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군단장
- 한자: 副軍團長
- 영어: Assistant Corps Commander
1. 개요
지상군의 전술 편제인 군단의 부지휘관으로 중장 계급인 군단장 다음의 직위이다.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해당 군단의 2인자인 셈이다. 기본적으로는 군단장을 보좌하고 군단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직무를 대행하기 위해 만든 보직이다. 그러나, 군대에서 부(副)가 들어간 직책들이 대개 그렇듯이 실제로는 진급경쟁에서 밀려서[1] 전역 직전인 소장이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드물게는 고참급 준장이 맡기도 한다. 따라서 이 보직은 잠시 거쳐가는 직책으로 보면 된다.
기본적으로 군단장의 부재시를 대행하는 지휘관이기도 하며 군단장을 보좌하는 참모의 역할이기도 하지만 참모장(준장)이 실질적인 최고 보좌관이기에 하는 일이 없는 경우가 많다.
2. 상세
- 한국 육군의 부군단장은 군단당 1명이 보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역 직전의 소장이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간혹 준장이 맡을 때도 있다.[2] 공석인 경우도 간혹 있다. 평소에는 부군단장이 별 필요 없으나 군단급 FTX와 같은 훈련의 경우에는 군단 지휘부가 군단장(중장), 참모장(준장)만으로 운영되기 힘들기 때문에 필수적이다.
3. 기타
- 미합중국 육군의 경우 보통 부지휘관을 보통 2명 둔다. 전개(Maneuver)와 지원(Support) 임무를 맡는다. 둘 다 소장이 보임되며 참모장은 준장이 보임된다. 미군 기준으로 보면 일반 참모 기능 가운데 중요한 두 구분(작전과 군수)을 두어 이를 총괄하는 역할이 된다. 참모장은 기타 잡다한 참모들을 관리하고 가장 중요한 참모 기능 2개를 격상시킨 것. 즉 참모다.
- 수도권 방어의 중요한 역할을 맡은 제1군단의 부군단장은 한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황유성 장군은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을 거쳐 군수참모부장으로, 장광선 장군은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으로 옮겼다.
4. 관련문서
[1] 자신이 맡던 부대가 해체되면서 부군단장직으로 전보된 경우도 있다. 前 20사단장인 황유성이 1군단 부군단장으로 전보되었고 황유성의 뒤를 이어 前 2사단장인 장광선이 1군단 부군단장으로 전보되었다.[2] 3사 12기 출신의 예비역 소장 이진모 장군은 준장 시절 제1군단에서 부군단장을 맡았으며, 소장 시절 마지막 보직을 제6군단 부군단장으로 지냈다. 준장, 소장 때 각각 부군단장을 맡아본 특이한 이력이다. 2017년 기무사 계엄령 사건으로 유명한 기우진 전 기무사 5처장(준장)은 국군기무사령부 해체 이후 육군으로 원대복귀되어 제3군단 부군단장으로 재직하고 이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