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득신

 


'''성득신
成得臣[1]
'''

'''최종직위'''
영윤(令尹)
''''''
(羋)
''''''
(成)
''''''
득신(得臣)
''''''
자옥(子玉)
'''아버지'''
투백비(鬪伯比)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기원전 632년
1. 개요
2. 생애
3. 여담

[clearfix]

1. 개요


투백비(鬪伯比)의 아들이며, 투누오도(鬪穀於菟)의 아우.[2] 초성왕(楚成王) 대의 초(楚)나라의 영윤(令尹)이다. 자는 자옥(子玉). 그래서 자옥이라고도 불린다. 아들인 성대심과 성가도 훗날 영윤의 자리에 올랐다.

2. 생애


초 성왕 35년(기원전 635년) 진(秦)나라진(晉)나라가가 약(鄀)나라를 쳤다. 그곳은 신현, 익현 등 커다란 현이 있었다. 이에 성득신은 진(秦)나라 군대를 쳐서 포로를 잡았다.
초 성왕 38년(기원전 634년) 제나라노나라를 치자 노희공이 공자 숙과 장문중을 불러 초나라에게 구원을 요청하니 초나라에서 제나라를 쳤다. 그러자 제환공의 아들들이 초나라로 망명하자 그들을 거두었고, 기(紀)나라를 멸했다.[3]
초 성왕 39년(기원전 633년) 가을에 송나라를 쳤다. 이에 송양공의 아들인 송성공이 진(晉)나라에게 구원을 요청하니 진문공(晉文公)은 송나라를 구하고자 했다.
초 성왕 40년(기원전 632년) 봄 초 성왕이 진(晉)나라와 싸우지 말라고 했으나 성득신은 그 명령을 씹고, 진군과 싸웠다. 진 문공은 초 성왕과의 약속대로 90여리를 물러 주었다.[4] 그러나 성득신은 그동안 세운 공로와 자신의 재주를 믿고 기고만장하여, 계속 추격하자 진 문공은 성득신을 유인해 물리치니 이것이 바로 성복전투다. 결국 성득신은 패해 돌아왔는데, 초 성왕은 크게 노해 자결을 명령하고 성득신은 그대로 자결하여, 생을 마감했다. 그러나 나중에 초성왕이 그것을 후회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진문공은 성복전후 이 후 정문공에게 "성득신이 살아있는 한 중원국은 편치 못할 것이다." 라며 성득신에 대한 경계심을 세웠으나 정문공이 성득신이 자결했음을 일깨우자 "정나라가 복속한 것은 기쁘지 않으나 성득신이 죽은 것은 기쁘구나."라고 했다고 한다. 성득신이 얼마나 출중한 인물이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
그가 죽고 30여년이 지나 기원전 597년 초나라와 진나라가 전쟁을 벌여 필 전투를 벌였다 초나라군은 순림보(荀林父)가 총사령관, 부사령관으로 사회(士會)와 선곡(先縠)이 이끌었으나, 진나라군 상황을 보고 대기하자는 순림보 명령을 선곡이 멋대로 무시하고 먼저 돌격해버렸다.(사회는 군말없이 사령관 명령대로 대기중) 덕분에, 작전에 차질이 벌어지고 이로 인해 초군은 크게 패했다. 패장이 된 순림보는 군말없이 경왕에게 패장으로서 할 말이 없다며 어떤 벌도 달게 받겠다고 하여 경왕이 참수하려고 했으나, 신하인 사악탁(士握濁)이 결사반대했다. 그리고 사악탁이 거론한 고사가 바로 성득신을 죽이게 한 초성왕 이야기였던 것이다.
이 말에 경왕도 생각해보고 순림보를 용서하고, 대신 선곡에게 책임을 물어 일족과 같이 참수했다. 그리고, 3년 뒤 순림보는 부사령관 사회와 같이 노나라와 벌인 장량 전투에서 노나라군를 크게 물리쳐 적군 장수 적적(赤狄)을 베고 필 전투의 치욕을 씻은 공을 거둔다. 경왕은 크게 기뻐하면서 순림보에게 후한 상을 크게 내리며 치하하고, 사악탁에게도 3년전, 순림보를 함부로 해하는 걸 막게한 공로라면서 역시 상을 내리며 치하했다.

3. 여담


열국지에서는 송양지인(宋襄之仁)으로 유명한 송양공(宋襄公)을 홍수전투에서 물리치는데 활약했다고 한다.[5]
[1] 이문열자신이 평역한 삼국지에서 得臣이라는 글자만 보고 자신만만하게 힘들게 얻은 신하라고 번역하는 오류를 저질렀다.[2] 즉, 원래는 투씨 일족인데, 성씨(成氏)로 갈라져 나온 것이다.[3] 다만 기나라가 멸망한 시기가 제양공 대라는 설도 있다.[4] 그런데, 이것은 약속을 핑계로 성득신의 공명심을 역이용해 초군을 몰살시키려는 계책이었다.[5] 다만, 송양공의 성향을 잘 알아 자신만만하게 물리쳤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