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베트남대사관
1. 개요
홈페이지(영어)[1]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대한민국에 세운 외교공관.
2. 역사
- 참조: 한월관계
두 나라가 직접 교류를 하게 된 것은 2차 대전 이후 서로 독립을 하게 된 이후부터였다.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같은 분단국가였던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을 우선 수교국으로 지정한 후 1956년 국교를 수립했다. 반공을 내세운 당시 대한민국은 당연히 북베트남(베트남 민주 공화국)과는 적대적일 수 밖에 없었으며 그 때문에 북베트남은 북한과만 교류를 했고 남한(대한민국)과는 한동안 수교를 하지 않았다. 남베트남과 대한민국은 각각 수도인 사이공과 서울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면서 대한민국은 남베트남에 대규모의 병력을 파견하였다. 1973년 파리 평화협정으로 인해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을 돕던 한국군은 철수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국교를 유지해오다가 1975년 베트남이 완전히 공산 통일되면서 국교가 자연스럽게 단절되었다. 북베트남과 같은 공산진영 국가로서 원래부터 교류해오던 북한과는 당연히 공산통일 이후에도 교류를 지속하였다.[2]
그러다가 베트남이 공산통일 이후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비효율성과 서방세계(특히 미국)의 경제제재 등으로 지속적인 경제난을 겪으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개혁개방 정책(이른바 '도이모이' 정책)을 펼치게 되고 한국도 노태우 대통령이 '북방정책'을 통해 공산권과의 교류를 시도하면서 두 나라 사이에는 국교 재개에 대한 논의가 오고 갔다. 이러한 분위기를 타고 베트남은 다른 대부분의 공산권 국가들(북한, 쿠바 등 제외)과 함께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며 마침내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12월에 국교를 다시 수립했다.
3. 건물 및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길 58, 5층, 8층(수송동)에 있다. 바로 맞은 편에는 종로구청이 있다.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가 좋지 않다. 연계 대중교통 수단은 마을버스인 서울 버스 종로02 '''단 하나 뿐'''이다. 이 버스를 타면 1호선 종각역과 3호선 안국역, 5호선 종로3가역으로 갈 수 있다. 참고로 이 노선은 오전 특정 시간대(주로 아침 1교시 시작 전)에는 등교하는 성균관대 학생들로 북적이니 해당 시간대에는 이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대사관에서 서쪽으로 좀 떨어져 있는 곳에 서울 버스 종로11이 정차하기는 하지만 종로11번 정류장에서 대사관까지 가는 길이 오르막길인데다가 거리도 종로02번 정류장보다 더 멀어 불편하다.[3]
3.1. 부속시설
영사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광주와 안양에 명예영사관을 두고 있다.
대사관 부속의 상무부 시설도 존재하고 있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50 (충정로3가, 골든브릿지빌딩)
안양명예영사관 위치 : 경기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27(호계동 1026-6)
광주명예영사관 위치 : 광주시 남구 중앙로 87(서동 112)
4. 대사
응우옌부뚜 대사가 재임 중이다. 황교안 권한 대행이 대통령직을 대신한 시기였던 2017년 4월 24일에 부임하였다.
5. 관광청
- 위치 :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77(화양동 111-159) #
6. 여담
대사관 직원들의 응대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이다.(구글 평가 참고)
2017년 르엉쑤언쯔엉의 강원 FC 입단식 행사를 치룬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