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예술가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image]
빛 속성의 공격력을 받은 데미지 계산시에만 수비력이 반감되는 지속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그야말로 존재 의미를 알 수 없는 '''의미불명의 카드'''. 같은 조건에서 수비력이 2배가 되는 효과여도 쓸까 말까인데, 능력치도 안 좋은 주제에 디메리트 효과만을 가지고 있는 괴상한 카드다.
수비력이 절반이 되는 것을 어떻게 이용해볼 방법도 딱히 없기 때문에 취미로 넣지 않는 이상 의미 있는 사용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굳이 이용하자면 상대 빛 속성 몬스터에게 메테오 스트라이크 같은 걸 씌우고 이 카드를 공격하게 하면 관통 대미지는 상대가 받기 때문에 대미지가 올라가지만, 그래봤자 추가되는 대미지는 겨우 700. 몬스터의 공수 증감 효과를 뒤집는 심술꾸러기의 저주랑 콤보로 쓰면 되나 해봐도, 이 카드의 효과는 수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비력을 '''절반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라 심술꾸러기의 저주마저 적용시킬 수가 없다.
이 카드는 1기에 나온 카드다. 혹시 그 당시에는 1400이면 높은 수비력이어서 공격력 2000 이상의 하급 효과 몬스터에게 디메리트를 씌우듯 이런 디메리트를 씌운 것이 아닐까 할 수도 있겠지만, 같은 팩에서 아무 디메리트도 없이 같은 수비력을 가진 몬스터가 둘이나 나온데다 그 이전에 이미 홀리 엘프나 하프의 정령 같은 다른 수비력 2000짜리 카드들도 있었다. 레벨 3이라는 점까지 따져도 이미 암석 거인이 존재했던지라 이 카드는 딱히 이런 디메리트를 가져야 할 이유가 없었다.
전술한 심술꾸러기의 저주는 이 카드와 같은 팩에서 등장한 카드인데, 결국 이 카드의 발매 의도는 심술꾸러기의 저주가 적용되는 효과가 있고 적용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는 점, 즉 공수 증감과 공수 변경 효과는 서로 다르다는 점을 구분하라는 배려가 아니었냐는게 그나마 나와 있는 추측이다.(…)
오래된 카드인데다가 성능도 난감해 딱히 재록될 여지도 없었고 해외에 수출조차 되지 않고 있다가 TCG판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추가 카드로 나오면서 겨우 처음으로 수출되었다. 물론 부스터 팩을 뜯었더니 이 시대에 이런 카드가 튀어나오는 걸 경험하게 되는 그쪽 사람들의 기분은 상당히 착잡할 것이다.(…)
효과 텍스트가 마치 공격을 받았을 때 발동하는 유발 효과에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효과처럼 되어 있지만, 이는 이 카드가 1기 시절의 미비한 텍스트를 그대로 쓰고 있기 때문일 뿐이다. 각종 게임에서 수록될 땐 이 카드의 효과는 '''지속 효과'''로 수비력 반감도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대미지 계산시 한정인 것으로 처리된다. 실제로 미국에서 재록되면서 새로 재정된 텍스트도 게임에서의 처리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게임보이로 발매된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효과가 없는 일반 몬스터로 등장하며, '어둠의 예술가. 차례차례로 만들어내는 오브제로 적을 뭉개버린다.'라는 오리지널 플레이버 텍스트가 존재했다. 즉, 일러스트 뒤에 있는 것이 '어둠의 예술가' 본인이고, 앞에 나와있는 석상은 그의 '작품이자 무기'이며, 이걸로 적을 찌부러뜨린다는 것이 된다.
일본판에서는 이름을 "어둠의 예술가"라고 쓰고 "다크 아티스트"라고 읽는 카드였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 확인해볼 수 있는 번역명은 루비를 무시한 어둠의 예술가.
'''수록 팩 일람'''
[image]
빛 속성의 공격력을 받은 데미지 계산시에만 수비력이 반감되는 지속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그야말로 존재 의미를 알 수 없는 '''의미불명의 카드'''. 같은 조건에서 수비력이 2배가 되는 효과여도 쓸까 말까인데, 능력치도 안 좋은 주제에 디메리트 효과만을 가지고 있는 괴상한 카드다.
수비력이 절반이 되는 것을 어떻게 이용해볼 방법도 딱히 없기 때문에 취미로 넣지 않는 이상 의미 있는 사용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굳이 이용하자면 상대 빛 속성 몬스터에게 메테오 스트라이크 같은 걸 씌우고 이 카드를 공격하게 하면 관통 대미지는 상대가 받기 때문에 대미지가 올라가지만, 그래봤자 추가되는 대미지는 겨우 700. 몬스터의 공수 증감 효과를 뒤집는 심술꾸러기의 저주랑 콤보로 쓰면 되나 해봐도, 이 카드의 효과는 수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비력을 '''절반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라 심술꾸러기의 저주마저 적용시킬 수가 없다.
이 카드는 1기에 나온 카드다. 혹시 그 당시에는 1400이면 높은 수비력이어서 공격력 2000 이상의 하급 효과 몬스터에게 디메리트를 씌우듯 이런 디메리트를 씌운 것이 아닐까 할 수도 있겠지만, 같은 팩에서 아무 디메리트도 없이 같은 수비력을 가진 몬스터가 둘이나 나온데다 그 이전에 이미 홀리 엘프나 하프의 정령 같은 다른 수비력 2000짜리 카드들도 있었다. 레벨 3이라는 점까지 따져도 이미 암석 거인이 존재했던지라 이 카드는 딱히 이런 디메리트를 가져야 할 이유가 없었다.
전술한 심술꾸러기의 저주는 이 카드와 같은 팩에서 등장한 카드인데, 결국 이 카드의 발매 의도는 심술꾸러기의 저주가 적용되는 효과가 있고 적용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는 점, 즉 공수 증감과 공수 변경 효과는 서로 다르다는 점을 구분하라는 배려가 아니었냐는게 그나마 나와 있는 추측이다.(…)
오래된 카드인데다가 성능도 난감해 딱히 재록될 여지도 없었고 해외에 수출조차 되지 않고 있다가 TCG판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추가 카드로 나오면서 겨우 처음으로 수출되었다. 물론 부스터 팩을 뜯었더니 이 시대에 이런 카드가 튀어나오는 걸 경험하게 되는 그쪽 사람들의 기분은 상당히 착잡할 것이다.(…)
효과 텍스트가 마치 공격을 받았을 때 발동하는 유발 효과에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효과처럼 되어 있지만, 이는 이 카드가 1기 시절의 미비한 텍스트를 그대로 쓰고 있기 때문일 뿐이다. 각종 게임에서 수록될 땐 이 카드의 효과는 '''지속 효과'''로 수비력 반감도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대미지 계산시 한정인 것으로 처리된다. 실제로 미국에서 재록되면서 새로 재정된 텍스트도 게임에서의 처리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게임보이로 발매된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효과가 없는 일반 몬스터로 등장하며, '어둠의 예술가. 차례차례로 만들어내는 오브제로 적을 뭉개버린다.'라는 오리지널 플레이버 텍스트가 존재했다. 즉, 일러스트 뒤에 있는 것이 '어둠의 예술가' 본인이고, 앞에 나와있는 석상은 그의 '작품이자 무기'이며, 이걸로 적을 찌부러뜨린다는 것이 된다.
일본판에서는 이름을 "어둠의 예술가"라고 쓰고 "다크 아티스트"라고 읽는 카드였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 확인해볼 수 있는 번역명은 루비를 무시한 어둠의 예술가.
'''수록 팩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