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교통
[image]
[image]
연천교통의 주력 노선인 39-2번.
1. 개요
경기도 연천군의 농어촌버스 회사. 선진그룹의 일원이다.
차고지 및 사무실은 경기고속이 사용했던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317에 사용하고 있다. 신탄리역 부근 연천야구장 주변에 해당 회사의 고대산영업소도 존재한다.
2. 상세
영종여객에서 2002년 3월 말에 연천ᆞ전곡에서 서울(의정부)를 잇던 노선들을 모아서 분사한 업체이다.
다만, 영종여객, 포천교통을 선진네트웍스가 가져간 것과는 달리 이쪽은 살아남아서 기존 운영진들이 운영했다.
2002년 분사과정에서 기존의 의정부 차적(72바 10##~11##)을 버리고 연천군 차적(77사 35##)으로 이관했다. 동시에 의정부 시내버스에서 연천군 농어촌버스가 된다.
또한, 수유역에서 시종착하던 노선들을 도봉산역으로 잘랐다. 다만, 좌석버스(139, 139-5)는 여전했다.
이후 2006년에 39, 39-4, 39-5번의 기존 차량들을 제부여객, 부산시 업체에 팔거나 러시아로 수출보내고, 신차[1] + 준저상을 들여와서 운행했다.
2007년까지만 해도 연천ᆞ전곡에서 도봉산역까지 운행하는 39번대 노선으로 평안운수의 36번과 경쟁했고 장비면에서 앞서갔으나[2] , '''2006년 12월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자 상황이 나빠진다.'''
그나마 36번은 수유역까지 올라가니 도봉로 연선의 수요를 쓸어담았지만, 도봉산 - 소요산 구간이 전철과 완벽히 겹치던 39번은 큰 타격을 입는다. 이런 상황에서 KD는 물량빨로 밀어붙였고, 결국 경쟁에서 밀려 2008년 1월에 39-2를 제외한 39번대 모든 노선을 평안운수에 매각한다. 39번대 노선들에게는 다시 의정부시 면허로의 환원이었다.
이후 39-2, 39-3, 39-8, 38-1만 운행하다가 2010년경 선진네트웍스에 인수된 상태.[3] 현재는 연천군과 동두천 일부지역에서만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4] 그리고 수도권 최초로 듀에고 EX를 구매하기도 했다.
2018년 7월 2일부터 동년 12월 1일까지 연천역 ~ 백마고지역 구간에서 운행했던 대체운송버스를 이 회사와 선진고속관광에서 3대씩 차출하여 운행했다.
2019년 11월. 연천 버스 G2001을 단독입찰한 업체가 바로 이곳으로 2019년 12월에 운행사로 최종 선정되었다.
최근에는 사정이 대양운수보다 좋아진 것 같다. 노선신설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대양운수가 가져갈 것 같던 맞춤형버스 67번도 이 회사가 운행한다.
3. 노선
2018년 이전까지만 해도 그냥 소규모 마을버스 업체 느낌이 팍팍났지만, 이제는 나름 농어촌버스 회사스러워졌다. 같은 연천군 업체인 대양운수의 버스 목록도 보고싶다면 동두천시·연천군 버스 목록 참조.
- 연천 버스 31: 전곡 ↔ 전곡
- 연천 버스 33: 신탄리 → 연천역 ↔ 동두천
- 연천 버스 33-1: 연천역 ↔ 전곡 ↔ 동두천
- 연천 버스 35: 연천역 ↔ 왕림리 ↔ 군남
- 연천 버스 35-1: 연천역 ↔ 통현리 ↔ 고포리
- 연천 버스 35-2: 연천역 ↔ 옥계리 ↔ 횡산리
- 연천 버스 37-1: 연천역 ↔ 도신리 ↔ 대광리
- 연천 버스 37-2: 연천역 ↔ 읍내리 ↔ 옥산리
- 연천 버스 37-3: 연천역 ↔ 전곡 ↔ 백의리
- 연천 버스 38-1: 전곡 ↔ 통현리 ↔ 고포리
- 연천 버스 38: 전곡 ↔ 청산[5]
- 연천 버스 39-2: 고대산 ↔ 연천역 ↔ 동두천[6]
- 연천 버스 39-8: 전곡 ↔ 연천역 ↔ 내산리
- 연천 버스 67-1: 전곡 ↔ 대전리 ↔ 백의리
- 연천 버스 67-2: 전곡 ↔ 고문리 ↔ 연천역
- 연천 버스 67-3: 전곡 → 연천역 ↔ 내산리
- 연천 버스 70: 연천역 ↔ 백학 ↔ 샛터[7]
- 연천 버스 G2001: 신탄리 ↔ 의정부 ↔ 도봉산
4. 면허 체계
5. 현재 운행차종
5.1. 현대자동차
- 현대 E-카운티 F/L 디젤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F/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디젤[10]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5.2. 자일대우상용차
6. 과거 운행차종
6.1.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
6.2. 현대자동차
- 현대 카운티 디젤
- 현대 글로벌900 F/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6.3. 선롱버스
7. 관련 문서
[1] 신도색으로 들어온 차량이며, 35, 39에서 다녔다.[2] 36번은 1998~2005년식 차량으로 운행.[3] 상기했듯 기존 계열사들이 다 선진네트웍스로 인수되던 와중 유일하게 남았었으나 나중에는 연천교통마저 선진네트웍스로 들어가게 되었다.[4] 연천교통이 관내업체지만 연천군의 교통을 책임지는건 옆동네 관내 회사 대양운수다.[5] 시간대별로 노선이 다르다.[6] 일부 시간대 동재마을 연장운행.[7] 시간대별로 노선이 다르니 주의.[8] 실제로는 3507, 3509 ~ 3510, 3512, 3514 ~ 3515, 3518, 3556 ~ 3577호만 운행하며, 나머지 중간 차량번호는 평안운수, 경기버스에서 운행 중이거나 말소처리 되었다.[9] 선진시내버스에서 넘어온 차량이다.[10] 선진고속관광 출신 좌석 개조 차량이며 예비 차량이다.[11] 인천 성원운수 중고차량 1대를 사왔지만 도입 2개월 만인 2019년 7월에 계열사인 포천상운으로 넘어갔다가 2020년 9월에 주원교통 중고차량 1대를 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