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 마카베오

 



[image]
유다 마카베오

마카베오라고 불리는 그의 아들 유다가 그 뒤를 이었다. 유다의 모든 형제와 아버지에게 합세하였던 이들이 모두 그를 도와 기쁘게 이스라엘을 위하여 전쟁을 하였다. 그는 자기 백성의 영광을 널리 떨쳤다. 거인처럼 가슴받이 갑옷을 입고 무기를 허리에 차고 전투할 때마다 칼을 휘두르며 진영을 보호하였다. 그는 사자처럼 활약하였으니 먹이를 보고 으르렁거리는 힘센 사자 같았다. 그는 무도한 자들을 찾아 내쫓고 자기 백성을 괴롭힌 자들을 불살라 버렸다. 무도한 자들은 그가 두려워 움츠러들고 무법을 일삼던 자들은 모두 어쩔 줄 몰라 하였다. 그의 손으로 구원이 순조로이 이루어졌다. 그는 많은 임금에게 쓴맛을 보게 하였지만 그 위업은 야곱을 기쁘게 하였다. 사람들은 영원토록 그를 기억하며 기릴 것이다. 그는 유다의 성읍들을 두루 다니며 그곳에서 사악한 자들을 몰살시켜 이스라엘에서 진노를 돌려놓았다. 그는 땅끝까지 이름을 떨치고 멸망해 가는 이들을 한데 모았다.

마카베오기 상권 3장 1~9절

셀리우쿠스 왕조 치하의 헬레니즘 제국에 맞서 마카베오 전쟁을 이끈 유대 민족의 독립 영웅으로, 하스몬 왕조의 제2대 왕으로 일컬어진다.[1] 구약성경 최후의 역사서인 마카베오기[2]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부친 마타디아가 시작한 항전인 마카베오 전쟁을 계속 이어갔다. 별칭인 '마카베오'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마카베오'는 망치라는 뜻이다. 이름대로 적들을 후둘겨 패는 능력이 뛰어나서 전력은 열세였으나 여러 차례 셀리우쿠스 왕조의 진압군을 물리쳤다. 마타디아가 항전을 시작하자 셀리우쿠스 왕조는 군대 장관 리시아스를 파견해 진압하도록 했다. 헬라화(化)에 호의적이었던 유대인들까지 리시아스에 합류해 '유다'의 저항군은 열세에 몰렸으나 벧 호론, 엠마오, 벧 주르 등에서 리시아스의 군을 물리쳤고, 기원전 164년에는 예루살렘에 입성하기에 이른다. 예루살렘에 입성한 '유다'는 성전에 있었던 '제우스 상'을 파괴하고 성전을 정화시켰다. 이날을 '성전 정화일'이라 하여 매해 기념하는 축제가 열리게 된다.
같은 해 유대교 정통 신앙을 탄압했던 안티오쿠스 4세가 사망하고 10세에 불과한 아들 안티오쿠스 5세가 뒤를 잇는다. 안티오쿠스 5세는 사독 계열의 알키모스를 대제사장으로 임명했으며 알키모스는 정통적 유대교 제의의 복원을 제의하는 등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한다. 하지만 '유다'는 친 헬라적인 알키모스를 인정하지 않았고, 투쟁을 이어간다. 다시 진압군이 파견되었고 진압군 사령관 '리시아스'는 어느정도 성과를 내어 예루살렘을 포위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셀리우쿠스 제국 내에서 반란이 일어나 회군 할 수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유다'의 항전은 다시금 성공을 거둔다.
이후 안티오쿠스 5세가 살해되고, 그의 아들 데메트리우스 1세가 왕위에 올랐지만 부왕(父王)과 마찬가지로 '알키모스'를 두둔하고 '유다'를 배척했다. 하지만 셀리우쿠스 왕조 내부의 상황이 불안정 했기 때문에 평화적인 방법으로 사태를 해결하고자 했다. 하지만 '유다'는 강경한 자세를 이어나갔고 게릴라 작적으로 알키모스를 공격하는 등 저항을 이어갔다. 이에 셀리우쿠스 왕조도 강력한 진압 정책을 펼쳐 니카노르 장군을 사령관으로하는 대대적인 진압군을 파병한다. '유다'의 저항군은 니카노르를 전사 시키는 등 선전하나 결국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유다'도 전사하고 만다. 동생 요나단이 뒤를 이었으며 광야로 나가 투쟁을 이어간다.
[image]
마카베오 전쟁 중 유다 마카베오 치하 유대 지역
두 권의 마카베오기의 서술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큰 덩치와 완력을 바탕으로 한 맹장 타입이며, 전투 전에 신앙 등을 통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끌어올리는 데 능하였다. 또한 셀레우코스 왕조의 팔랑크스에 맞서기 위할 때 평지에서의 정면대결은 가급적 피하는 등 지장의 자질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면모들 때문에 중세 유럽에서는 알렉산드로스 3세, 율리우스 카이사르, 다윗, 여호수아, 헥토르, 아서 왕, 카롤루스 대제, 고드프루아 드 부용과 함께 아홉 위인으로 칭송을 받았다.[3]
[1] 사실 마카베오 자신은 저항군을 이끌었지만 왕을 칭하지는 않았다. 훗날 시몬이 왕이 되면서, 마카베오까지 왕으로 대접받은 것.[2]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취급한다.[3] 마카베오기 상권의 경우, 사실 유다 마카베오 말고도 하스몬 왕조 창립 멤버들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분량상 딱히 마카베오가 이 멤버 중 두드러지게 많은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마카베오기'로 통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는 사실상 마카베오가 하스몬 왕조 창립의 진 주인공으로 대접 받았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