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이파

 

1. 개요
2. 2004년 제25호 태풍
3. 2011년 제9호 태풍
3.1. 기록
4. 2017년 제1호 태풍


1. 개요


무이파(梅花, Muifa)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광동어로 서양자두 꽃을 의미한다.

2. 2004년 제25호 태풍



2004년 태풍
제24호 녹텐#s-2제25호 무이파 → 제26호 므르복#s-2
필리핀베트남 등에서 7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 물론 대한민국에는 오지 않았다.

3. 2011년 제9호 태풍



2011년 태풍
제8호 녹텐#s-3제9호 무이파 → 제10호 므르복#s-3
2011년 제9호 태풍 무이파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11년 7월 28일 15시 ~ 2011년 8월 9일 9시
영향 지역
일본, 중국,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태풍 등급
5등급[JTWC]
태풍 크기
대형(직경 1000 km)
최저 기압
93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72 m/s
10분 평균
49 m/s
7월 28일 15시에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7월 29일까지 필리핀을 향해 서쪽으로 이동했다. 이후 방향을 틀어 오키나와를 향해 북진하였으며, 당초 중국 상하이에 상륙할 것으로 보여졌으나, 계속 북서진해 산둥반도로 진로가 바뀌고 최종적으로 8월 7일경 대한민국중국의 사이를 통과하여 대한민국에 많은 비를 뿌렸다. 이후 8월 8일경 북한 신의주에 상륙하였고, 다음날 8월 9일 만주 부근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8월 6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상하이 결승전 취소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2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제주도전라남도의 피해가 유난히 심각했다. 가거도의 방파제가 파손되고, 27만 여 가구가 정전되었으며,[1] 항공기 결항이 속출하였고 제주도 관광객은 발이 묶였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600년 된 팽나무가 쓰러져 그 밑에 있던 일관헌[2]이 거의 반파되어 복구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3.1. 기록


순간최대풍속(m/s)
제주
고산 38.0 제주 30.8 성산 27.9 서귀포 25.3
전남 서해안/내륙
흑산도 42.4 진도(첨찰산) 38.8 목포 30.1 영광 26.3 해남 25.2 광주 19.3
전남 남해안
강진 32.7 장흥 31.5 완도 30.4 여수 29.1 광양 25.8 순천 25.7 보성 24.6 고흥 22.2
전북
고창(무) 26.5 남원 21.0 고창(구) 20.3 장수 19.0 전주 18.8 부안, 임실 17.2 군산, 정읍 15.7 순창 14.9
충남
서산 24.3 보령 20.9 대전 20.6 금산 15.2 천안 15.1 부여 13.6
충북
추풍령 23.0 청주 15.5 충주, 보은 13.7 제천 11.0
경기
백령도 29.4 인천 19.7 강화 18.5 수원 17.4 동두천 16.1 서울 15.6 파주 14.3 이천 12.4 양평 11.9
경남 서부
통영 29.5 거창 18.3 산청 17.8 진주 16.1 남해, 의령 14.7 함양 13.5 합천 12.7
경남 동부
김해 19.3 거제 19.0 북창원 18.8 울산 18.4 부산 18.3 창원 16.9 양산 16.4 밀양 14.9
경북 서부
안동 12.9 상주 12.8 영주 11.1 의성 11.0 대구 10.9 구미 10.8 문경 10.7
경북 동부
경주 16.4 울릉 16.0 포항 14.4 울진 13.5 영덕 12.2 영천 11.7 청송 11.2 봉화 10.8
강원 내륙 평지
영월 15.5 철원 15.4 원주 15.3 홍천 14.4 정선 13.3 인제 10.4 춘천 10.1
강원 동해안/산지
대관령 18.6 태백 14.0 속초 13.5 훅강릉 12.2 강릉 11.3 동해 10.6
최대풍속(m/s)[3]
제주
고산 28.0 성산 18.3 서귀포 16.4 제주 15.9
전남 서해안/내륙
흑산도 29.1 진도(첨찰산) 26.1 목포 16.6 영광 14.5 해남 14.3 광주 10.2
전남 남해안
강진 20.8 여수 19.6 완도 18.1 보성 17.0 장흥 15.5 순천 13.2 고흥 12.3 광양 10.8
전북
고창(무) 17.8 부안 10.7 군산 10.5 남원, 고창(구) 10.2
경기/충청
백령도 21.6 서산 15.0 보령 13.3 대관령 11.9 추풍령 11.4 대전 10.5 인천 10.3
강원/경상
통영 14.7 김해 13.0 대관령 11.9 부산 11.1 거창 10.4
강수량(mm)[4]
제주
제주 322.0 성산 125.8 서귀포 123.8 고산 71.0
전남 서해안/내륙
해남 159.5 광주 79.5 흑산도 72.5 진도(첨찰산) 67.0 영광 64.0 목포 54.5
전남 남해안
순천 252.5 광양 218.5 고흥 195.5 여수 152.5 보성 147.5 장흥 137.0 강진 128.5 완도 84.5
전북
장수 96.5 임실 95.0 남원 87.0 순창 79.0 고창(구) 77.1 정읍 58.5 고창(무) 53.5
경기/충청
강화 96.6 추풍령 79.5 인천 75.0 금산 71.0 동두천, 보령 51.0 청주 50.1 대전 50.0
경남 서부
산청 228.0 함양 215.0 진주 120.9 합천 116.0 거창 110.8 남해 108.6 의령 63.0 통영 55.5
경남 동부
북창원 110.4 거제 94.0 밀양 79.0 김해 77.5 창원 67.0 양산 66.1
경북
구미 69.0 대구 60.5 청송, 경주 58.0 포항 56.5 영덕 54.5 영천 50.0

4. 2017년 제1호 태풍



2017년 태풍
제1호 무이파 → 제2호 므르복#s-4
2017년 제1호 태풍 무이파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17년 4월 26일 3시 ~ 2017년 4월 27일 15시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태풍 크기
소형(직경 390 km)
최저 기압
1002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1 m/s
10분 평균
18 m/s

[JTWC] A B [1] 복구율은 99%로 높은 수준.[2]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지금의 군청정도로 보면 된다.[3] 10분 평균 풍속[4] 8월 6일~8일 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