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
1. 調達
자금이나 물자 따위를 대어 준다는 뜻을 지칭한다. 그래서 '대어 줌' 혹은 '마련함'으로 각각 순화한다고 한다. 주로 군수물자 외 공공기관에 납품하는 물품이나 건설을 의미한다. 군수품은 보급으로 따로 분류된다.
1.1. 관련 문서
2. 동오의 인물
趙達
(? ~ ?)
삼국시대의 점술가. 하남 출신. 여동생은 손권의 후궁 조부인이다.
오국팔절 중 한 사람으로 선보의 학문을 이어받아 사고가 정밀했다고 하며, 동남쪽에 제왕의 징후를 보고 그쪽으로 가면 난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혼자 장강을 건넜다. 구궁일산의 법술을 익히고 미묘한 이치를 연구해 임기응변에 대처하는 법을 이룰 수 있었고 사람들의 질문에 대해 신과 같이 응대해 우박의 발생 정도나 숨겨놓은 물건을 추측함에 있어서는 언제나 적중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이 이런 날아다니는 것[1] 은 본래 셀 수 없는데, 누가 그 수를 안다면 이것은 아마 망녕된 것이라면서 조달을 비난하자 조달은 콩 몇 두를 자리 위에 흩어놓게 했다가 즉시 그 수를 추측해 맞췄다고 한다. 친구 집에 갔을 때 조달이 음식을 다 먹은 후 술이 없어서 대접을 못한다고 말하자 쟁반 안의 젓가락을 두세 번 가로 세로로 긋더니 동쪽 벽 아래에는 술과 사슴고기가 있는데, 왜 안 가져나오냐고 하자 친구는 부끄러워 하면서 시험해봤을 뿐이라 말하면서 술을 가져와 맛있게 먹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이 천만을 써놓은 서간을 창고 안에 넣고 밀봉했다가 조달에게 맞추게 하자 조달은 바로 맞추고 이 창고는 나에게는 유명무실하다는 말을 남겼으며, 조달은 자신의 법술을 중시하고 아껴 감택, 은례로부터 유명한 유학자와 우수한 선비들이 직접 몸을 굽혀 배우려고 왔지만 조달은 비밀로 하고 말하지 않았다. 태사승 공손 등은 어렸을 때부터 조달을 스승으로 섬기면서 각고의 노력을 했지만 그에게 법술을 가르쳐 주기로 응낙하고 몇 해가 지나도록 항상 도중에 멈췄는데, 하루는 공손 등이 술을 주고 무릎을 꿇으며 법술을 전수해 주기를 요청하자 조달은
라면서 손가락 두께만한 책 두 권을 가져와 보여줬다가 한 번 검토한 다음에 주겠다고 했지만 약속한 날 다시 찾아가자 책을 찾는 척 하다가 깜짝 놀라면서 책을 잃어버렸다며 사위가 훔쳐갔을 것이라는 말을 하니 결국 그의 술법은 전수되지 않았다.나의 선조들은 이 법술을 얻어 제왕의 스승이 되기를 추구했지만 관직에 오른 이래 삼대에 이르기까지 태사랑에 불과했다. 나는 진실로 너에게 전수하고 싶지 않다. 게다가 이 법술은 미묘해 처음에는 승법으로 하고 나중에는 제법으로 하므로 이 계산 방법은 부 관계라고 해도 서로 말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너는 학문하기를 매우 좋아하므로 피곤함을 모르니 오늘 진정으로 철저히 전수해 주겠다.
손권이 병사를 내어 정벌하러 갈 때마다 항상 조달에게 앞일을 헤아려 보도록 했는데, 그때마다 맞춰 법술에 관해 물었지만 조달이 끝내 대답하지 않자 그는 냉대를 받아 봉록과 작위와는 인연이 없게 되었으며, 그는 늘상 별의 기운이나 풍술하는 자들을 비웃으며 다음과 같은 말을 남긴다.
한 번은 일이 없어 법술로 자신을 헤아려 보고서는 탄식하면서 죽을 날을 예견해 그의 처가 소리를 내어 울었으며, 조달은 처를 위로하기 위해 이전 것은 잘못되었다며 죽을 날은 아직 안되었다고 했지만 결국 예견한 날에 죽었다.마땅히 휘장 안에서 계산하고 문을 나가지 않고서 천도를 알아야 하는데, 오히려 낮이나 밤이나 몸을 밖으로 드러내어 기상의 징후를 바라보아야 하니 또한 어렵지 않습니까!
손권은 조달이 점술에 관한 책을 갖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수색했지만 얻지 못하자 그의 딸을 심문하고 관을 파냈지만 얻지 못해 결국 그의 법술은 실전되었다.
2.1. 창작물에서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19, 무력 12, 지력 66, 정치 51, 매력 59이며 일러스트는 목각을 만지면서 보고 있다. 개성은 점술,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오범,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171년, 몰년은 230년까지 되어있다.
3. 후한 말의 인물
趙達
(? ~ ?)
조조의 부하.
노홍과 함께 감찰관으로 임명되어 관리들을 감시하게 되었고 이는 사실상 조조의 정실인사에 가까웠으며, 당시에 금주령이 행해졌지만 서막은 사사로이 술을 마셔 취했다. 조달은 이 일을 조조에게 알렸지만 선우보가 서막을 변호해 형벌을 면할 수 있었다.
고유가 그 권한이 지나치게 강한 것과 도덕성 문제들을 지적하고 그들의 재능이 마땅한지 살펴야 한다고 진언했다. 그러나 조조는 조달, 노홍에 대한 이해는 자신만 못하다면서 고유의 진언을 무시했는데, 군중에서는 조달, 노홍에 대한 말이 퍼지게 되었다.
조달에 대해서는 조공(조조)께서 용서하셔도 조달이 날 죽이리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악명을 떨쳤으며, 고유의 진언에 따른 염려에 따라 조달은 이익을 꾀하려다가 그 부정이 적발되면서 노홍과 함께 처형되었다. 조조가 이 일에 관해 진언한 고유에게 사례했다.
3.1. 창작물에서
소설 삼국지 조조전에서는 점술가 조달과 동일한 인물로 나오는데, 아첨이나 할 줄 아는 인물로 의랑이 되었다가 권력을 가지고 싶어서 체면을 가리지 않고 조조에게 아부하는 모습을 보인다. 새해 인사로 조조에게 인사하기 위해 허겁지겁 달려와서 조조에게 아부하면서 의랑 대신 조조의 속관이 되길 청하자 조조가 말로만 임명해준다면서 하지 않았다.
조조에게 아부하기 위해 동승의 수하들과 접촉해 동승의 단점을 들춰내려 했는데, 술친구이자 동승의 종복이었던 노홍을 통해 조조 암살 모의에 대한 것을 알게 된 것을 알게 되고 그를 설득해 함께 의기투합하게 되었다. 조조가 원소와 결전을 치루는 도중에 조조에게 가서 아부하려다가 쫓겨났는데, 천자(헌제)가 조조 암살 모의를 지시한 것을 조조에게 알렸고 이 일로 인해 자간교사에 임명된다.
원소 사후 업성 함락 이후 진군이 여남과 영천의 인재에 비교하는 글을 쓰면서 공융이 진군과 논쟁을 벌인 것을 보고했으며, 원가를 평정한 후에는 공융이 금주령에 대해 논쟁하는 글을 쓴 것을 보고했다.
교위도 겸임해 고유가 자신들을 제치고 자간영사가 되자 주령이 군사를 함부로 이끌고 다닌 일로 조조가 화를 내자 고유의 책임은 아니었지만 자간영사가 제대로 감찰하지 않았다면서 고유를 모함해 감봉시키게 했다. 노홍과 함께 치려가 어사대부에 임명되자 조조의 명을 받고 공융을 죽이도록 탄핵하게 했으며, 이 과정에서 치려가 거부하는 것에 노홍이 화내자 이를 말리면서 조용히 설득하는 것처럼 말하면서 협박했다.
조조가 화타가 처가 아프다는 핑계로 집에 들른 것을 의심하고 거짓이라면 감옥에 가두라고 하자 조달은 조조의 명을 받고 화타를 감시했다. 조달은 조조에게 사람을 붙여 화타를 초현까지 미행해 화타의 처가 아팠다는 것이 거짓이라면서 약초를 연구하고 의서를 쓰기 위해 거짓말을 하고 귀향한 것이라면서 화타를 붙잡아뒀다고 알린다. 화타의 일을 들어 또다시 고유가 제대로 감찰하지 못했다고 모함해 고유를 곤장 30대를 맞게 했다.
조조가 위공이 된 후에는 조조가 황실로 보낸 딸 두 명이 헌제의 총애를 받는다는 것을 전했으며, 조조에게 헌제가 동우로부터 노자를 강연해 대도무형이고 청정무위다라는 말을 한 것을 알려준다. 조조가 복황후에 대해 물어보면서 복황후에 대해 걸리적거리는 것을 알아채고 황후를 빨리 폐출하고 귀인을 황후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수구에서 전쟁을 할 때 그 와중에 서막이 금주령을 어긴 것을 보고하며, 조조가 철군을 간언하는 가규를 가두면서 조조의 명에 따라 군중에 조조에게 간언하는 사람이 있다면 모조리 처형하겠다는 것을 전했다. 조조의 명으로 복황후를 폐위시키기 위해 사람을 시켜 복황후를 붙잡았으며, 한중을 정벌하고 조조가 군중에서 백성들을 탄압한 일을 묻자 노수가 비단 한 필로 백성의 당나귀를 빼앗아왔다는 것을 알린다.
후계자 다툼에 연관된 일로 조비에게 뇌물을 받았으며, 최염이 후계자 다툼을 관련해 감옥에 갇히자 조조의 명으로 노홍과 함께 자진하는 것을 종용하러 가면서 최염을 조롱했으며, 최염에게 엉덩이를 베이자 병사들을 시켜 최염을 죽이려 했지만 최염은 바위에 머리를 박고 자진했다.
결국 조조가 노홍과 함께 너무 많은 것을 알고 있다면서 여소를 시켜 승진시켜 준다면서 연회를 베푼다는 거짓말로 은밀한 자리로 초대하고 노홍과 함께 독살당했다.
4. 양잿물의 옛말
양잿물 문서 참고 바람
[1] 우박 같은 것을 맞추는 것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