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장면

 

[image]
[image]
일반적인 작장면
북경[1]
炸醬麵, 炸酱面
1. 개요
2. 상세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


면장에 간을 하여 볶은 뒤 면 위에 얹어먹는 면류 요리다. 짜장면마장면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2. 상세


작장면의 중국어 발음은 짜지앙미엔(zhájiàngmiàn)이고, 이것이 된소리화하여 짜장면이라 불리기 시작했다.[2] 즉, 현재 중국에서 자장미엔은 이름 그대로 장(醬)을 볶아서(炸) 면(麵) 위에 얹은 요리를 통칭한다. 기름기가 적어 한국 짜장면처럼 먹기 전에 거나하게 비비진 않고[3] 젓가락으로 적당히 슬슬 섞어 먹는 편. 지역별로 볶아 얹은 장도 다양하고 고명도 다양해서 지역별로 주로 구분한다.[4]
작장면의 원류는 산동 반도로, 콩을 주로 사용한 중국식 면장은 황갈색을 띄었으며, 훗날 캐러멜을 사용한 한국식 춘장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짜장면은 황갈색을 띠고 있었다. 북경식 작장면은 7가지 정도의 채소 고명과 짠 장을 면 위에 올려 먹는 요리이다. 보통 사진처럼 면 주위에 재료접시가 있어 취식자가 재료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간단하게 오이 정도만 올려놓고 먹기도 한다. 중국음식에서 보기 힘든 볶거나 찌지 않는 채소가 들어가는 요리이기도 하다. 고명을 각각 다른 접시에 차려나와 식탁에서 면 그릇에 후다닥 던지듯 얹어 서빙한다.
일설에 따르면, 진시황이 산동에서 국수 요리사를 불러다가 요리를 시켰는데, 긴장한 요리사가 무의식적으로 춘장을 볶아버렸다. 딱히 필요가 없는 단계였는데 이게 뻘짓임을 진시황이 알면 자기 목이 날아갈것이기에, 신메뉴라 소개했다는것이 유래라고 한다.
한국식 짜장면에 비하면 단맛과 기름기는 적은 대신 짠 편. 그럴만한게 춘장 조리법 자체가 판이하게 다르다.[5] 한국에서 먹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으로는 울진의 해주작장면이 있었다. 북경식으로 서빙되는데 맛은 매콤하게 조금 어레인지가 되어 있다고 설명하던 가게였는데, 2017년 문을 닫았다. 그나마 수도권에서는 홍콩요리 체인점인 '크리스탈 제이드'에서 '상해식 짜장면'을 주문하면 산동식 작장면과 비스무레한 물건을 볼 수 있는데, 본토와 비슷하긴 하지만 단맛이 좀 더 가미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자자멘(ジャージャー麺)이란 이름으로 팔리고 있다. 일본의 중화요리집을 가보면 드물지 않게 발견할수 있다.

3. 여담


인스턴트 라면도 있다. 대만의 웨이리(維力)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있다. 삐에로쇼핑에서 팔기도 했으나 지금은 삐에로쇼핑 자체가 영업이 끝나서 안습.
한국의 짜장면은 북경식 작장면에서 유래된 것이라기보단 산동에서 바로 들어온 것으로 보는 것이 좀 더 합리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 화교의 대부분은 산동성 출신이며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부분도 그 기원이 산동성이기 때문.

4. 관련 문서




[1] 물론 북경에서도 북경식이 아닌 일반적인 작장면을 볼 수 있다.[2] 본래 국립국어원은 작장면을 외래어 표기법대로 적으면 자장미엔이기에 짜장면이 아니라 자장면이 맞다고 주장했다. 이제는 짜장면도 표준어로 인정한다. 짜장면/표기법 논쟁 참조.[3] 사실 세계적으로는 한식처럼 밥이나 국수를 소스에 '비벼서' 먹는 요리가 생각보다 드물다.[4] 다른 이름이 있는 건 아니고 북경식, 복건식, 사천식 등을 앞에 붙여서 구분. 사천식은 바닥에 고추기름을 깔아둔다.[5] 작장이라는 장의 기원은 검은콩을 주재료로 하여 파를 넣어 발효시키는 총장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 총장이 오늘 우리가 이야기하는 춘장의 원류라고 생각된다. 춘장이라는 이름의 기원도 총장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전문가(주영하 교수)의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