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상

 

[image]
교토 대학교 박물관에 전시 중인 초상화
이봉상(李鳳祥) / 1676년(숙종 2년) ∼ 1728년(영조 4년)
1. 개요
2. 행적
3. 죽음
4. 사후
5. 유물
6. 여담


1. 개요


조선 시대의 무신. 덕수 이씨이며 자는 의숙(儀叔). 충무공 이순신의 5대손이다.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에게 피살되었으며, 충민(忠愍)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소론 반란 세력인 이인좌의 반란군에게 살해당했지만 당색은 소론이었던 걸로 보인다.[1]

2. 행적


1676년(숙종 2년) 출생. 1702년(숙종 28년)에 무과에 급제했다. 경종의 재위 중에 포도대장, 훈련원도정 삼도수군통제사[2], 총융사 한성부우윤 등의 벼슬을 역임했다. 이 무렵 사헌부에 탄핵을 받았는데 영조가 윤허하지 않았다.

"훈련 대장(訓鍊大將) 이봉상(李鳳祥)은 지난날 흉당(凶黨)들정권을 잡고 있을 적에 이미 불러다 빌붙었다는 꾸지람이 있었는데, 지금 조정이 청명한 때에 이르러서도 음흉하고 교사스런 짓을 한 자취가 많습니다. 군부(軍府)의 재화(財貨)를 마구 남용하여 죄를 받고 귀양가 있는 흉도(凶徒소론)들에게 두루 나누어 주었으며, 군부의 중요한 일이 무엇을 위한 일인지를 전혀 모르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도감(都監)이 장차 폐국(廢局)되는 지경을 면치 못하게 만들었으니, 이봉상(李鳳祥)을 파직(罷職)시키고 서용하지 마소서."

요약하면 "이놈은 지난 정권때 손바닥을 잘 비벼서 욕먹은 적이 있었는데, 요즘엔 군대 비품을 남에게 나눠주질 않나, 그러면서 군대 지휘관으로써 해야할 일을 안하고 있다. 그래서 훈련도감이 개판 오분전이 되버렸으니, 이런 무능한 인간을 쓰지 맙시다."는 거다. 뚜렷한 잘못도 없는데 무능을 이유로 파직하자고 한걸 보면 어지간히 무능했던 모양. 다만 이후에도 파벌을 만들고 군대 물자를 자기 사리사욕을 채우는데 사용한다고 한 차례 더 탄핵을 받았다.
1725년(영조 1년), 형조 참판, 훈련 금위 대장을 겸임하였다. 정미환국 시기에 밀려나서 충청도 병마 절도사로 나갔다.

3. 죽음


1728년(영조 4년), 이인좌(李麟佐)가 반란을 일으켜서 청주를 함락하였을 때 포로로 잡혔다. 이 때 이인좌는 상여에다가 병기를 실어 청주 경내에 들여보냈는데, 민간에서 적이 이르렀다는 말이 무성하고 이봉상에게 보고한 병사도 있었으나 이봉상은 이를 '''믿지 않았다.'''
결국 성 안의 관리들 가운데 호응하는 사람이 많았고, 밤중에 적이 쳐들어오자 영기(營妓) 월례(月禮)와 이봉상이 친하게 지내고 믿던 비장(裨將) 양덕부(梁德溥)가 문을 열고 적군을 끌어들였다. 이봉상은 밤중에 당황하게 침상 머리에 두었던 칼을 찾았으나, 찾지 못하고[3] 적에게 끌려나와 칼로 위협당하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이봉상은 '''“너는 충무공(忠武公) 집안에 충의(忠義)가 서로 전해져 오고 있음을 듣지 못했느냐? 왜 나를 어서 죽이지 않으냐?”'''라고 세 번 외치고 살해당했다. 군관(軍官) 홍임(洪霖)이 달려와서 이봉상 위에 엎드리며 "내가 진짜 절도사다."라고 외쳤는데 적이 끌어내서 항복하라고 협박했지만 그 역시 욕을 퍼부었다. 이인좌는 "너는 충신이다. 죽이고 싶지 않지만 나를 죽일까 염려되니 죽인다. 일이 성사되면 후손을 녹용하겠다."고 칭찬했으나 홍임은 "나는 아들이 없지만 있어도 너 같은 역적에게 등용되지 않는다!"[4]고 소리친 뒤 죽었다. 이 때 남연년(南延年) 역시 "내가 나라의 후한 은혜를 입었고 나이 70이 넘었는데, 어찌 개새끼(狗子) 같은 너희를 따라 반역을 하겠느냐?"고 하며 죽었다. 어사 이도겸(李道謙)이 청주에서 돌아와 그 순절을 전했다.
이봉상의 숙부 이홍무(李弘茂) 역시 이 무렵 64살의 노구였는데, 반란군에 붙잡혀 감옥에 갇히자 음식을 먹지 않다가 죽었으며 역시 벼슬이 추증되었다.
나중에 박문수의 보고에 따르면, 충청 병영에 있던 기생 해월(海月)은 홍임이 좋아하는 상대였는데, 병영이 함락되자 해월은 몰래 뇌물을 주고 홍임의 시체를 찾아내서 장사지내려 했다. 이때 이봉상 역시 들어갈 관이 없이 방치된 것을 알자 홍임의 시체는 베로 싸고 이봉상의 시체를 관에 넣어 숨겼다고 한다. 이후 해월은 의로운 일을 했다고 하여 면천되었다.

4. 사후


영조는 이봉상을 좌찬성에 추증하였으며, 헌종은 청주에 표충사(表忠祠)를 세워 제향하게 하였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라 하여 충민공이라 부른다. 나중에 조상 충무공 이순신과 현충사에 함께 배향되었다. 그와 함께 순절한 홍임, 남연년 등도 같이 있다.

5. 유물


교토대학 박물관에 초상화가 보관되어 있으며, 육군 대학 박물관에 투구가 보관되어 있다고 전한다.블로그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에 자리한 충무공 이순신 묘소 앞에 이순신의 신도비와 함께 충민공 이봉상의 신도비가 서 있다. 원래는 그 뒤로 그의 묘가 있었지만, 1910년대 초반에 영인면 아산리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6. 여담


1708년 「주지(州誌)」를 보다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인 송빈의 공적을 발견하고 너무 감격하여 충렬사(忠烈祠)를 짓도록 건의하였다고 한다.
영조 시기에 한자도 똑같은 '이봉상'이라는 죄인의 기록이 있기 때문에 혼동이 매우 심하다.

[1] 영조 1년 5월 11일 무신 6번째 기사의 내용에 흉당(소론)들이 정권을 잡고 있을 적에 빌붙었고 군부의 재화를 귀양가 있는 흉도들에게 나누어졌다고 탄핵받고 마찬가지로 영조 1년 5월 16일 계축 3번째 기사에 흉적(소론) 이삼(李森)에게 은밀히 결탁하여 역적 조태구(趙泰耉 소론 4대신 중 한명)에게 뇌물질을 했다고 탄핵받고 영조 3년 5월 19일 갑술 1번째 기사에서는 돈 1백 냥과 베 20필을 몰래 홍약수에게 맡겨 역적 유봉휘(柳鳳輝 조태구와 함께 소론 4대신 중 한 명)가 죽었을 때 부의(賻儀)로 보냈는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단, 소론 내부에도 강경파와 온건파가 있었고, 이들의 사이 역시 나빴다. 소론 강경파 이인좌의 회유에 넘어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소론 온건파로 보인다. 다만, 이봉상이 소론 온건파냐 하면 그것도 확실하지 않은게, 노론이 소론 온건파 대신 조태억과 이광좌를 공격했을 때 같이 참여했다가 정미환국으로 소론 온건파 정권이 들어서자 어영대장에서 충청병사로 옮겨진 이봉상은 소론 온건파 대신들인 이광좌와 조태억에게 작별 인사를 하지 않은 죄로 하옥된 일까지 존재한다. 물론, 이봉상이 노론이 이광좌와 조태억을 공격할 때 동참했다고 해서 노론으로 보기도 힘든 게 이봉상은 위 각주의 설명대로 노론에게 흉당(소론)에게 빌붙었다고 공격받았다. 게다가 이봉상은 소론 강경파와 친분이 있었다. 다른 것도 아니고 영조가 즉위한 후에 역적으로 낙인 찍혀 유배지에서 죽은 소론 대신 유봉휘의 집에 이봉상이 부의를 보냈는데 유봉휘는 소론 강경파다. 당연하지만 이 때문에 이봉상은 역적의 집안과 내왕했다고 탄핵을 받았다. 게다가 이봉상은 영조에게 이사성(李思晟)이 재주가 있다고 추천하기도 했는데, 이사성은 소론계 무인으로(영조 실록에 흉당에게 아첨했다는 기록이 존재하는 데다가 소론 온건파 대신인 이광좌 역시 이사성을 남태징과 함께 영조에게 천망(薦望)하기도 했다) 이인좌의 난에 동참한 인물이다. 마찬가지로 이봉상이 친하게 지내고 믿던 비장 양덕부 역시 이인좌의 난에 동참했다(양덕부는 이인좌와 내통해서 청주성의 문을 이인좌의 반란군에게 열어주기까지 했다. 이인좌의 난에 동참한 걸 보면 양덕부는 소론 강경파였던 것 같다).[2] 95대[3] 기생 월례가 이봉상이 자는 동안 칼을 숨겼다.[4] 아들이 2명 있었는데 모두 요절했다. 다만 기첩(妓妾)이 낳은 유복자가 있어서 면천되고 장성한 후 녹용되며, 홍임의 손자 역시 녹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