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험지수

 


1. 개요
2. 현황
2.1. 소멸 저위험 지역
2.2. 소멸 위험 보통 지역
2.3. 소멸 위험 주의 지역
2.4. 소멸 위험 지역
2.5. 소멸 고위험 지역


1. 개요


만 20~39세 여성 인구를 만 65세 이상 인구로 나누어 낸 지수로 일본의 사회학자 마스다 히로야가 처음 개념을 세웠다. 이 지수가 1.5 이상이면 이 지역은 소멸 위험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매우 낮음, 소멸 저위험), 1.0~1.5인 경우 보통, 0.5~1.0인 경우 주의, 0.2~0.5는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2020년 12월 기준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소멸위험지수 0.5 미만인 위험과 고위험 지역, 기초자치단체 기준)은 105개이다.
전국 228개 시군구 기준 소멸위험 지역은 2020년 12월 105개(46.1%).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지역이라고 정의한다.
초록색은 1.5 이상으로 소멸 저위험지역.
연두색은 1.0 이상 1.5 미만으로 소멸 위험 보통 지역.
노란색은 0.5 이상 1.0 미만으로 소멸 위험 주의 지역.
주황색은 0.2 이상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 지역.
붉은색은 0.2 미만으로 소멸 고위험지역.

2. 현황


[image]
2020년 12월의 소멸위험지수 현황: 이곳

2.1. 소멸 저위험 지역


2020년 12월 기준으로, 소멸위험지수 1.5 이상으로 소멸 저위험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총 7곳이다.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일반구
인천광역시
연수구
대전광역시
유성구
울산광역시
북구
경기도
화성시, 수원시 영통구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없음

2.2. 소멸 위험 보통 지역


소멸위험지수 1.0 이상 1.5 미만으로 소멸 위험 보통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총 32곳이다.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서구, 관악구, 광진구, 동작구, 마포구, 서초구, 성동구, 송파구, 영등포구
부산광역시
강서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남동구, 서구, 중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전광역시
서구
울산광역시
남구
경기도
군포시, 김포시, 부천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오산시, 의왕시, 평택시, 하남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상남도
거제시, 김해시
대구광역시, 강원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없음

2.3. 소멸 위험 주의 지역


소멸위험지수 0.5 이상 1.0 미만으로 소멸 위험 주의로 분류된 시군구는 총 87곳이다.

2.4. 소멸 위험 지역


소멸위험지수 0.2 이상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총 76곳이다.

2.5. 소멸 고위험 지역


소멸위험지수 0.2 미만으로 소멸 고위험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총 29곳이다.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전라북도
고창군, 무주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전라남도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신안군, 함평군
경상북도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청도군, 봉화군, 영양군, 영덕군
경상남도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하동군, 함양군, 합천군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