닌 핑크도 해보았다고 한다. 그리고 자기가 맡은 역과는 달리 가족이 자신의 보물이라고... 작중에서 마벨러스와 아임의 적도만큼은 아니지만 마벨러스와 루카의 적황도 떡밥이 꽤 있는 편. 물론 돈 도코이어(녹황)나 조 깁켄(청황)하고도 어느 정도 떡밥이 있다. 그런데, 배우로서는 사실상 이 루카 밀피가 대표작의 전부고... 현재는 'M·A·O'라는 예명의 성우로 전향해 훨씬 유명해졌다. 특히나 이 루카와 전혀 딴판인 이미지를 가진 조용한 문과생 아이돌의 성우를 맡자 "뭐? 쟤가 그 왈가닥 여장부 우주해적을 연기했다고?"라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현재 고카이저 멤버들 중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인지도도 높다.
[image]
<color=#373a3c> 큐레인저 VS 스페이스 스쿼드 中 루카와 랩터의 모습
  • 결국 6년 후에는 랩터 283으로 핑크 캐릭터 성우로서 출연하게 되었다. 우주전대 큐레인저 VS 스페이스 스쿼드에서는 아예 본인이 카메오 출연까지 하며 대놓고 자신이 맡은 랩터 283과 직접 만나는 등 배우 & 성우개그를 한다. 만약 우주전대 큐레인저 VS 스페이스 스쿼드가 한국에 방영되면 아쉽게도 통편집 당하거나 별거 아닌 장면으로 나올 듯 싶었으나... 예상을 깨고 편집없이 나왔다. 대신 성우개그를 위해 루카의 성우는 교체되었다(...).[8][9]
  • 한국판 성우가 매번 바뀌는데, 캡틴포스 본편에서는 서혜정이 맡았으며, 슈퍼 히어로 대전에서는 당시 전속이었던 강시현이 맡았다가 고버스터즈 VS 캡틴포스에서는 다시 서혜정이 맡았고 애니멀포스까지도 이어지다가 갤럭시포스 VS 스페이스 스쿼드에서는 전술했듯이 성우개그를 위해 강은애로 변경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본편에서의 성우인 서혜정보다 극장판 등에서 대역으로 맡은 강시현과 강은애가 더 좋은 평을 듣는다. 그만큼 특촬 더빙에 있어 배역의 연령대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5. 같이 보기






[A] 선행 등장(고카이저 본편 40화와 연동된다.)[1] 이 작품에서 변신 후의 후시녹음으로 인해 성우의 매력에 빠져 이후 M•A•O라는 예명으로 성우로 데뷔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공식 공략 팬북 참조. 또한 우주전대 큐레인저에서 랩터 283 역을 맡게 된다.[2] 연기 톤이 배역의 연령대에 맞지 않는 것 같다는 지적이 조금 있다. 그간 서혜정의 간판 캐릭터는 이지적인 누님계열인데 루카는 그 두 가지 모두 해당이 안 되는 캐릭터라서... 일단 베테랑인만큼 연기력으로 어느 정도 보완했지만 연령대에 맞지 않는다는 건 부정하기 힘들다.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에서 양광수 역을 맡았던 강구한도 마찬가지.[3]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 한정. 몇 마디 대사밖에 없어서 전속으로 때운 듯하다. 음색의 연령대로는 서혜정보다 이 쪽이 더 어울리나 고버스터즈 VS 캡틴포스에서는 서혜정이 유지되었다.[4] 우주전대 큐레인저 VS 스페이스 스쿼드 한정으로 랩터 283도 맡았다. 덕분에 일본판 한정일줄만 알았던 배우 개그를 한국판에서 볼 수 있었다.[5] 기본적으로 모든 옐로 전사(배틀 코삭 포함)로 변신하며 남자 옐로로 변신할 때는 슈트에 스커트가 달린다. 이는 여성 멤버가 없는 선발칸의 발 팬서로 변신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슈트가 남녀 공용인 고레인저, 고글파이브, 다이나맨의 옐로로 변신할 때는 스커트가 없으며 이는 여성 멤버가 2인이고 슈트가 남녀공용인 파이브맨, 데카레인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옐로가 없는 재커 전격대와 체인지맨의 경우는 빅 원과 체인지 머메이드로 변신. 반면 고카이저의 미국판인 파워레인저 슈퍼 메가포스의 루카 포지션인 지아의 경우, 슈퍼 메가포스 자체가 고카이저를 일부 짜깁기한지라 원작 슈퍼전대에서 성전환을 거친 탓에 스커트가 달리지 않는 전작 파워레인저의 여성 옐로들로 변신할 때도 스커트가 달리게 된다.[6] 상대를 깔보는 듯한 어투로 말하는 것이 특징. 한국판에서는 '''"시끄러! 이 멍청아~"'''로 번역되었다. 루카가 한 번 출연했다 하면 절대 빠지는 법이 없다. 심지어 랩터 283으로 라이브 공연 할 때도 이 대사를 날렸다.[7] "아직은 정식 해적이 아니다"라는 얘기를 듣고 실망하는 이카리 가이를 아임이 격려해 주자 꽉 껴안는 가이를 떼어놓는다거나, 팔을 다친 가이에게 아임이 음식을 먹여줄 때 그걸 막는다거나.[8] 왜냐하면 랩터의 한국판 성우루카의 한국판 성우가 전혀 다른 사람이기 때문에.[9] 큐레인저 세계관은, 다른 슈퍼전대 세계하고는 다른데 루카가 어떻게 큐레인저 세계에 있는지는 불명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애초에 루카 밀피는 우주인인데다, 지구 말고도 전 우주를 탐험하는 해적이기에 이런 설정은 딱히 신경 쓸 필요는 없으며 무엇보다도 토에이에서 슈퍼전대 시리즈 전체의 세계관이 통합되었다고 명시한 적이 없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본방 마지막화 녹화때 루카 밀피 복장으로 크랭크업 인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