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버스 39-2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연천군 농어촌버스 39-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고대산입구)
종점
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동두천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6:30
막차
21:30
막차
22:30
배차간격
10~20분
운수사명
연천교통
인가대수
12대(예비 1대)[1]
노선
고대산입구 - 신탄리역 - 대광리주유소 - 대광리역앞 - 신서면주민자치센터 - 도신3리 - 와초리 - 신망리역 - 옥산다리 - 연천중.고등학교 - 연천역 -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연천군청 - 연천읍슈퍼 - 통재입구 - 고포리입구 - 은대리 - 전곡읍사무소앞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선사박물관앞 - 한탄강관광지입구 - 학담입구 - 초성리역 - 마니커 - 하봉암동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성보주택 - 지방산업단지 - 동양대학교 - 동두천역

2. 개요


연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과거에는 하루 4번 대광리 대신 내산리로 가던 내산리 지선이 있었다. 이 노선은 2009년 하반기에 39-8번으로 분리되었다.
  • 오래 전에는 이 노선과 공동배차하는 대양운수의 53(대광리지선)이 있었지만 언제 사라졌는지 조차 모른다.
  • 2009년 12월, 노선이 대광리주유소에서 신탄리역까지 연장되었다. 반대로 철원 동송행 지선은 신탄리역으로 단축되었다.
  • 본래는 신탄리역에서 철원까지 운행하는 지선 노선이 있었다. 처음에는 39-2번의 지선 노선답게 39-2번으로 운행했지만, 이후 39-3번으로 변경되면서 아예 별개의 노선이 되었다. 이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철원 버스 13 문서를 참조할 것.
  • 2014년 6월, 수도권 시내버스 최초로 듀에고 EX가 투입되었으나, 현재는 39-8번에서 운행 중이다. 관련 게시물 대신에 2차 도입분인 듀에고 CT가 투입되었지만, 이 차량도 재도색되면서 70번으로 넘어갔다. 비슷한 시기에 동두천 - 연천 구간을 반복운행하는 39-5번이 분리되었지만 다시 흡수되어 제자리로 돌아갔다.
  • 2019년 5월 1일에 동재마을 지선이 신설되었다. 신탄리역 기준 08시 전후, 18시~20시 경 운행한다. 신탄리역 북쪽 모 군부대 앞에서 회차한다.
  • 2019년 6월 27일부터 36번 심야 노선이 연천구간에서 철수하게 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심야 운행을 시작했다. 기점 기준 22:45, 00:00에 고대산입구에서 출발하여 동두천역에서 회차 후 연천역까지만 운행했다. 이후 심야 노선은 33번과 33-1번으로 분리되었다.

4. 특징


  • 동재마을 지선의 경우, 수도권 버스 중 가장 북쪽으로 가는 노선이다.[2][3][4]
  • 연천읍-신서면 구간은 사실상 독점구간이었다. 33번과 37-1번도 있으나, 그마저도 동일한 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이다. 게다가 33번은 심야노선이다. 2020년 이후로는 G2001번 광역버스가 개통되어 39-2번의 독점이 약간 깨졌지만 적어도 광역버스가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에서는 39-2번이 여전히 필요하다.
  • 수도권에서 가장 북쪽으로 가는 버스의 특성상 서울 - 부산간 또는 경기도 종단 시내버스 여행에서 가장 처음 혹은 가장 마지막으로 타게되는 노선이다.
  • 연천교통의 영업소가 동두천역과 신탄리역 사이인 전곡터미널에 있어, 이곳을 기점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신탄리역 인근에 정식 영업소가 생긴 이후로는 옛날 일이 되었다.[5]
  • 동두천역 - 신탄리역 구간은 경원선 통근열차에 비해 소요시간도 밀리며, 요금면에서도 밀리지만[6][7][8] 배차간격에서 우월하며[9] 통근열차가 정차할 수 없는 역과 역 사이의 정거장도 충실히 들러주니 오히려 이 버스가 연천군민의 발에 더욱 적합하다.[10]
  • 차종이 꽤나 다양하다. 그린시티가 가장 많으며 그 외의 차량으로는 카운티[11]와 NEW BS090이 운행 중이다. 그리고 일부 차량은 좌석버스라 예비차를 제외하면 가장 차급이 좋다. 과거에는 BS090, BS106, 뉴 슈퍼 에어로 시티 저상버스도 있어 소형, 중형, 대형, 저상버스를 모두 굴리는 노선이였지만 BS090/106은 듀에고 EX나 그린시티로, 그리고 이 듀에고 EX 차량은 39-8번으로 넘어갔다. 동두천에 있던 CNG 충전소가 없어지면서 저상버스가 빠진 것이며 36, 39번도 각각 한성운수도봉공영차고지로 가서 충전하는 것이 현실. 최근에는 선진고속관광 출신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차량이 이 노선에 투입되었으나, G2001번과의 공용예비차로 사용하고 있다. 그것도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에...
  • 2011년에 수해가 나서 경원선 교량이 유실되어 열차 운행이 반 년 넘게 중단되었을때 이 버스가 대체교통수단이 되었다.[12]
  • 버스 동호인들 사이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노선이다보니, 연천군 농어촌버스 중 가장 먼저 문서가 작성되었다.
  • 경원선 통근열차 운행 중단에 따라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났다. 재개통 전까지는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 후 G2001번이 개통하면서 그쪽으로 수요가 분산되었다.
  • 3번국도 주변에 5사단 소속 부대가 많아 휴가나 외출, 외박을 나가는 5사단 소속 군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휴가 나갈 때 통근열차와 시간이 안 맞으면 이 노선을 이용하고, 기차역과 먼 부대의 군인들은 거의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한다.[13] 다만, 기차역 인근의 상당수 승객들은 이 버스보다 차급이 압도적으로 좋은 경원선 대체운송버스를 시간맞춰 이용하기도 한다.
  • 이 노선을 지행역까지 연장된다는 소문이 종종 들려오고 있으나, 실제로 실현될지는 의문이다.

5. 연계 철도역



[1] G2001번과 예비차 공동사용. 선진고속관광 출신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차량이 투입된다.[2] 본래 이보다 더 북쪽인 철원군 동송터미널까지 가는 39-3번이 있었으나 폐선되었다.[3] 서쪽은 강화 18번, 동쪽은 양평 10-1번, 남쪽은 안성 20번.[4] 원래 본선이 가장 북쪽으로 가는 노선이였다. 그러나 동재마을 지선이 개통되면서 2위로 밀려났다.[5] 하지만 39-8번 등 일부노선의 경우는 제외.[6] 통근열차 1000원, 버스 1450원(현금 1500원. 성인 기준) + 거리비례 추가요금[7] 이것도 통근열차나 이 버스만 1회 이용시 해당되는 것이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이나 타 버스 노선과 연계하게 되면 요금마저도 통근열차보다 우월해진다. 통근열차와 달리 버스는 환승할인이 적용되기 때문.[8] 그러나 청소년의 경우 말이 다르다. 통근열차는 성인처럼 1000원을 그대로 받는 방면, 버스는 카드 1010원(현금 1100원)으로 차이가 얼마 안난다.[9] 통근열차 1시간 30분 ~ 2시간, 버스 10~15분(가끔 60분인 시간대가 있다.)[10] 이 외에도 연천군 노선들 중 39번을 빼면 사실상 유일한 간선버스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나머지 노선들의 굴곡이 심한 편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후에 연천군으로 연장한다 해도 간선교통으로서의 이 노선의 역할은 사라지지 않는다. 단 통근열차 정차역들 중 백마고지역은 연천군이 아닌 철원군에 위치해서인지 연계되지 않는다.[11] 본래 카운티가 가장 많았으나, 차돌리기 등을 통해 그린시티가 가장 많아졌다.[12] 2018년에도 경원선 선로 개량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었다.[13] 동두천역이나 소요산역에서 1호선을 타고 가며, 지방에 사는 군인들은 환승없이 쭉 1호선을 타고 가서 서울역이나 용산역에서 내려서 기차를 타고 집에 가는게 국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