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본부

 





'''육군본부'''
'''陸軍本部'''
'''Republic of Korea Army Headquarters'''
[image]
'''창설일'''
1948년 9월 5일
'''약칭'''
'''육본'''
'''소속'''
[image] 대한민국 육군
'''명령 체계'''
[image] 대한민국 국방부
'''본부'''
계룡대
'''종류'''
사령부
'''역할'''
대한민국 육군에 대한 총괄 지휘
'''참모총장'''
[image] 대장 남영신(학군 23기)
'''참모차장'''
[image] 중장 박주경(육사 42기)
'''주임원사'''
[image] 원사 강필수
'''위치'''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계룡대)

'''홈페이지'''
육군본부
1.1. 개요
1.2. 상세
1.3. 지휘부
1.4. 편제
1.4.1. 직할부대 (일명 '육직부대')
1.4.1.1. 장성급 지휘관이 있는 육직부대
1.5. 과거 (독립) 육직부대
2. 타국의 육군
3. 관련문서
4. 둘러보기

[clearfix]

1. 대한민국 육군



1.1. 개요


'''육군본부 직제령'''
'''제1조(목적)''' 이 령(令)은 육군본부의 조직과 직무범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직무)''' 육군본부는 육군의 정책, 군사력 건설의 소요(所要) 제기, 육군의 편성, 교육·훈련, 인사, 군수, 동원, 예비군, 작전지원 및 그 밖에 육군의 운영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 기관의 하나로, 대한민국 육군 예하의 모든 부대 및 인원에 대한 군정기관. 본부 위치는 충청남도 계룡시에 있는 계룡대에 위치하고 있다.

1.2. 상세


1989년서울특별시 용산구 삼각지(지금의 전쟁기념관)에서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에 위치한 계룡대(溪龍臺)로 이전했다.
육군본부 지휘관은 육군참모총장으로, 육군 최고 우두머리이다.
흔히 '''육본'''이라고 줄여 부르며, 이는 육, 해, 공군 본부가 공통이지만, 왠지 해본이나 공본에 비해 육본은 유독 입에 착착 달라붙는다(?) [1]
육군규정에 의하면 대전(충청)권 육직부대는 육군의 기본 경례구호로 '충성'을 쓰도록 규정되어 있다.[2]

1.3. 지휘부


'''대수'''
'''참모총장'''
'''참모차장'''
'''주임원사'''
49대
대장 남영신(학군 23기)
중장 박주경(육사 42기)
원사 김채식(민간 271기) [3]




1.4. 편제


육군본부 직제(대통령령)에 규정되어 있다.

1.4.1. 직할부대 (일명 '육직부대')


'''육직부대'''는 육군본부 직할 부대, 즉 해당 부대의 사령관 바로 위가 육군본부(=육군참모총장)인 부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소대 - 중대 - 대대 - 연대 - 사단 - 군단 - 작전사령부로 이어지는 일선 부대의 지휘체계와 다르게 육직부대는 기행부대 기준으로 (소대) - 중대(급) - 대대(급) - 사령부 - 육군본부라는 식의 지휘체계를 갖추고 있다. 만일 육군참모총장한테 군령권이 일부 주어진다면 육군참모총장은 육직부대를 중심으로 군령권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국직부대와 마찬가지로, 각 야전군 예하의 일선부대에 비하면 기행부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육/국직부대를 일종의 '꿀부대'(?)로 생각하는 편견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전투부대특전사수방사[4], 기행부대 중에서 고생 꽤나 해야하는 탄약창도 편제상으로는 육직부대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참고로, 6.25 전쟁 직전 시점의 메이커 사단들과 제17연대는 모두 육군본부 직할 부대였다.[5]해당 부대들의 상급부대인 군단, 군사령부가 당시 한국군엔 없었기 때문. 현재 2작사 지역 향토사단들이 모두 2작사 직할인 것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제17보병사단도 사단 창설 당시에는 육직부대였다.[6]
  • 육군군사법원
  • 육군중앙수사단
  •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육군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육군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육군대학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제2경비단[7]

1.4.1.1. 장성급 지휘관이 있는 육직부대

※ 야전군이었던 현 작전사령부(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및 그 예하부대는 육직부대로 취급하지 않음.
※ 아래에 있는 육직부대들의 예하부대들(52사단, 육군훈련소, 탄약창 등)도 넓은 의미에서 육직부대라 할 수 있는데, 인사행정상 장병 소속을 지작사/2작사/육직/국직[8]으로 분류할때 육직이라 취급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
  • 수도방위사령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육군군수사령부
  • 육군교육사령부
  • 육군인사사령부[9]
  • 육군사관학교
  • 육군3사관학교[10]
  • 육군항공작전사령부
  • 육군미사일사령부
  • 육군동원전력사령부

1.5. 과거 (독립) 육직부대


주의: 1, 3야전군사령부는 육직부대가 아니니 추가 금지
  • : 원래는 육군군수사령부의 예하였으나 독립적인 육직 사령부로 분리되었고, 1999년에 국직부대인 국군수송사령부로 개편.
  • : 1990년에 국직부대인 현 국군지휘통신사령부로 개편.
  • : 육군본부의 본부대 역할을 하던 부대였다. 1999년에 계룡대 근무지원단으로 통폐합.
  • 제1113야전공병단: 독립 육직부대였지만 이후 또 다른 육직부대인 수도방위사령부의 직할대로 편입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카투사): 독립 육직부대였지만 이후 또 다른 육직부대인 육군인사사령부에 예속
  • : 1976년 12월15일에 창설된 전군 유일의 단급 도하부대였으나 현재는 해체되었다. 주장비는 RBS였으며 구형도하 장비도 보유하고 있었다. 편제는 현역대대인 311,312도하대대 와 예비대인 315도하대대,시추대대,덤프대대였다. 315대대의 경우 인원이 일반대대의 절반정도였으나 장비는 동일하게 운용을 했고 한미연합훈련도 뛰었다. 제2수송교육연대의 정체불명의 도하반들이 가장 많이가던 부대로 단본부가 서울 시흥대로변 독산동에 2,5대대는 김포공항이 가까운 부천 오정동 위치하였다.(수도권에 살면 휴가를 시내버스타고 나갈수 있다) 덕분에 금천구 정치인들의 단골 떡밥이 군부대 이전이었고 결국 성공하여 현재 관사아파트를 제외한 부대부지에 롯데캐슬이 건설되고 있다. 부대는 해체되어 독산동에 있던 311대대와 부천의 315대대는 이천으로 이동하여 제7공병여단 예하로 부천에 있던 312대대는 수도군단 예하 1175공병단 도하대대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전군 유일의 시추대대도 보유하고 있었다.
  • : 육해공군의 각 중앙경리단을 통합한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의 모체가 되었다.
  • : 상술한대로 3군 복지근무단 통합으로 잔여부분은 육군재경근무지원단으로 개편 후 다시 육군복지지원대대로 개편.
  • : 국직부대인 국군교도소로 전환/개편
  • 6.25 전쟁 이전의 모든 사단(메이커 사단 대부분) 및 17연대
  • : 현 제17보병사단. 강원도 양구에서 창설된 당시에는 육직부대였으나 인천 부평구로 부대이동하자마자 2군 6관구사에 예속.

2. 타국의 육군



2.1. 미합중국 육군


[image]
육군본부 대신 육군부가 있다. 수장은 민간인인 육군장관[11]이며 현역 군인인 육군참모총장이 보좌한다.

2.2. 일본 육상자위대


[image]
육상막료감부(陸上幕僚監部, Ground Staff Office)가 육본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육군성이 비슷한 역할을 했다.
[image]
방위성 청사 A동에 위치힌다. 경찰예비대 시절엔 총대(総隊)란 이름이었고 보안대 시절엔 제1막료감부라 불렸다가 1954년 육상자위대가 생기면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편제
자위대의 경우 소장에 해당하는 장보를 1종과 2종으로 나눠 1종 장보는 소장, 2종 장보는 준장으로 취급하며 대령에 해당하는 1좌를 1, 2, 3종으로 나눠 1종1좌는 준장급으로 대우한다. 아래에서 투스타는 1종 장보, 원스타는 2종 장보와 1종 1좌인데 수석법무관만이 1종 1좌에 해당하며 다른 원스타는 모두 2종 장보이다.
  • 육상막료장(陸上幕僚長) - ⭐⭐⭐⭐
  • 육상막료부장(陸上幕僚副長) - ⭐⭐⭐
  • 감리부(監理部) - ⭐
    • 총무과(総務課)
    • 회계과(会計課)
  • 인사부(人事部) - ⭐⭐
    • 인사계획과(人事計画課)
    • 보임과(補任課)
    • 모집원호과(募集・援護課)
    • 후생과(厚生課)
  • 운용지원정보부(運用支援・情報部) - ⭐⭐
    • 운용지원과(運用支援課)
    • 정보과(情報課)
      • 정보보전실(情報保全室) -정보보전대 (情報保全隊)
  • 방위부(防衛部) - ⭐⭐
    • 방위과(防衛課)
    • 정보통신연구과(情報通信・研究課)
  • 장비부(装備部) - ⭐⭐
    • 장비계획과(装備計画課)
    • 무기화학과(武器・化学課)
    • 통신전자과(通信電子課)
    • 항공기과(航空機課)
    • 수품과(需品課)
    • 시설과(施設課)
  • 교육훈련부(教育訓練部) - ⭐⭐
    • 교육훈련계획과(教育訓練計画課)
    • 교육훈련과(教育訓練課)
  • 위생부(衛生部) - ⭐
    • 기획실(企画室)
  • 감찰관(監理監察官) - ⭐
  • 법무관(法務官) - ⭐⭐
  • 경무관리관(警務管理官) - ⭐[12]
  • 개발관(開発官) - ⭐⭐

2.3.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육군사령부(中华人民共和国人民解放军陆军司令部)가 육군본부 역할을 한다. 육군참모총장 대신에 육군사령원[13]이 지휘한다.

2.4. 중화민국 육군사령부


육군본부 대신 육군사령부가 있다.

3. 관련문서



4. 둘러보기



[1] 당연히 이는 육군 출신들이 대다수여서 그런것이고 해군이나 공군 출신들은 각각 해본 공본이 더 익숙하다.[2] 2010년 당시 육군규정 기준.[3] 2018.01.22~ [4] 수방사는 실제로는 전투부대와 기행부대의 특성이 혼재되어 있어서 직할부대마다 분위기나 군생활의 난이도가 천지차이다. 그리고 어쨌든 서울에 있다는 점 때문에라도 대체로는 선망의 자대로 여겨진다.[5] 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현재 제17연대는 2사단 예하에 있다. 자세한 건 이 문서의 쌍호연대 참조[6] 그러나 몇 달 지나지 않아 부평으로 이전하고 나서 2군 6관구사 예하로 편입되었다.[7] 2008년 이전까지는 계근단 예하 제1경비연대였다. 계근단이 생기기 전 1988년도부터 존재 했었고 계근단 예하에 들어간적도 있었다, 2경비단으로 개편되어 처음부터 육직부대였다. 계룡대 외곽경비를 담당하는 부대. 해공군식 표현으로 빗대자면 계룡대의 기지방호전대격이라 할 수 있다. 계룡대 내의 유일한 전투부대로, 경비중대는 사실상 전투부대처럼 생활한다. 참고로 그럼 제1경비단은 어디냐면 수방사 소속으로 군사보안 특정지 외곽(한양도성 외곽 성길)을 철통경비하는 부대다. 물론 제1경비단 말고도 해당 지역을 지키는 부대는 몇 개 더 있다.[8] 육직과 국직을 묶어서 육국직이라 퉁치는 경우도 존재한다.[9]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의 일부 기능이 인사사령부로 분리. [10] 원래는 육군교육사령부 소속의 예하에 있다가, 최근들어 육군3사관학교도 "육군사관학교와 비슷하고 동등한 지위를 얻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져 독립적인 육직부대로 재편되었다.[11] 대통령 승계서열에는 없지만, 엄연한 '''장관'''이며, '''원수 대우를 받는다.'''[12] 1종 1좌이다.[13] 사령관의 중국식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