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جمهوری دمکراتی افغانستان '''
[image]
[image]
국기
국장
[image]
1978 ~ 1992
위치
아프가니스탄 지역
수도
카불
정치체제
사회주의(공산주의)
공화제
일당제
국가원수
혁명평의회 의장(1978~1987)
대통령(1987~1992)
언어
다리어, 파슈토어
성립 이전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멸망 이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1. 개요
2. 역사
2.2.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2.3.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2.5. 제2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3. 국기

[clearfix]

1. 개요


1978년에서 199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 존재했던 공산주의 국가. 1987년부터는 국명을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으로 바꿨다.
국기와 국장이 3번 바뀌었듯이 국가 또한 가사가 3번이나 바뀌었다. 특히 3번째로 바뀐 가사는 전쟁에 지친 민중들의 마음을 반영하듯 "우리는 평화와 자유, 빵과 집과 옷을 원한다" 는 식의 가사라 한 나라의 국가치고 굉장히 비참하다.

2. 역사



2.1. 아프가니스탄 왕국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1919년 왕국으로 독립한 아프가니스탄은 1933년 모하마드 자히르 샤 국왕이 즉위하면서 정치, 경제적으로 평화를 누렸다. 그러나 아프간은 내부적으로 파슈툰, 하자라, 타지크 등 아프간 내 여러 민족들의 갈등과 왕정을 지지하는 왕당파와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국을 수립하자는 공화파와 사회주의파,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 건설을 주장하는 이슬람 원리주의파 등으로 나뉘어져 내부 분열과 내전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1965년 소련의 공산주의 이념에 심취되어 있었던 누르 모하마드 타라키 등 아프간 국내 좌익 인사들이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이라는 정당을 세웠고 이들은 농민, 노동자, 극빈층 등의 지지를 키워나가 아프가니스탄 최대 좌익 정당으로 성장했다.

2.2.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년 전 총리였던 모하마드 다우드 칸이 쿠데타를 일으켜 자히르 샤 국왕을 몰아내고 군주제를 폐지하여 공화국을 선언했다. 다우드 칸은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다우드 칸은 쿠데타를 일으킬 당시 왕정통치에 반대하던 아프가니스탄 최대 공산주의 정당인 인민민주당 등 아프가니스탄 내 좌익 세력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대통령이 된 다우드 칸은 장기 독재를 꿈꾸며 점차 다른 세력들을 탄압해 나갔는데, 공산주의 세력과 아흐마드 샤 마수드, 부르하누딘 라바니 등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을 동시에 탄압하는 치명적인 우를 범했다. 이에 그에 독재에 대한 아프간 내부의 불만이 거세어져 갔다.

2.3.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1978년 4월 소련의 공산주의 이념을 지지하던 군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궁을 공격, 다우드 칸 일가를 몰살시킨 후 감옥에 투옥되어 있었던 인민민주당 당원들을 석방시켜 새 정부를 구성하게 했다. 4월 30일 인민민주당의 지도자였던 누르 타라키가 새 정부의 대통령에 취임하여 인민민주당 1당 독재 국가인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이로서 아프가니스탄은 친소련 공산국가가 되었다.
공산 아프가니스탄의 초대 대통령(주석)이 된 타라키는 왕정처럼 세속주의를 추구했다. 타라키 공산 정권은 토지 국유화, 사유 재산 금지, 조혼 금지, 농촌 부채 탕감 등의 전형적인 소련식 공산주의 개혁 정책을 밀어붙였으나 개혁은 대중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결정적으로 종교를 부정하는 공산주의의 이념에 따라 인민민주당 공산 정권은 이슬람교를 탄압했고 이는 이슬람 문화가 뿌리깊은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타라키 공산정부에 저항하여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이른바 무자헤딘이라는 이름의 이슬람 반란군들이 봉기하여 타라키 공산 정권에 무장투쟁을 벌이며 내전이 발생했다. 타라키 공산 정부는 무자헤딘 반란군 수만명을 잡아 처형했다. 내전으로 인한 전투 및 정부의 보복 처형으로 아프가니스탄은 아비규환이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인민민주당은 내부적으로도 여러 파벌들로 분열되어 서로 권력 쟁탈전을 벌이는 등 그 상태가 영 아니었다. 또한 대통령이 된 타라키마저도 정권 내부의 갈등 조정과 국내 무자헤딘 반군 진압 등 강력한 지도력을 내지 못했고 인민민주당 내 일부 인사들도 타라키 대통령의 자질을 의심하면서 아프가니스탄은 더욱더 혼란한 상황으로 빠져들었다.
1979년 9월 16일 타라키의 심복이었던 하피줄라 아민이 자신의 지지자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대통령인 타라키를 암살하였다. 타라키를 암살한 아민은 타라키의 사인을 심장마비로 위장발표하였고 자신이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대통령이 된 아민은 공산 정권 통치에 반대하는 자국민들과 정치적 반대자들을 가혹하게 탄압, 학살하는 등 억압적인 독재정치를 펼쳤고 무장투쟁을 펼치던 국내 무자헤딘 반란군들에 대한 반군 진압 또한 더욱 강화했다.

2.4.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그러나 이러한 아민의 폭력적 독재에도 아프가니스탄 정국은 잠잠해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이러한 아프가니스탄의 정국 불안은 근접해 있던 소련을 더욱 더 자극했다. 소련 정계 내부에서는 이러한 아프가니스탄의 내분을 방치하면 아프간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이슬람 인구가 밀집한 소련 남부의 공화국들에 영향력이 미칠 가능성을 우려한 데다가 친소파였던 아민이 사실 미국 유학 시절 CIA에 포섭된 친미파여서 미국에 접근하고 있다는 거짓 정보에 속아[1] 무력 침공 계획을 수립하였고 결국 1979년 12월 소련은 아프가니스탄 국내 내분 종식을 명분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카불을 점령하고 아민 일가는 소련에 의해 파견된 KGB 요원들에게 사살당하고 말았다.[2]
한편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아민을 살해한 소련은 타라키와 아민과의 권력 쟁탈전에서 밀려나 체코슬로바키아 대사로 좌천되어 버린 바브라크 카르말을 아프가니스탄으로 귀국시켜 새 대통령으로 옹립하고 사실상 아프가니스탄을 위성국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러나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자 국내 공산정권을 상대로 저항하던 무자헤딘 반란군들은 서방의 지원을 받아 모든 총부리를 아프가니스탄 점령 소련군에 돌려 공격하였고 결국 아프가니스탄은 무자헤딘 아프가니스탄 반란군과 소련군 사이의 전쟁터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소련의 지원을 받아 대통령이 된 카르말은 공산 독재 통치를 어느정도 완화하면서 국내 내정 안정에 힘을 쏟았다. 그리고 한편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아 정부군의 전력을 강화하는 등 소련군과 합동으로 정부 통치에 저항하는 국내 무자헤딘 반란군 토벌 작전도 벌였다. 그러나 이러한 카르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은 좀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더욱이 국내 영토 장악에도 실패해 결국 수도 카불과 일부 지역들을 제외하고 모든 아프가니스탄의 지역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다.
결국 카르말은 소련군과 국내 무자헤딘 반란군 사이에 전쟁이 절정에 달하던 1987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나 소련으로 망명했고 그의 뒤를 이어 카르말 정부 아래에서 비밀경찰 국장을 맡고 있었던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새 대통령이 되었다. 당시 공산권이 붕괴되고 있던 세계적인 분위기 속에서 대통령이 된 나지불라는 공산주의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을 완화하기 위해 공산주의를 완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사회주의 경제 체제를 폐지하고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도입했고 억압적이었던 사회 분위기도 대폭 완화하는 정책을 펼쳤다. 국호도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에서 예전의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으로 개정하고 유일한 정당이었던 집권 인민민주당도 해체했다. 그동안 내전으로 인한 적대 세력이었던 무자헤딘 반란군 세력들에게 화평을 제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지불라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거의 눈속임에 지나지 않았고, 실권의 대부분을 구 인민민주당 세력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때문에 무자헤딘들은 나지불라의 화평 제의를 거부했고, 나지불라의 이런 정책들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2.5. 제2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1980년대말 아프가니스탄의 정국 불안은 해결되기는 커녕 오히려 극에 달했고, 이 수렁에서 빠져나올 기미가 보이지 않자 마침내 1989년 소련의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철수를 결정했다. 철수하지 말아달라는 나지불라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군사지원은 계속 해주겠다면서 철군을 시작했다. 결국 소련군은 1989년 2월 철수했다.
소련군이 철수하자 무자헤딘 반란군들은 화력을 나지불라 정부에 집중하게 되었고, 아프가니스탄 정국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나지불라 정부군과 무자헤딘 반란군 사이에 내전으로 전환되었다. 소련은 군대를 철수시킨 후에도 나지불라 정부군에 대해 지속적인 군사지원을 유지했고 덕분에 나지불라는 무자헤딘의 거센 공격에도 권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나지불라 정권에 대한 소련의 지원이 끊겼고, 나지불라 정권은 고립무원 상태에 내몰렸다. 이후 이듬해인 1992년 무자헤딘 반란군은 나지불라 정권과 구 인민민주당 세력들의 최대 거점지인 수도 카불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펼쳐 결국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은 1992년 4월 국내 무자헤딘 반란군들에 의해 패망하고 말았다.

3. 국기


[image]
[image]
[image]
1978년 ~ 1980년
1980년 ~ 1987년
1987년 ~ 1992년

[1] 참고로 이 소문은 아민을 압박해 아프간의 공산화를 더 촉진하기 위해 KGB가 아민의 반대파들을 선동해서 퍼뜨리게 한 것이었다. 그러니까 자신들이 퍼뜨린 소문에 자신들이 속아넘어간 것이다.[2] 여담으로 친소파였던 아민은 소련군이 자신을 죽이러 온 줄도 모르고 소련군에 도움을 요청하라고 했다. 그는 살해된 이후 미국의 앞잡이로 격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