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설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에 주로 활동했던 가수. 본명은 원래 이갑룡(李甲龍)이었지만, 늘 이창민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다 결국 1964년에 정식으로 개명했다. 1950년대에 작사가로 활동할 때엔 향노(鄕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었다. 8.15 광복 이전의 작품이 현재 80여 곡 가량 확인되고 있다. 남인수와 같은 시대에 인기를 누렸다.
2. 생애
1914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났다.[2] 1922년 성주공립보통학교에 입학했고, 1928년에 졸업했다. 1929년 성주농업보통학교(現 성주고등학교)에 입학해 1931년에 졸업했다. 이후 경성으로 가서 한양부기학교에서 2년간 공부하다가 은행과 신문사에서 잠시 근무했다고 한다.
1938년에 시험삼아 녹음한 <유랑극단>이 다음해에 발매되었는데, 반응이 좋아서 가수가 되기로 결심을 했다고 한다. 1941년까지 태평 레코오드사 전속으로 있으면서 <두견화 사랑>, <눈물의 수박등>, <복지 만리>, <대지의 항구>, <일자 일루>, <나그네 설움> 등을 불러 당대 최고의 가수가 되었다.
8.15 광복 이후에는 가수로 활동하는 것보다 사업체 운영과 고아원 운영에 몰두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다시 음반을 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전보다는 가수 활동이 부진했다. 1963년 7월에 은퇴공연을 하며 공식적으로 가수 생활을 끝냈다.[3] 1967년부터 1970년까지 경향신문 일본지사장을 맡았다. 1970년 이후 건강이 갑자기 악화되었다. 1978년, 자녀들이 있는 미국으로 가서 투병생활을 하다가 1980년 12월 6일에 타계했다. 2002년에 대한민국 문화훈장 보관장이 추서되었다.
3. 일제강점기 활동
백년설은 1941년 태평양 전쟁에 지원병으로 참여할 것을 독려하는 노래를 불렀다. 2008년에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명단의 음악 부문에 선정되었다
백년설이 몸담은 오케레코드도 비록 설립자인 이철이 친일파 인맥으로 큰 것은 사실이나 그 역사를 보면, 일본인 앞에선 '을'의 위치였음을 알 수 있다. 백년설이 친일 가요를 녹음했을 때는 이철이 권한을 잃고 일본인의 간섭이 심해졌던 시기다. 따라서 소속 가수들은 '을도' 못되는 '병', '정'이었을 것이다. #
그런 점에서 백년설 같은 당시 가수들의 친일 행적을 야마구치 요시코(중국명 리샹란)[4] 가 했던 그것과 같다고 보아야 할지, 아니면 29만 원님 시절에 '아 대한민국' 같은 관제 가요를 부른 정수라 같은 가수의 사례와 비슷하다 보아야 할지, 혹은 일종의 강제징용이거나 북한 김씨 왕조 치하 연예인의 경우와 유사하다 볼 수 있는지는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다.
4. 여담
가수 배금성이 백년설의 외손자이다.#[5] 비교적 늦은 나이인 32세에 가수로 데뷔해 지금까지 활발히 활동 중. 가요무대 라인업에 자주 들어간다.
야인시대 패러디로 자주 사용되는 심영의 장면 중 중앙극장 앞에서 학생들이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을 외치는 장면에 나오는 배경음악이 백년설의 나그네 설움(1940)이라는 곡이다.
5. 발표한 곡
- 나그네 설움
- 번지 없는 주막
- 알성급제
- 복지만리
- 대지의 항구
- 눈물의 수박등
- 고향설
- 산 팔자 물 팔자
- 만포선 길손(만포진 길손, 황지선 길손이라고 하기도 한다.)
- 삼각산 손님
- 일자일루
- 눈물의 수박등
- 알성급제
- 비오는 해관
- 남포불 역사
- 산팔자 물팔자
- 두견화 사랑
- 경기 나그네
- 어머님 사랑
- 비오는 해안
- 아주까리 수첩
- 마도로스 수기
- 유랑극단
- 제3 유랑극단
- 마도로스 박
- 춘소화월
- 천리정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