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설

 

新小說
1.1. 개요
1.2. 특징
1.3. 대표 작품
2. 일본의 메이지 시대의 문예 잡지
3. 프랑스의 문예사조


1. 개화기에 쓰인 한국 소설





1.1. 개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쓰인 고전소설에서 근현대 소설로 가는 과도기적 소설을 말한다. 1906년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新報)』의 광고에서 처음 쓰인 말이며, '''개화기 소설'''이란 표현과 혼용되었다.

1.2. 특징


  • 계몽주의 사상을 주로 담고 있다.
  • 기연에 의거하는 고전소설의 특징이 남아 있긴 하지만, 구조와 형식에 있어서 외국의 소설의 영향을 받았다.
  • 중국의 백화문과 같이 한문문어체에서 벗어나 언문일치를 이루었다.
  • 민자를 통한 출간이 가속되었다.

1.3. 대표 작품


  • 혈의 누#s-1』(1906), 『은세계』(1908) - 이인직
  • [1]
  • 자유종』(1910), 『봉선화#s-4』(1912) - 이해조
  • 추월색』(1912) - 최찬식

2. 일본의 메이지 시대의 문예 잡지


1889년(메이지 22년)에 창간되어 약 10년간 메이지문단을 이끌어 온 양대 잡지 중 하나. 『오중탑(五重塔)』을 쓴 코우다 로한(幸田 露伴)을 중심으로 당대의 신인작가를 발굴했다.

3. 프랑스의 문예사조


누보로망(nouveau roman), 앙티로망(anti-roman, 反小說)이라고도 한다. 이는 장 폴 사르트르나탈리 사로트의 『미지인의 초상(Portrait d' un inconnu)』(1948) 서문에서 처음 사용한 말이다.
사실적인 묘사와 치밀한 플롯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소설 기법에서 벗어나, 매 순간 떠오르는 기억이나 감각에 따라 글을 쓰는 경향을 말하며, 1950년대 프랑스에서 발생하였다.
주요 작가로는 위에 언급한 나탈리 사로트(Nathalie Sarraute), 『질투(La Jalousie)』(1957)를 쓴 알랭 로브그리예(Alain Robbe-Grillet), 『변모(La Modification)』(1957)를 쓴 미셸 뷔토르(Michel Butor), 『플랑드르로 가는 길(La Route des Flandres)』(1960)을 쓴 클로드 시몽(Claude Simon)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 영향을 받은 작가로는 『한없이 낮은 숨결』(1989)을 쓴 이인성#s-2이 있다.

[1] 번안소설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여기에 안국선이 친일인명사전에 관료로 오른 것까지 포함되어서 거의 흑역사 취급을 받기 시작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