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회
1. 개요
試寫會, preview
본격적인 영화의 개봉에 앞서 특정 인원들에게 미리 상영하는 것.
2. 종류
2.1. 기술 시사회
영화 감독을 비롯한 제작진들과 투자자 등 영화 제작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인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사회. 1차적으로 제작된 영화를 함께 보면서 최종적인 수정을 논하기 위해 시행한다. 당연히 실제로 영화관에 걸리는 영화와는 차이가 상당한 편이다. 씬넘버나 러닝타임 등 다양한 정보가 영화와 함께 표시된다.[1]
2.2. 배급 시사회
영화 배급사와 영화관 관계자, 판권 관계자 등 배급 관련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사회. 실제로 영화를 팔아야하는 사람들이 참가하는 시사회로 일종의 B2B 영업 단계라고 보면 된다. 배급 시사회에서 좋은 평을 받지 못하면 스크린 수가 줄어들 수도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2.3. 언론 시사회
기자들과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사회. 극장에 영화를 걸기 전에 먼저 전문가들에게 이 영화가 어떠한 영화인가에 대해 미리 알려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행한다. 영화가 개봉되기도 전에 평론가들의 평가와 기사가 먼저 올라오는 것은 이 때문. 일종의 홍보 단계로 언론 시사회에서 상영되는 영화는 거의 완성된 영화라고 보면 된다.
2.4. 관객 시사회
실제 일반인 관객들을 초청해서 여는 시사회. 상기된 시사회들은 업계 관계자가 아니면 거의 참여하는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반인이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시사회이며 일반적으로 시사회라고 하면 관객 시사회를 뜻한다. 실제 관객들의 반응을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향후 마케팅의 방향이나 추가 편집 등의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시행한다. 관객 시사회에서 상영되는 영화가 그대로 극장에 걸리는 경우가 많으며, 중대한 편집상의 실수 등이 아니라면 여기서 추가편집이 일어나는 경우는 드물다.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관객 시사회는 인기가 많기 때문에 보통 이벤트나 추첨을 통해 참여자를 모집하는데 이렇게 얻은 시사회표를 제 3자에게 판매하거나 당일 시사회에 참여하지 않는 노쇼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영화사에 간접적으로 피해를 끼치는 일이며 악의적으로 이러한 행위를 하다가 적발되면 추후 시사회 당첨에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으니 지양해야한다.
최근에는 유료 시사회라는 이름으로 사실상의 변칙 개봉에 가까운 관객 시사회가 열리기도 한다.
3. 여담
- 일반적으로 시사회는 무료로 참석이 가능하다. 영화사에서 관객들을 초청하는 형태로 열리기 때문. 거기에 더해 시사회 참석자들에게 포스터나 영화 관련 굿즈 등을 증정하는 행사를 하기도 한다.
- 최근 SNS 등을 통해 영화의 흥행에 관객의 입소문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신경을 쓰는 편이다. 다만 상세한 영화 내용 등의 표현은 엠바고를 걸어서 스포일러 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게 일반적이다.
4. 관련 문서
[1] 아예 서로 노트와 펜을 손에 쥐고 이 부분은 이렇게 고치는게 좋겠다며 서로 의논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