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동
[clearfix]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 면적은 8.69㎢이며 인구는 74,662명였으나, 2016년 4월 종촌동 주민센터가 개청함으로써 종촌동이 별도의 행정동으로 분리되었다. 분리 이후에도 51,070명[2] 으로 세종시내에서 여전히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었다. 2-4생활권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행정도시 내에서 나름대로 중심 상권 역할을 할 예정. 2017년 2월 고운동이 행정동으로 분동됨으로써 인구가 2만명대로 떨어졌다.
동 이름은 한아름 넘치는 풍족한 삶을 사는 곳이라는 뜻에서 지은 순우리말 지명이다. 중국어로는 阿凛洞으로 음차 표기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 1-2생활권. 세종국제고등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가 있고, 사교육 시장이 발달되어 있다. 아름동교차로 서측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공설 수영장과 체육시설이 있는 아름스포츠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아름동 복합커뮤니티센터는 1생활권의 지역중심복합커뮤니티센터로 지정되어(2생활권은 새롬동, 3생활권은 보람동) 주민센터, 119안전센터, 파출소의 규모가 1생활권 내 타 생활권에 비해 크게 조성되어 있다. 초등학교 2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3개(일반고 1개, 특수목적고 2개)교가 있지만 각급 학교 규모가 학교 건설시 예정되어 있는 수용 인원을 초과해 결국 증축이 이뤄졌음에도 넘쳐나는 학생을 수용하지 못해 신음을 앓고 있다. 시 교육청에서는 범지기마을 2단지로 예정되있는 아름동 공공기관 부지 위 부지를 반으로 잘라 학교용지로 용도변경하여 아름2중학교를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어서 향후를 지켜봐야 할듯. 허나 아름동 바로 옆인 고운동 학교들은 아름동과 달리 포화는 커녕 널널하다보니 신설 가능성이 있을지는.... #
2. 역사
- 2005년 5월 24일: 행정중심복합도시예정지역 편입
- 2011년 12월 26일: 남면 첫마을출장소 개소
-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법정동으로서 아름동 신설, 행정동으로는 한솔동에 속함.
- 2014년 2월 10일: 한솔동의 5개 동을 도담동으로 분동, 행정동으로서 도담동에 속함. [3]
- 2015년 1월 26일: 도담동의 3개 동을 아름동으로 분동. [4]
- 2015년 12월 28일: 책임읍면동제 시행으로 행정동으로서 아름동, 도담동을 관할하는 1생활권 통합 행정복지센터가 개소.
- 2016년 4월 18일: 아름동에서 행정동으로서 종촌동을 분동.[5]
- 2017년 2월 20일: 아름동에서 행정동으로서 고운동을 분동.
3. 교육
- 초등학교
- 아름초등학교
- 나래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4. 주요 시설
4.1. 기관
-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 선박안전기술공단
- 축산물품질평가원
- JB전북은행 세종아름지점
5. 교통
6. 공동주택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 참조바람
지역 고유어 전래명칭 ‘범지기마을(천), 가운데말, 긴골, 늪말, 평들, 오가낭골, 통뫼, 해지개’ 중에서 조음의 효율성을 고려해 고정리에 위치한 마을이었던 ‘범지기마을’을 활용하여 명명하였다. 마을이 범이 누워있는 모습을 닮아 ‘범지기’라 불렀다는 데서 유래했다.[6]
- 범지기마을 1단지 한양 수자인 에듀센텀
- 범지기마을 3단지 중흥 S-클래스 에듀하이
- 범지기마을 4단지 한양 수자인 에듀시티
- 범지기마을 5단지 금호 상록어울림
- 범지기마을 6단지 금호 상록어울림
- 범지기마을 7단지 호반 베르디움 에코시티2차
- 범지기마을 8단지 대우 푸르지오
- 범지기마을 9단지 한신 휴플러스 엘리트파크
- 범지기마을 10단지 대우 푸르지오
- 범지기마을 11단지 영무 예다음
- 범지기마을 12단지 중흥 S-클래스 에코타운
7. 기타
- 해피라움에 학원이 밀집하여 있다.
- PC방은 해피라움 3동 3층에 시즌아이가,해피라움 1동 2층에 원탑 PC방 위치하며,영토플라자에 BoB PC이 4층에 위치한다.
- 2017년 말, 올리브영이 생겨서 안그래도 복잡한 교통이 더 복잡해졌다.
- 현재 해피라움 1동 뒤와 세종센터빌딩·경찰서 사이에 주차타워가 있다만, 유료라서 아직도 불법주정차가 보인다.
- 버거는 세종센터빌딩에 버거킹이 입주예정이고, 해피라움 1동 옛 공차 자리에 맘스터치가, 해피라움 1, 2동 뒷편 상가에 마미쿡이 위치했었으나 마미쿡은 2016년 1월 폐업하였다.
- 롯데슈퍼가 해피라움 2동 뒷편에 위치하였으나, 폐업하였다.그 자리엔 KT가 들어왔다. 이마트 에브리데이가 11단지 상가에 위치한다. 또한, GS수퍼마켓이 해피라움 1동 뒷편 주차타워 1층에 위치하며, 세종센터빌딩·경찰서 사이의 주차타워 1층에 싱싱장터가 위치한다.
- 빵집은 해피라움 2동에 파리바게트가, 8단지 보행자 전용도로 옆 상가에 브레드미가 있다. 과거에는 뚜레쥬르가 해피라움 4동에 위치하였으나, 2017년 말과 2018년 초 사이에 조용히 폐업하였다.
- 이번 제19대 대선에서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이 호남지역을 제외한 지역들 중 가장 낮은데 홍준표 후보는 이곳에서 고작 8.7%의 득표율을 얻는데 그쳤다. 이는 전라북도 무주군에서의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과 비슷하다. 더불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이 지역의 민주당 시의원 후보가 자유한국당 후보를 상대로 무려 87.4%라는 경악할만한 득표율로 당선됐는데, 놀랍게도 호남을 제치고 전국 1위에 해당하는 득표율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