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천보전자악단

 



한자: 普天堡電子樂團
영어: Pochonbo Electronic Ensemble(PEE)
1. 개요
2. 악단의 구성
2.1. 연주자 및 멤버 구성
3. 청소년 상대 사상 교육 전개
4. 주요 작품
5. 일본 공연
6. 악단의 해체
7. 공연 영상


1. 개요


보천보전자악단은 김정일의 지시로 1985년 6월 결성되었는데 왕재산경음악단과 마찬가지로 김일성의 대표적인 혁명 전적지인 보천보에서 이름을 빌려 왔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북한 음악의 실태와 세계음악발전의 추세에 따라 전자음악을 우리식으로 발전시킬 것을 지시하여, 1960년대에 만수대예술단으로 하여금 전자악기의 특성에 맞게 여러 가지 음악을 연주하면서 경험을 쌓도록 하였다.[1]
이후 보천보전자악단은 이른바 주체음악 창작과 연주형상의 본보기집단으로 만수대예술단의 전자음악연주단을 분리해 조직되었는데 1985년 6월4일 보천보 전투 승리 48주년을 기념하며 결성됐다.
[image]
보천보전자악단의 앨범 제1집

2. 악단의 구성


보천보전자악단은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전통음악을 전자악기와 같은 현대악기에 민속악기를 혼합하여 공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으며 청년 연주자들로 구성된 기악 앙상블과 성악가들, 창작가, 지휘자 등으로 약 15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양을 주무대로 활동하고 있었다.
악단은 신디사이저 등 전자 악기를 중심으로 피아노 등의 양악기와 전통 악기를 혼용하고 있으며, 공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속배우(성악, 무용)와 합창단을 두고 있었다. 소속 가수로 김광숙, 전혜영, 리경숙, 조금화, 리분히 등이 유명하며 유명한 작곡가로서는 김일성상 계관인이자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은 리종오가 있었다.

2.1. 연주자 및 멤버 구성


  • 작곡가
    • 리종오 - 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전자악단장. 2016년 사망
  • 보컬
    • 김광숙 - 전 평양학생소년궁전 예술창조과 성악지도교원. 2018년 사망
    • 리분희
    • 전혜영 - 현 만경대학생소년궁전 성악지도교원
    • 조금화
    • 이경숙 - 현 평양음악학원 성악학부 교원
    • 오정윤 - 현 중구역 동안고급중학교 조기성악반 교원
    • 윤혜영
    • 김정녀
  • 지휘자
    • 김연수 - 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협주단 지휘자
  • 연주자
    • 전 권 - 피아노. 현 왕재산예술단 당비서
    • 김문혁 - 신디사이저. 현 피바다가극단 작곡가
    • 권경학 - 신디사이저. 현 평양음악학원 교원
    • 이 문 - 엘렉톤. 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협주단 전자악단 기술지도원
    • 박의현 - 일렉트릭 기타. 현 만수대예술극장 음악연출가
    • 강철호 - 엘렉톤. 현 왕재산예술단 작곡가
    • 송 광 - 일렉트릭 기타. 현 금성 제1중학교 교원
    • 김영일 - 베이스 기타. 현 문화성 군중문화국 책임부원
    • 최문철 - 현 평양영화음악녹음소 연주가
    • 장정원 - 피아노
    • 강금철 - 신디사이저
    • 김승협 - 엘렉톤
    • 김 진 - 탬버린.구두 타악기
    • - 신디사이저 현재 알수 없는 이유로 제명[2]
    • - 일본 공연 이후 행방이 묘연해졌다

3. 청소년 상대 사상 교육 전개


청소년들을 상대로 김정일 찬양가를 보급하도록 했는데 이를 김정일이 청소년들을 상대로 전자음악을 이용한 사상 교육에 주력하여 청년 전위로 키우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에게 이 악단의 노래들을 따라 부를 것을 독려하고 있다. 북한은 여러 정책가요들을 열거하면서 "이들 노래에는 청년들을 우리 당에 끝없이 충실한 청년전위로 키우려는 김정일의 숭고한 뜻이 담겨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로동청년"은 적극적인 노래보급 사업을 전개, 청년들로 하여금 보천보전자악단에서 창조한 노래들을 늘 힘있게 부르며 수령에 대한 충성심을 키우도록 조직정치 사업을 짜고 들 것을 촉구했다고 한다.

4. 주요 작품


1990년부터 북한 주민들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모은 노래로 <휘파람>이 있다. 조기천의 시에 리종오가 개사하고 곡을 붙였으며, 인민 배우 전혜영이 불러 인기를 모았고, 대한민국에도 널리 알려졌다. 그 외 <도시처녀 시집와요>(전혜영), <녀성은 꽃이라네>(리분희), <반갑습니다>(리경숙), <내 이름 묻지 마세요>(리경숙) 등이 있다.

5. 일본 공연


북일문화교류협회가 주최하고 NHK와 아사히신문의 후원으로 1991년 9월17일부터 10월27일까지 일본 공연을 하였다. 공연은 도쿄도, 센다이시, 히로시마, 기타큐슈, 오사카, 교토, 고베, 히메지 등에서 있었으며, 일본 순회공연을 위하여 노래 '반갑습니다'가 만들어졌다. 보천보전자악단의 공연은 재일동포와 친북 성향의 일본인들에게 큰 인기를 모았으며 무대에서는 북측 노래와 일본노래 등이 불려졌다.

6. 악단의 해체


왕재산경음악단과 함께 1980~90년대 북한 대중음악의 양대산맥을 이루었으나 은하수관현악단, 삼지연악단 그리고 모란봉악단의 창단과 함께 보천보전자악단은 발전적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2015년 2월 '추억의 노래'라는 이름의 특별 공연을 위하여 잠시 재결성되었으며, 또한 보천보전자악단의 특별 공연은 2015년 10월 개최된 로동당 창건 70주년 경축 1만명 대공연 무대까지 이어졌다.

7. 공연 영상


북한/문화/공연 영상 참조
[1] 북한 문화예술 현황분석 연구(2011), 책임연구 박영정 · 공동연구 오양열 · 전영선, 한국문화관광연구원, ISBN 978-89-6035-274-2, 119~120 페이지[2] 제명된 이후 공연 영상에서 그가 나온 장면은 전부 통편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