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기에우워 왕조
1. 개요
야기에우워 왕조는 1386년 폴란드 왕국 여왕 야드비가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요가일라의 결혼을 통해 성립된 왕조로, 요가일라를 폴란드식으로 읽으면 야기에우워가 된다. 가톨릭으로 개종 후 폴란드 왕으로 즉위한 요가일라는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며,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동군연합[1] 을 구성했다. 이후 야기에우워의 후손들이 폴란드의 왕 겸 리투아니아의 대공으로 16세기 말까지 통치하게 되는데, 특히 지그문트 1세와 지그문트 2세의 통치 시기는 폴란드 왕국 역사상 최전성기에 해당한다. 이후 양국은 1569년 루블린 조약을 통해 하나의 나라로 통일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거듭나게 된다.
야기에우워 왕가의 왕들은 폴란드 국왕(1386~1572), 리투아니아의 대공(1377~1397, 1440~1572) 외에도 헝가리 왕국(1440~1444, 1490~1526), 보헤미아 왕국(1471~1526)의 왕위에 올랐다.
2. 여담
의외로 벨라루스 역사에서도 중요한 왕조이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절 당시 리투아니아와 중세 벨라루스(루테니아)는 두 민족 한 나라였기 때문이다. 브와디스와프 3세와 카지미에시 4세는 야드비가 사후 브와디스와프 2세가 새로 맞아들인 벨라루스 출신 왕비 소피아의 소생이기도 하다. 때문에 이 시기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양국의 최전성기에도 해당하며 특히 벨라루스 민족 문화는 이 시기에 프란시스크 스카리나 같은 걸출한 인물을 배출하며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다. 루블린 조약 이후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폴란드화가 가속화되어 정교회를 믿는 루테니아 귀족들의 입지는 이전보다 많이 약화되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계 야기에우워 왕조의 군주들은 명군이 많았지만 헝가리의 국왕으로썬 당시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쇠퇴기에 접어든 헝가리 왕국을 재건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3. 역대 왕 목록
-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
- 브와디스와프 3세
- 카지미에시 4세
- 얀 1세 올브라흐트
- 울라슬로 2세
- 알렉산데르 야기엘론치크
- 지그문트 1세
- 러요시 2세
- 지그문트 2세
[1] 양국의 독립성을 인정한 상태에서 공통의 군주를 섬기는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