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연(삼국전투기)
[image]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주연을 서술하는 문서.
주치가 오챠노미즈 박사(유식한 박사)로 나왔기 때문에 주치의 양아들인 주연은 아톰으로 나왔다.
조조가 적벽대전에서 패한 뒤 조조에게 공세를 펼치던 손권이 합비에서 주춤하자 노숙의 계책에 따라 회유된 진란, 매성이 조조에게 반기를 들자 육손과 함께 한당을 따라 진란과 매성을 지원하기 위해 출전하며 등장한다.
황량하여 이동이 편리한 서쪽길과 번화하여 보급이 쉬운 동쪽길 중 어느 길로 진격하는 것이 더 낫겠냐고 묻는 한당에게 육손이 서쪽길을 제시하자 반대로 동쪽길을 갈 것을 주장하고[1] 한당의 명에 따라 선봉에 선 뒤 봉룡에서 장패와 맞붙는다.[2]
처음에는 탐색전으로 갈 생각으로 승부를 볼 마음은 없었기에 차륜전으로 가지만 장패와 손관에게 큰 피해를 입은 뒤 육손이 주둔한 내석으로 후퇴하며 2차전에서 설욕할 것이라고 자신하지만 미처 정비를 하기도 전에 장패의 2차 공격에 탈탈 털리고 멘붕한 뒤 자신과 정반대의 계획을 제시했던 육손에게 자신의 계획의 문제점을 물어본다. 이에 육손은 전술의 문제가 아닌 승리에 대한 의지의 문제였다고 답하자 깨달음을 얻게 된다.
조조와 손권이 유수구에서 맞붙을 때, 본진 1군의 수장을 맡은 주태의 보좌로 들어간다. 하후돈과 문빙, 하후상, 손관의 특공대에 의해 배 몇척을 강탈 당하자, 여몽의 배를 지키라는 명령을 주태가 무시하고 배를 되찾으러 가려고 할때, 여몽의 명령을 다시 상기 시키지만, 오히려 주태가 "네 상관의 말에 잔말말고 따르라"며 무시하자 주태의 천박한 출신을 생각하며 짜증을 내며 명에 따른다.
그러나 정작 주태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조조군의 손관을 부상입히고 조조군을 쓸어나가자, 생각이 있고 없고를 따질 군번이 아니었음을 느낀다.
손권이 합비전의 복수로 감녕을 시켜 야밤급습을 하고 조조와 동맹을 맺으면서 주태를 유수오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자, 주태의 출신을 거론하며 거부하는데 이에 발끈한 손권이 주태와의 끈끈한 유대를 보여주겠다며 옷을 벗으라고 시키자, 그렇고 그런걸(?) 생각하고 즉각 수긍한다...
유수오의 책임자가 주태가 아닌 여몽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며 서성에게 투덜거리지만 이 말을 들은 서성은 앞으로 주요 전장이 합비가 아닌 형주가 될 것이라는 것을 간파한다.
관우가 번성 공략에 열을 올리고 있을 때, 여몽을 따라 참전하여 형주를 공략한다.
관우가 맥성에서 탈출을 감행할 때, 반장, 마충과 함께 매복하여 관우를 덮친다. 관우가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반장을 죽이기 직전까지 몰아가는 순간, 마충이 관우의 뒤를 찌르자 눈물을 흘리며 관우를 향해 달려가던 관평을 베어죽인다.
육손의 화공에 의해 대패를 당해 진식과 합류하여 달아나는 유비가 수로로 달아나려하자 수군을 이끌고 퇴로를 차단한 모습을 보인다.
조비가 대대적으로 남벌을 단행할 때, 강릉방면에서 조진, 하후상, 장합의 맹공으로부터 강릉을 사수한다. 요태가 반란을 일으키려라는 등 위기가 있었지만 잘 대처하여 진압하고, 끝내 조진, 하후상, 장합이 물러나게 만든다.
제갈근과 함께 위군의 시선을 분산시키기 위해 번성으로 진격하여 호질과 대치하는데, 작피 전투가 끝나고 공기화된 것을 항의하자 하지만 사마의가 출동한다면 어떨까?라는 작가의 말과 함께 사마의가 출격하면서 박살났다고 한다.
이궁의 변이 벌어질 동안 별다른 언급이 없다가 전종과 같은 시기에 사망했다고 언급한다.
육손을 부각시키기 위해 이론에만 입각한 계략을 세웠다가 장패에게 격파당하고, 상관인 주태를 출신이 한미하다고 무시하다가 그의 무시무시한 전투력을 보고 놀라는 등 초반에는 육손과 장패 그리고 주태를 띄우기 위한 희생양이었으나 전투를 거치면서 깨달음을 얻고 성장형 장군 모습을 보여준다.
형주공방전에서 복병으로 관우를 타격, 관평을 죽이는 등의 활약이 있고 여몽 사후에도 육손과 함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하며 이릉 전투에서도 활약한다. 삼로전투에서 삼각주에서 하후상을 격퇴한 반장과 더불어 6개월 간 조진과 장합에게서 강릉을 수비하는 고군분투하며 끝내 수성에 성공하는 모습이 나온다.
후에 주연이 죽고 아들 주적이 강릉을 맡았을 때, 왕창, 왕기, 주태가 남하하며 공격해올 때, 왕창이 주연이 없으니 계획이 수월하게 풀린다고 언급하기도 한다.
연의에서 워낙 푸대접을 받고 존재감도 없는 탓에 연의보다는 대접이 좋고 작가도 주연이 오나라에서 중요한 인물임을 여러 번 언급하긴 했지만 정작 정사의 활약들이 구체적으로 묘사된 것이 많지 않아 조금은 부족한 느낌을 준다.
근육질이며, 팬티 한 장만 입고 있는 건 검소한 성격이기 때문이라는 설정이다(…).[3]
등장 초반에는 얼굴이 각졌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점점 얼굴형이 동그란 모양으로 변해간다는 것이 특징이다.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주연을 서술하는 문서.
주치가 오챠노미즈 박사(유식한 박사)로 나왔기 때문에 주치의 양아들인 주연은 아톰으로 나왔다.
2. 작중 행적
2.1. 첨산 전투
조조가 적벽대전에서 패한 뒤 조조에게 공세를 펼치던 손권이 합비에서 주춤하자 노숙의 계책에 따라 회유된 진란, 매성이 조조에게 반기를 들자 육손과 함께 한당을 따라 진란과 매성을 지원하기 위해 출전하며 등장한다.
황량하여 이동이 편리한 서쪽길과 번화하여 보급이 쉬운 동쪽길 중 어느 길로 진격하는 것이 더 낫겠냐고 묻는 한당에게 육손이 서쪽길을 제시하자 반대로 동쪽길을 갈 것을 주장하고[1] 한당의 명에 따라 선봉에 선 뒤 봉룡에서 장패와 맞붙는다.[2]
처음에는 탐색전으로 갈 생각으로 승부를 볼 마음은 없었기에 차륜전으로 가지만 장패와 손관에게 큰 피해를 입은 뒤 육손이 주둔한 내석으로 후퇴하며 2차전에서 설욕할 것이라고 자신하지만 미처 정비를 하기도 전에 장패의 2차 공격에 탈탈 털리고 멘붕한 뒤 자신과 정반대의 계획을 제시했던 육손에게 자신의 계획의 문제점을 물어본다. 이에 육손은 전술의 문제가 아닌 승리에 대한 의지의 문제였다고 답하자 깨달음을 얻게 된다.
2.2. 유수구 전투
조조와 손권이 유수구에서 맞붙을 때, 본진 1군의 수장을 맡은 주태의 보좌로 들어간다. 하후돈과 문빙, 하후상, 손관의 특공대에 의해 배 몇척을 강탈 당하자, 여몽의 배를 지키라는 명령을 주태가 무시하고 배를 되찾으러 가려고 할때, 여몽의 명령을 다시 상기 시키지만, 오히려 주태가 "네 상관의 말에 잔말말고 따르라"며 무시하자 주태의 천박한 출신을 생각하며 짜증을 내며 명에 따른다.
그러나 정작 주태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조조군의 손관을 부상입히고 조조군을 쓸어나가자, 생각이 있고 없고를 따질 군번이 아니었음을 느낀다.
2.3. 하변 전투
손권이 합비전의 복수로 감녕을 시켜 야밤급습을 하고 조조와 동맹을 맺으면서 주태를 유수오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자, 주태의 출신을 거론하며 거부하는데 이에 발끈한 손권이 주태와의 끈끈한 유대를 보여주겠다며 옷을 벗으라고 시키자, 그렇고 그런걸(?) 생각하고 즉각 수긍한다...
유수오의 책임자가 주태가 아닌 여몽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며 서성에게 투덜거리지만 이 말을 들은 서성은 앞으로 주요 전장이 합비가 아닌 형주가 될 것이라는 것을 간파한다.
2.4. 번성 전투
관우가 번성 공략에 열을 올리고 있을 때, 여몽을 따라 참전하여 형주를 공략한다.
관우가 맥성에서 탈출을 감행할 때, 반장, 마충과 함께 매복하여 관우를 덮친다. 관우가 필사적으로 저항하며 반장을 죽이기 직전까지 몰아가는 순간, 마충이 관우의 뒤를 찌르자 눈물을 흘리며 관우를 향해 달려가던 관평을 베어죽인다.
2.5. 이릉 대전
육손의 화공에 의해 대패를 당해 진식과 합류하여 달아나는 유비가 수로로 달아나려하자 수군을 이끌고 퇴로를 차단한 모습을 보인다.
2.6. 삼로 전투
조비가 대대적으로 남벌을 단행할 때, 강릉방면에서 조진, 하후상, 장합의 맹공으로부터 강릉을 사수한다. 요태가 반란을 일으키려라는 등 위기가 있었지만 잘 대처하여 진압하고, 끝내 조진, 하후상, 장합이 물러나게 만든다.
2.7. 작피 전투
제갈근과 함께 위군의 시선을 분산시키기 위해 번성으로 진격하여 호질과 대치하는데, 작피 전투가 끝나고 공기화된 것을 항의하자 하지만 사마의가 출동한다면 어떨까?라는 작가의 말과 함께 사마의가 출격하면서 박살났다고 한다.
2.8. 최후
이궁의 변이 벌어질 동안 별다른 언급이 없다가 전종과 같은 시기에 사망했다고 언급한다.
3. 작중 묘사
육손을 부각시키기 위해 이론에만 입각한 계략을 세웠다가 장패에게 격파당하고, 상관인 주태를 출신이 한미하다고 무시하다가 그의 무시무시한 전투력을 보고 놀라는 등 초반에는 육손과 장패 그리고 주태를 띄우기 위한 희생양이었으나 전투를 거치면서 깨달음을 얻고 성장형 장군 모습을 보여준다.
형주공방전에서 복병으로 관우를 타격, 관평을 죽이는 등의 활약이 있고 여몽 사후에도 육손과 함께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하며 이릉 전투에서도 활약한다. 삼로전투에서 삼각주에서 하후상을 격퇴한 반장과 더불어 6개월 간 조진과 장합에게서 강릉을 수비하는 고군분투하며 끝내 수성에 성공하는 모습이 나온다.
후에 주연이 죽고 아들 주적이 강릉을 맡았을 때, 왕창, 왕기, 주태가 남하하며 공격해올 때, 왕창이 주연이 없으니 계획이 수월하게 풀린다고 언급하기도 한다.
연의에서 워낙 푸대접을 받고 존재감도 없는 탓에 연의보다는 대접이 좋고 작가도 주연이 오나라에서 중요한 인물임을 여러 번 언급하긴 했지만 정작 정사의 활약들이 구체적으로 묘사된 것이 많지 않아 조금은 부족한 느낌을 준다.
4. 여담
근육질이며, 팬티 한 장만 입고 있는 건 검소한 성격이기 때문이라는 설정이다(…).[3]
등장 초반에는 얼굴이 각졌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점점 얼굴형이 동그란 모양으로 변해간다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