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곧은엄니코끼리

 

'''아시아곧은엄니코끼리
Palaeoloxodon namadicus
'''
[image]
'''학명'''
''' ''Palaeoloxodon namadicus'' '''
Falconer & Cautley, 1846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Chordata)
'''강'''
포유강(Mammalia)
'''목'''
장비목(Proboscidea)
'''과'''
코끼리과(Elephantidae)
'''속'''
†팔라이올록소돈속(''Palaeoloxodon'')
''''''종''''''
†''' ''P. namadicus'' '''(모식종)
Falconer & Cautley, 1846
[image]
아프리카코끼리와의 크기비교 크게 보기
1. 개요
2. 상세


1. 개요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아시아 전역에 걸쳐 폭넓게 서식한 코끼리의 일종.

2. 상세


19세기에 처음 발견되어 학계에 꽤 오랫동안 알려졌던 종이지만, 화석이 너무 단편적으로 발견되어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특이한 점은 2015년에 크기 추정이 이루어졌는데, 몸길이는 12m, 어깨 높이는 5m, 몸무게는 19t에 육박한 것으로 나왔다. 이 정도면 가장 큰 육상 포유류로 간주되어 온 파라케라테리움을 뛰어넘는 수준.
이는 아프리카코끼리보다 4배나 무거운 것이며, 용각류 공룡 디플로도쿠스바로사우루스 등에도 밀리지 않은 어마어마한 크기. 용각류들이 트라이아스기부터 쥐라기 동안 무려 8000만년이 넘는 굉장히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10t을 넘는 거대한 사이즈에 도달했던 반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대략 3500만년) 크기가 커진 것은 꽤 이례적인 경우다.
용각류들은 골격 내부에 공기 주머니가 들어 있어 거대한 몸에도 문제없이 활동할 수 있는 등, 거대한 크기로 자라는 것에 대해서는 포유류들보다 훨씬 유리해 보이는 걸 감안하면 이런 커다란 포유류는 독특한 사례. 또 다른 거대 포유류인 파라케라테리움처럼 발견된 화석이 적어 연구가 거의 되지 않아 불분명한 점이 많지만, 양쪽 모두 역대 지상 최대급 포유류로 불릴 만하다.
나우만코끼리와 같은 팔라이올록소돈속으로 분류되지만, 일각에서는 독립된 종이 아니라 팔라이올록소돈속의 구성원들 중 흔히 유럽곧은상아코끼리라고도 불리는 안티쿠스종(''P. antiquus'')의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 이 팔라이올록소돈속에는 상당히 큰 종들이 많았는데, 유럽곧은상아코끼리는 몸무게가 16t에 육박했으며, 아프리카곧은상아코끼리(''P. recki'')는 몸무게가 12t이나 나갔다.
이들은 추운 기후를 선호했던 매머드들과는 달리 온대 기후에서 번성했는데, 마지막 빙하기가 오면서 내륙 지방에서는 24000년 전에 멸종되고 매머드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대신 지중해시실리, 몰타, 키프로스 섬들과 일본의 섬에서 소형화된 종들이 비교적 최근까지 살아남았는데, 일본에 살았던 종이 바로 나우만코끼리이다. 나우만코끼리는 그나마 아시아코끼리보다 약간 작은 정도였으나, 지중해에 살던 종들은 몸무게가 가장 큰 종이 대략 1t, 나머지는 몸무게가 약 200kg에 불과할 정도로 자그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