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환(하얀거탑)
[image]
'''최도영과 장준혁의 스승이자 본작의 청렴한 의사의 상징.'''
하얀거탑의 등장인물로 명인대의 병리학 석좌교수. 변희봉이 연기했다. 원작에서의 이름은 오코우치 세이사쿠.[1][2][3]
장준혁은 야망, 우용길은 권력, 이주완이 정년, 최도영이 인간성을 상징한다면, 오경환은 청렴결백의 상징이다.
오로지 의학에만 정진하는 인물로 청렴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면서 꼿꼿한 성격으로 명성이 높다. 병원 안에서만 그런 게 아니라 국과수에서도 그에게 의혹이 많은 시신의 부검을 의뢰할 정도인데, 부검 자체야 국과수 검시관도 할 수 있지만, 의혹이 많은 사건엔 뒷말이 무성할 수 있는데 비해, 오경환이 하면 모두가 결과에 수긍할 정도. 병원과 학계를 넘어 국가가 인정한 청백리 수준이다.
파벌을 만들고 정치적 힘을 쌓는데는 도통 관심이 없기에 우용길만큼의 권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4] 하지만 기초의학 쪽에서는 학식과 인격을 두루 갖춘 인물로 모두에게 큰 존경을 받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 파워는 대단하다. 자신이 오진한 환자의 수술을 감행한 최도영에게 연구 기자재 예산 반려로 보복한 우용길이 오경환이 지나가며 넌지시하는 말을 듣고, 예산을 배정해줄 정도로 영향력은 엄청나다. 과장투표 같은 정치적 힘이 작용하는 자리에 아예 불참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극중의 외과 과장 투표에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출석하는 것도 모자라 아예 선거관리 위원장로 전면에 등장한다.[5] 작중 부원장 우용길을 비롯한 과장들이 언쟁을 벌일때도 단번에 제압할 정도로 숨겨진 카리스마를 뿜어내며, 이주완 세력이 희망을 품었지만, 그는 정말로 한 치의 부정[6][7] 없이 공정하게 선거를 진행했다.
다만, 오경환이 선거관리 위원장으로서 보여준 기계적 중립은 오히려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오경환은 위원장으로 있으면서 과장 선임 과정에 이미 뇌물이 오가고, 연구 몰아주기, 자리 주고받기 등 부당한 뒷거래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고, 본인이 직접 겪기도 했음에도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진정한 의미의 공정함을 추구하고자 했다면, 일단 과장 선임 절차를 중단하고 위와 같은 뒷거래에 대한 조사를 시행해 부조리를 바로 잡은 후에 절차를 속행해야 했다. 하지만 흙탕물에 뛰어 드는 것 까지는 하지 않고 싶었는지 이에 대해서는 말로만 경고를 함으로써 사실 상 눈을 감아버린 것이다. 이런 측면은 오히려 이주완의 면모와 다를 바 없기도 한 것이다. 그러나 달리 생각하면 느닷없는 외부 인사의 영입과 그에 호응하는 이주완의 뒤에도 마찬가지로 부정[8] 이 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테니 부정행위가 수면 위로 나타나지 못 하게 억누르는 것 정도가 오히려 공정하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물론 그가 마냥 손가락만 빨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위원장으로서 자신의 권한을 이용한 것은 아니지만 나름의 정치적 판단으로 판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외과과장 선거 첫 투표 이후, 결선에 가지 못하는 문상명측의 표를 끌어모으기 위해 장준혁파와 노민국파 모두 박창식 과장을 찾아 열심히 뛰어다녔지만, 사실 그는 그 시간 내내 오경환의 연구실에서 보호(?)를 받고 있었다. 즉 오경환은 이미 외과 과장 선거에 따른 파벌을 훤히 파악하고 있었으며, 1차 투표에서 과반이 나오지 않은 채 문상명이 떨어지자 박창식을 차지하려는 양쪽 세력의 의도를 간파하여 그를 안전한 곳에 숨겨둔 것이다. 물론 이런 절묘한 수는 그가 이 선거판을 정확하게 이해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애시당초 당사자들이 알아서 냄새를 풍긴 탓이기도 하다. 즉, 과장 선거 준비 기간 동안에 한쪽에서는 유정진이 자기 집에까지 찾아오는가 하면 장준혁은 아예 본인이 찾아와서 자신을 뽑아달라고 떼를 쓰는 등, 이러한 정황 증거들을 놓치지 않고 그들의 정치적 영향을 막기 위해 자기 나름대로의 정치적 전략을 내놓은 셈이다. 그러면서도 자기를 왜 불렀냐고 묻는 박창식의 물음에는 '그저 차나 한 잔 하자는 것뿐입니다.'라고 둘러대며 특유의 능글맞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장준혁 쪽에서 비뇨기과 과장의 투표를 막기 위해 위해 꾸민 교통사고 공작이 보기좋게 먹혀드는 바람에 결선이 미뤄져 아쉽게도 오경환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그럼에도 밖에서 이런 비책이 계획되고 있는 걸 몰랐던 우용길 일행은 결선 투표를 위해 다시 모일 때까지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속수무책의 상황이었으므로, 실제로 나 과장이 무사히 도착했다면 선거 결과가 오리무중에 빠져 양쪽 세력 모두 오경환의 계략에 제대로 걸려들 뻔했다.
그 외에도 장준혁의 재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여 부검 소견을 말하는데, 원고측 참고인 신분으로 왔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의학적 소견만 말할 뿐, 누구의 과실인지는 자기 권한 밖이라며 진술을 거부한다.[9] 그의 공정성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마지막에는 장준혁의 유언장의 내용에 따라 그의 시신을 기증 받는다.
'''최도영과 장준혁의 스승이자 본작의 청렴한 의사의 상징.'''
위의 대사에 이 드라마의 줄거리가 집약되어 있다.'''당뇨병 환자의 결핵은 폐암처럼 보일 때가 많지,''' 임상적으론... 유 과장의 신중함이 오진을 막은거지. 임상의는 이래야 해... 근데 베테랑만 되면 경험과 육감에만 의지해서 기초적인 병리검사를 소홀히 할 때가 있어. 이럴 때 '''어이없는 오진'''이 생기게 되는 거지.
하얀거탑의 등장인물로 명인대의 병리학 석좌교수. 변희봉이 연기했다. 원작에서의 이름은 오코우치 세이사쿠.[1][2][3]
장준혁은 야망, 우용길은 권력, 이주완이 정년, 최도영이 인간성을 상징한다면, 오경환은 청렴결백의 상징이다.
오로지 의학에만 정진하는 인물로 청렴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면서 꼿꼿한 성격으로 명성이 높다. 병원 안에서만 그런 게 아니라 국과수에서도 그에게 의혹이 많은 시신의 부검을 의뢰할 정도인데, 부검 자체야 국과수 검시관도 할 수 있지만, 의혹이 많은 사건엔 뒷말이 무성할 수 있는데 비해, 오경환이 하면 모두가 결과에 수긍할 정도. 병원과 학계를 넘어 국가가 인정한 청백리 수준이다.
파벌을 만들고 정치적 힘을 쌓는데는 도통 관심이 없기에 우용길만큼의 권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4] 하지만 기초의학 쪽에서는 학식과 인격을 두루 갖춘 인물로 모두에게 큰 존경을 받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 파워는 대단하다. 자신이 오진한 환자의 수술을 감행한 최도영에게 연구 기자재 예산 반려로 보복한 우용길이 오경환이 지나가며 넌지시하는 말을 듣고, 예산을 배정해줄 정도로 영향력은 엄청나다. 과장투표 같은 정치적 힘이 작용하는 자리에 아예 불참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극중의 외과 과장 투표에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출석하는 것도 모자라 아예 선거관리 위원장로 전면에 등장한다.[5] 작중 부원장 우용길을 비롯한 과장들이 언쟁을 벌일때도 단번에 제압할 정도로 숨겨진 카리스마를 뿜어내며, 이주완 세력이 희망을 품었지만, 그는 정말로 한 치의 부정[6][7] 없이 공정하게 선거를 진행했다.
다만, 오경환이 선거관리 위원장으로서 보여준 기계적 중립은 오히려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오경환은 위원장으로 있으면서 과장 선임 과정에 이미 뇌물이 오가고, 연구 몰아주기, 자리 주고받기 등 부당한 뒷거래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고, 본인이 직접 겪기도 했음에도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진정한 의미의 공정함을 추구하고자 했다면, 일단 과장 선임 절차를 중단하고 위와 같은 뒷거래에 대한 조사를 시행해 부조리를 바로 잡은 후에 절차를 속행해야 했다. 하지만 흙탕물에 뛰어 드는 것 까지는 하지 않고 싶었는지 이에 대해서는 말로만 경고를 함으로써 사실 상 눈을 감아버린 것이다. 이런 측면은 오히려 이주완의 면모와 다를 바 없기도 한 것이다. 그러나 달리 생각하면 느닷없는 외부 인사의 영입과 그에 호응하는 이주완의 뒤에도 마찬가지로 부정[8] 이 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테니 부정행위가 수면 위로 나타나지 못 하게 억누르는 것 정도가 오히려 공정하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물론 그가 마냥 손가락만 빨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위원장으로서 자신의 권한을 이용한 것은 아니지만 나름의 정치적 판단으로 판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외과과장 선거 첫 투표 이후, 결선에 가지 못하는 문상명측의 표를 끌어모으기 위해 장준혁파와 노민국파 모두 박창식 과장을 찾아 열심히 뛰어다녔지만, 사실 그는 그 시간 내내 오경환의 연구실에서 보호(?)를 받고 있었다. 즉 오경환은 이미 외과 과장 선거에 따른 파벌을 훤히 파악하고 있었으며, 1차 투표에서 과반이 나오지 않은 채 문상명이 떨어지자 박창식을 차지하려는 양쪽 세력의 의도를 간파하여 그를 안전한 곳에 숨겨둔 것이다. 물론 이런 절묘한 수는 그가 이 선거판을 정확하게 이해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애시당초 당사자들이 알아서 냄새를 풍긴 탓이기도 하다. 즉, 과장 선거 준비 기간 동안에 한쪽에서는 유정진이 자기 집에까지 찾아오는가 하면 장준혁은 아예 본인이 찾아와서 자신을 뽑아달라고 떼를 쓰는 등, 이러한 정황 증거들을 놓치지 않고 그들의 정치적 영향을 막기 위해 자기 나름대로의 정치적 전략을 내놓은 셈이다. 그러면서도 자기를 왜 불렀냐고 묻는 박창식의 물음에는 '그저 차나 한 잔 하자는 것뿐입니다.'라고 둘러대며 특유의 능글맞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장준혁 쪽에서 비뇨기과 과장의 투표를 막기 위해 위해 꾸민 교통사고 공작이 보기좋게 먹혀드는 바람에 결선이 미뤄져 아쉽게도 오경환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그럼에도 밖에서 이런 비책이 계획되고 있는 걸 몰랐던 우용길 일행은 결선 투표를 위해 다시 모일 때까지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속수무책의 상황이었으므로, 실제로 나 과장이 무사히 도착했다면 선거 결과가 오리무중에 빠져 양쪽 세력 모두 오경환의 계략에 제대로 걸려들 뻔했다.
그 외에도 장준혁의 재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여 부검 소견을 말하는데, 원고측 참고인 신분으로 왔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의학적 소견만 말할 뿐, 누구의 과실인지는 자기 권한 밖이라며 진술을 거부한다.[9] 그의 공정성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최도영과 장준혁의 스승으로 특히 최도영에게 상당히 많은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다. 최도영에게 어린 환자(진주)에 대해서 취해야 할 의사의 역할이나 의사라는 직업의 궁극적 지향점[10]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최도영에게는 의학적 지식 이상의 가르침을 준 진정한 스승인 셈."최 교수, 명백히 죽음의 징후를 보이는 환자에게 과도한 시술을 행하는 건 환자가 안락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어. 삶의 마지막을 보내기에 병원은 적당한 장소가 아니지. 그... 진주라는 꼬마에게는 진통제 보다는 아이스크림 하나가 더 위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에는 장준혁의 유언장의 내용에 따라 그의 시신을 기증 받는다.
[1] 오꼬우찌, 오오코우치[2] 원작의 오코우치 교수는 두루미 같다고 묘사될 정도로 호리호리한 인물로 일본판 드라마에서도 그런 모습으로 나온다. 원작 소설에서의 묘사에 따르면'나라奈良의 불상' 같다고 한다. 한국판에서의 변희봉은 상대적으로 후덕한 이미지를 가졌다.[3] 일본판의 오코치는 청렴강직 독고다이인 것은 기본적으로 일치하나 한국판의 변희봉처럼 유머러스한 괴짜로 묘사되지는 않는다.[4] 유필상은 우용길은 김두한, 오경환은 시라소니라고 평가했다.[5] 투표도 가장 많은 8표를 획득했다. 평소에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도 나머지 위원이 받은 투표가 5표, 4표, 3표 인걸 생각하면 그야말로 작중 최상급의 인망을 갖췄다고 봐야할 듯[6] 외아들이 사업을 벌이다가 미끄러졌는데, 그걸 캐치한 유필상이 녹차 세트로 포장한 돈상자를 들고 찾아와 회유하려 했다가 정말 혼쭐나며 쫒겨난다.[7] 이때 유필상이 오경환의 벼락같은 호통에 당황하여 돈상자와 함께 오경환이 읽던 책까지 챙겨 달아나려 하자, 오경환은 "책은 두고 가! 내 다 읽은 다음에 빌려주지" 라는 대사를 통해 청렴하면서도 지식을 추구하는 학자의 면모를 잘 표현해냈다.[8] 대학병원 외과과장과 산재병원장의 거래를 한 것이나 마찬가지[9] 수술'''은''' 완벽했다고 진술한다. 사실 권순일 환자의 사망 원인은 수술의 문제가 아닌 폐 영상진단상 나타난 문제점을 짚어내지 못한 것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다.[10] 소의치병, 중의치인, 대의치국(小醫治病 中醫治人 大醫治國), '작은 의사는 병을 고치고 평범한 의사는 사람을 고치고 큰 의사는 나라를 고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