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2

 



[image]
(2017년 4월 15일, 김일성 생일 105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모습)
[image]
[image]
(2017년 2월 12일, 북한의 시험발사 모습)
1. 제원
2. 개요
3. 상세
4. 성능
6. 모형화


1. 제원




'''북한의 미사일 전력'''
'''북극성-2 (KN-15)'''


'''길이'''
약 9 m
'''탄두'''
미정
'''사거리'''
2,500km
'''추진'''
2단 고체연료
'''발사 플랫폼'''
궤도형 TEL
'''생산'''
북한

2. 개요


2017년 2월 12일 북한이 최초로 시험발사한 고체연료형 2단식 MRBM으로 고체연료 KN-11(북극성) SLBM의 지상발사형이다. 한미정보당국이 붙인 코드명은 '''KN-15'''.기사 이어 4월 열병식에서 공개되었으며, 2차 시험 발사에도 성공하였다.

3. 상세


2017년 2월 12일 평안북도 방현 인근에서 시험발사로 그 정체가 알려진 탄도미사일. 위에 설명했듯이 SLBM인 북극성을 개량한 것이다. 북한이 공개한 발사 영상을 보면 기존의 차륜형 TEL 대신 북한이 자체개발한 것으로 보이는 궤도형 TEL에, 북극성 SLBM에 적용되었던 콜드런치식 발사관을 그대로 탑재한 것이 보인다. 발사 결과, 고각 발사를 통해 500km를 비행하며 1단/2단 단분리에 성공했고 동해바다에 착탄했다.
예전에 화성-10(무수단 미사일)형을 발사할 때 사용하던 동해안 연안 함경북도 무수단리와는 달리 북한 영토를 가로질러 동해쪽으로 발사했다. 이럴 경우 잘못하면 미사일이 바다가 아니라 북한 영토내에 떨어져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것을 감수하고 북한 영토를 가로질러 발사한 것을 보면 북한은 이 미사일이 어느정도 신뢰성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듯 하다. 국정원에 의하면 거의 직각에 가까운 89도의 고각발사를 했다고 하며, 정상각도 발사시의 사정거리는 2,000km 이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고각발사에 발사장소를 옮긴 이유는 이유는 주변어그로를 덜 끌면서도 미사일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북한은 영토가 좁아서 사정거리가 500km가 넘어가는 미사일을 시험하려면 이런 식으로밖에 할 수 없다. 그런데 고각발사는 미사일의 구조에 큰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1]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화성-10형의 경우 여러차례 실패를 했는데,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북극성 시리즈는 이런 면에서 비교적 성공적인 듯.
그리고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 21일, 이번에는 평안남도 북창에서 기습적으로 한 발을 다시 발사하였다. 심지어 발사 당시 북극성-2형에 설치된 촬영기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지구사진이 공개까지 했다. 사진은 중국 랴오닝 성이 담긴 사진이다.기사
[image]
2차에 걸친 실험이 성공적으로 끝났기 때문에 김정은은 양산과 실전배치를 명령했다고 한다. #

4. 성능


야지기동력이 뛰어난 궤도형 TEL에 즉시발사가 가능한 고체연료식 추진체를 사용하여 한미연합군의 감시-정찰을 피해 기습 공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우려가 높다. 1년 전의 북극성 SLBM에 이어, 북한이 차례로 고체연료 기반 탄도미사일[2]을 선보이면서 한미 국방당국도 바짝 긴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사 [3]

5. 북극성-3


SLBM이었던 KN-11의 이름인 '''북극성'''을 이어 받은 것으로 보아 북한은 기존의 탄도미사일에는 '''화성''', SLBM 기반 탄도미사일에는 '''북극성'''이라는 이원화된 명칭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이 공개한 미사일 제작 관련 사진에서 '''북극성-3'''이라는 명칭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사진도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아마도 고체연료 기반의 ICBM이 아닐까 추정된다. 그러나 신형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이었음이 발사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해당 항목 참조.

6. 모형화


[image]
중국의 모형 메이커 트럼페터에서 자회사 하비보스 명의로 1:35 플라모델을 2020년에 발매했다.

[1] 동체가 엄청난 중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연료탱크 같은 곳에서 '''균열'''이 일어나 '''공중분해'''되기 쉽다.[2] 고체연료를 사용한다면 발사 시간을 대폭 감소함으로서 대응이 어려워지게 된다.[3] 처음에는 노동이라고 했지만, 얼마 후 무수단(화성-10형) 계열일 가능성을 인정했고, 결국 북한 보도를 통해 그 존재가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