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궁
1. 개요
영수궁(寧壽宮)은 태종의 후궁들이 모여서 살았던 궁가의 말한다.
왕실의 궁가인만큼 영수궁의 위치는 한성부 안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유적의 흔적이 없으므로 자세히 알 수 없다.
2. 역사
조선 전기에 왕이 죽으면 왕의 후궁들은 모두 궁궐을 나와서 거처를 별궁으로 옮겨야 했다. 당연히 후궁은 재혼이 허락되지 않았고, 자식들과 함께 사가에서 살지 못하고, 나라에서 마련해준 궁가에 모여 살았다. 이때문에 왕자, 왕녀들이 자신들의 생모를 모시고 살길 원해도 허락받기가 매우 어려웠다.[1]
태종이 승하하자 세종은 부왕의 후궁들을 위해 의빈궁을 설치하였다. 처음의 이름으로 보아 당시에는 태종의 후궁 의빈 권씨의 거처를 의미했을 것이다. 의빈궁이 설치된 이후에는 자수궁, 수성궁, 창수궁, 정청궁, 인수궁 등이 설치되었다. 나중에 후궁의 궁가는 후궁들이 죽으면 곧 폐지되어, 중종 이후에는 자수궁과 인수궁만이 유지된다.[2]
궁가에 머무르는 후궁들은 모두 그에 걸맞는 예우를 받았다. 의식주와 관련된 각종 물품을 제공받고, 궁가의 유지를 위해 궁녀와 환관, 노비 및 여러 인력을 제공받았다. 당시 기록을 보면 신빈궁, 의빈궁 등의 이름이 언급되는데 모두 선왕의 후궁들이 거처하는 곳을 부르는 말이다. 세조는 의빈궁에 별감과 소친시 8인을 두어 관리하고 시중들게 하였다.[3]
의빈궁은 세조 연간에 자수궁과 수성궁[4] 의 제도에 의거하여 영수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 영수궁의 이름은 《성종실록》에서도 언급된다. 1471년(성종 2) 2월 이전까지 물품 등을 진상하다가 2월 이후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더이상 선왕의 후궁들이 남아있지 않아서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