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기

 


[image]
1. 개요
2. 어원
3. 상세
4. 발생 지역


1. 개요


위의 사진과 같이 비교적 좁은 지역에 집중되어서 비가 내리는 기상 현상이다.[1]더 많은 비슷한 사진들. 위의 사진과 비슷한 사진들이 모여있다.
적란운(스콜, 슈퍼셀 등)이 통과할 때 내리는 비.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밑으로 파고드는 한랭전선 역시 적란운을 만들기 때문에 소나기를 일으키는 주범이다. 천둥번개, 우박을 동반하며 지형적인 이유로 용오름이나 토네이도가 발생하기도 한다.

2. 어원


'쇠'는 중세국어에서 부사로 '몹시, 심히'란 뜻이다. -나는 나기의 어간이며 -기는 명사형 접미사이다. 즉 '심히 내리다.'란 말로 '쇠나기'로 쓰이던 말이 'ㅣ'가 탈락하며 현대 국어에서 '소나기'가 된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 잘 쓰이지는 않지만 소낙비라고도 한다. 요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갑작스럽게 소나기가 오는 날을 '여우가 시집가는 날'[2]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한자어로는 취우(驟雨)라고 한다.

3. 상세



국지성 소나기가 지나가는 모습을 담은 희귀한 영상.[3]
국내 기준으로 주로 5월~8월 사이[4][5]에 자주 있는 현상으로, 갑자기 매우 강하게 쏟아지다가 금방 그치는 비를 일컫는다. 흐리고 온도가 높은 날 12시~17시 사이[6]에 주로 발생하며 비가 내리는 시간은 1분 미만~20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7]
낮 동안 데워진 지표면으로 인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는데, 단열팽창하며 응결고도를 넘어 생성된 구름이 강하게 발달해 소나기를 뿌린다. 특히 상층과 하층의 온도차가 크게 벌어지는 5월~ 6월 사이에는 천둥번개와 우박을 동반한 소나기가 잦다.[8]
이 현상이 겨울에 발생하면 눈보라를 동반한 소낙눈이 내린다.

4. 발생 지역


열섬 현상이 강한 지역, 대기가 상대적으로 정체된 내륙지역들이 해당된다. 광역/특별시 중에는 분지지형인 대구, 대전이나 열섬현상이 심한 서울이 잦다.
무진장, 남원, 임실 등 전라동부, 강원산간, 충청남부는 깊은 내륙, 산지가 많은 지형적 영향으로 인해 국지적이고 강한 소나기가 쏟아지며, 이로 인해 수해가 발생하고 호우특보가 발효되는 경우도 꽤 있는 편이다.
부산과 인천 등 해안가 지방은 해륙풍으로 인한 대기불안정 완화로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다. [9]

[1] 구름 밑의 희뿌연 연기 같이 보이는 것이 비이다.[2] 혹은 호랑이 장가가는 날. 여우비라는 말도 여기서 비롯된 단어이다.[3] downburst 현상을 볼 수 있다. 다운버스트에 대한 설명 [4] 7월은 장마철이라 소나기 현상이 많지 않은 편.[5] 다만 2019년 3월 15일은 이례적으로 초봄에 많은 소나기가 내렸다.[6] 혹은 새벽에 내리는 경우도 있는데 그때 천둥번개까지 친다면 무척 괴로워진다. [7] 드물게 20분 이상, 1시간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1시간 이상 내리는 비는 소나기로 분류하지 않는다.[8] 사실상 5월에 소나기가 내리면 거의 천둥번개가 칠 때가 많다.[9] 2018년 7월 28일은 예외적으로 인천 남동구와 부평구 일대에서 뇌전 현상을 동반한 강한 소나기가 내렸다. 그러나 이때도 중구, 연수구 등 해안가 지역은 거의 내리지 않았다. 인천 내에서도 내륙 지역에서만 발생한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