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

 


1. 개요
2. 상세
2.1. 경제학의 조사
2.1.1. 탐색적 조사
2.1.2. 결론 도출적 조사
2.1.3. 서술적 조사
2.1.4. 실험 조사
3. 관련 문서


1. 개요


'''(Social) Survey'''
사회조사를 잠정적으로 정의하자면, '''인문사회 현상에 대한 정보 및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연구자가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수의 질문 목록에 대한 답변'''을 받는 연구활동. 사실 이 개념은 널리 쓰이긴 하지만 명확한 정의를 시도하는 서적들은 많지 않다. 한국어 위키백과를 포함한 대개의 경우는 질문지법과 동의어로 취급하는 식. 영어단어 survey도 마땅히 번역할 길이 없어서 "서베이" 라고 음역하는 경우도 널렸으며, 굳이 번역할 경우 조사, 사회조사 정도로 번역이 가능할 듯 하다. 그래서 이 문서는 서베이로도 들어올 수 있다. 두산백과를 포함한 몇몇 백과사전들, 영문 위키피디아의 관련 문서, 기타 서적들에 대응되는 개념을 다룬다.

2. 상세


쉽게 생각해서, 사회문제나 현상에 대해서 관찰을 하거나 연구실에 틀어박혀서 머리를 굴려 썰을 풀 수도 있겠지만,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직접 현장으로 나가서 사람들에게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받아보는 것이다. 물론 면접법처럼 몇몇 사람들을 불러다가 연구실에서 장시간 대화를 나누며 정보를 얻을 수도 있겠으나, 대개 통하는 사회조사의 의미는 양적인 분석이 포함되는 접근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사회조사에 속하는 대표적인 유형으로서 '''센서스, 여론조사, 시장조사,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 Survey) 등이 있다. 특히 인구주택총조사는 국가 단위로 실시하는 인구조사이며, 종합사회조사는 어마어마한 규모로 어마어마한 범위의 질문을 하는 사회조사이다.
사회조사는 몇 가지 전제가 따르는데, 산발적으로 흩어진 논의들을 나무위키에서 일부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어떤 사회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명확한 가설이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연구자가 갖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응답자들과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접촉하는 자료수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자료들을 가공하고 처리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말이야 어렵지, 쉽게 말해서 사회조사 할 때는 '''연구자가 카더라 듣고 썰 풀면 안 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비슷한 연구활동과도 구분되는데, 사회현상에 대해서 철학적이고 사변적으로 접근하려는 것과도 다르며, 기존에 발표된 문헌들을 정리, 논박, 비평, 검토, 고찰하는 문헌연구법과도 다르다. 또한 사회현상을 단순히 피상적으로 지켜보기만 하는 관찰법과도 다르고, 특정 단회적인 현상만을 골라 논의하는 사례연구법과도 다르다. 사회조사에 모토(?)라고 할 만한 게 있다면 아마도 '''"네가 인간 사회에 대해 알고 싶다면, 직접 그들에게 다가가서 물어보라"''' 정도가 될 것이다.
물론 이 물어본다는 것도 막상 아 다르고 어 다르기 때문에, 고금의 수많은 사회과학자들은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조사방법론적 논의를 진행시켜 왔다. 경우에 따라서는 질문을 잘못하는 바람에 데이터를 쓰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거나, 기껏 논문을 썼는데 치명적인 비판이 제기되어 탈탈 털리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사회과학자들이 괜히 '''"쓰레기를 집어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Garbage in, garbage out)고 강조하는 게 아니다.
사회조사는 그 말처럼 수많은 사회과학 분야들에서 즐겨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응용적인 성격이 강할수록 사회조사는 더욱 빈번히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몇 가지 분야들을 꼽아보자면 '''인구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정치학, 행정학, 정책학 등이 있으며, 경제학, 간호학, 심리학, 인류학, 종교학 등에서는 자기네만의 고유한 연구방법과 함께 사회조사는 보완적인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런 분야들의 대학원생들이 졸업 후 사회조사 전문업체를 차리거나, 이런 업체들의 도움을 받아 논문을 작성하는 경우도 흔하다. 양적인 거라면 뭐든지 앞서나가는 미국에서는 이미 Amazon Mechanical Turk 같은 온라인 기반 사회조사도 학계에 보편화되어 있다.
《사회복지조사론》 에 따르면[1] 사회조사는 크게 '''욕구조사'''와 '''평가조사'''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나무위키에 한하여 이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자면, 어떤 인문사회 개념이나 현상에 대해 연구자가 자료를 모으고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하는 사회조사가 있고, 그 문제를 다루기 위해 연구자가 개입을 했을 때 그것이 제대로 된 것인지 확인해보기 위한 사회조사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무튼 욕구조사에 있어서 최일섭 등은 조사에 앞서서 먼저 어떤 욕구가 있는지 알아내고, 다음으로 그 욕구들 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해야 한다고 한다. 이 역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낸 다음 여러 문제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사회조사에 대한 비판으로는 사회문제나 현상을 양적인 방식으로만 접근하려다 보니 현상학과 같은 질적인 접근이 경시되는 풍조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있다. 본질적으로 인간과 인간이 모인 사회를 연구할 때에는 그 질적인 맥락과 통찰을 무시할 수 없음에도, 이런 부분들이 전부 수치화되고 계량화되면서 가려져 버린 채 숫자만 남게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객관성과 지적 엄밀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얼마나 통찰력 있는 양질의 가설을 세울 수 있을지,''' 주어진 '''통계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어떤 생산적인 논의를 할지'''가 대단히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는 결국 연구자가 인간에 대해서 갖고 있는 관점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며, 사실상 사회과학에 속하는 거의 모든 학문들에 공통적으로 제기될 수 있는 지적이기도 하다.

2.1. 경제학의 조사


결론 도출적 조사와 실험 조사는 계량화와 함께하는 방법론적 일원론을 사용하는 만큼, 다소 표본을 대충 설정하거나 아예 비대면적으로 진행하는 탓에 모호한 자료가 나오는 탐색적 조사보다 명확하게 수치화되면서도 간결히 정리된 결론 도출을 요구하며 엄격한 구조화가 되어 있다.

2.1.1. 탐색적 조사


'''Explomentory Research'''
마주칠 문제의 정보를 좀 더 얻어내기 위해 시행하는 조사 형태이다. 사회과학 연구가 잠정적인 가설을 일반화하듯이 잠정적 가설의 구체화를 목적으로 한다. 특정 상황의 반응을 알아본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예비적 조사(Pilot Test)로 분류된다. 자유응답형의 형식이다.

2.1.2. 결론 도출적 조사


'''Conclusive Research'''
객관적이고 보다 구체적인 조사 절차를 통해 마케터 본인의 통찰력을 입증할 기회가 된다. 최종 결과를 보고할 목적의 본조사로 분류된다. 공식 자리의 발표 형식으로 쓰는 것이 바로 이 결론 도출적 조사이다.

2.1.3. 서술적 조사


'''Discriptive Research'''
현상의 특성을 명확히 하여, 이것으로 문제를 풀어나간다. 본격적인 문제가 있기 전에 그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서술적 조사가 이용된다.

2.1.4. 실험 조사


'''Experimental Reserch'''
방법론적 일원론으로 인과적 상황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을 용이하게 만드는 방식.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3. 관련 문서



[1] 최일섭, 김성한, 정순둘,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