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장
1. 氷葬
1분 40초부터
시체를 빨리 얼려 작은 조각으로 분쇄한 뒤 건조시킨 가루를 땅에 묻는 장사. 스웨덴에서 고안된, 동결건조의 원리를 이용한 장례법이다. 녹색장이라고도 불린다.
1.1. 방식
시신을 -196도의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급속으로 얼려서 결정 상태로 만든 다음, 살짝만 흔들면 시신이 부서져서 가루가 되는데,[1] 이 가루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이물질을 발라내고 식물성 친환경 박스[2] 에 담고 매장한다. 그리고 매장한 주변에 식물을 심는 방식이다. 스웨덴에서는 이미 이 장례법을 승인했고, 미국과 중국과 영국과 프랑스와 러시아와 독일 등의 여러 선진국들과 여러 강대국들에서도 빙장법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시신을 냉각시킬 때는 화장과 달리 일산화탄소 등 해로운 물질들이 배출되지 않아서[3] 친환경적 장례방식으로 각광받았다. 심지어 유네스코에서도 이 장례법을 추천 및 승인했었다.
1.2. 인식
빙장의 경우 일단 시체를 얼려서 부순다는 점에서 후손들에게 더 큰 거부감이 든다.[4] 비단 동양만의 문제는 아니고 서양에서도 이를 꺼림칙하게 생각하는 일이 잦다. 기독교만 봐도 선호하는 장례는 매장이다. 물론 친환경적인 기술이긴 하지만, 막상 고인을 보내야 하는 유족들에게는 꺼림칙한 방법인 것.
다만, 빙장의 경우 "모든 과정은 유족들에게 보여지지 않고, 결과물인 분말 상태로 인도한다."는 점이 있기 때문에 장례 과정이 전부 비공개로 처리되며,[5] 관이 소각로로 들어가는것부터 다 타고 뼈 몇 개만 남은 시신을 보여주고, 그것을 추려내어 절구로 빻고 유골함에 담는 과정 모두를 그대로 보여주어 정신적 충격을 주는[6] 현재의 화장장의 운영 방식에 비해 정신적 충격이 훨씬 덜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7] 홍보한다면 향후 널리 퍼질 가능성이 있다.
빙장장 역시 고인을 보내는 용도이기 때문에 화장장만큼 혐오시설이긴 하지만, 그래도 화장장에 비하면 거부감은 매우 적은 편. 아무래도 화장장의 경우 인식은 시신 처리 시설 + 연소 가스 발생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다 정화해서 시신 타는 냄새나 연기가 나지 않음에도 그 거부감이 더 심하다.
1.3. 현실
홍보대로라면 기존 매장과 화장의 단점을 모두 해결한 획기적인 장례방식이지만, 실제로 작동하는 설비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이 실현 가능한 기술인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액화질소로 꽁꽁 얼린 시신을 가벼운 진동만으로 분쇄하는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결국 2015년, 빙장을 최초로 고안한 스웨덴 업체 프로메사 오가닉이 설비를 완성하지 못한 채 파산하여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일종의 베이퍼웨어로 보면 될 듯하다.
1.3.1. 한국에서
한국에서는 2005~2010년 사이 빙장장 설치 논쟁이 국회의원 발의에 의해 나왔으나 액화질소 생성에 따른 환경오염과 화장과의 큰 차이점을 찾지 못해서 무산된 적이 있다.
1.4. 기타
여담으로 쓰레기 처리도 이와 비슷하게 급속냉동을 하여 쓰레기를 부수어 가루로 만들어 매장하여 썩혀 버리는 식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을 연구하고 있다.
2. 聘丈
'''다른 사람'''의 장인을 높여 부르는 말. 빙부라고 하기도 한다. 김유정의 봄봄을 읽으면 자주 나오는 말이기도 하다. 자기 자신의 장인에게 빙장이란 말을 쓰기도 하나 바른 용법은 아니다.[8] 다른 사람의 장모는 빙모라고 한다.
정약용의 저서인 《아언각비(雅言覺非)》 에는 '빙부'·'빙모' 라는 단어 자체가 와전되어 잘못 쓰이는 말이라는 의견이 실려 있다.
[1] 쉬운 예로 터미네이터 2에서 T-1000을 일시 무력화시킨 그 냉기를 생각하면 된다.[2] 이 박스도 자연적으로 썩는 친환경 종이로 만든 것이다.[3] 가스가 배출된다 하더라도 액체질소에서 발생하는 질소가스와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정도인데 질소와 수증기는 자연에도 인체에도 모두 해가 전혀 없는 기체이다.[4] 화학적인 처리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화학적인 처리는 아니다. 온도/기압 등의 조건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는 물리적인 변화이다.[5] 애초에 진공 상태와 액체질소 등이 인체에 굉장히 위험하다보니 장의사들이 유족들을 근처에 오지 못하게 한다.[6] 특히 자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던 사람의 발인에 참석하게 되는 경우 화장을 마치고 소각로가 개방 된 후의 모습을 보고 PTSD로도 이어진다.[7] 예를 들어, 현재 화장장(승화원)의 경우에 관할 구역 내 거주자 직계가족의 영구를 화장할 경우에는 저렴하나, 관외 영구를 화장할 경우 훨씬 비싸다. 이런 금액 차이를 지원해 준다든지...[8] 봄봄에서는 이 용법으로 쓰였다.[9] '聘則爲妻, 奔則爲妾.' 예기(禮記)의 내칙(內則) 편에 나오는 구절이다. [10] '아내의 아버지는 '외구' 라 하고, 아내의 어머니는 '외고' 라 한다.(妻之父, 爲'外舅'. 妻之母, 爲'外姑')' - 이아 석친(釋親) 편의 구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