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

 

'''일본 제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일본제국
大日本帝國 | Empire of Japan
'''
[image]
[image]
'''국기'''
'''국장'''
'''五箇條ノ御誓文'''
'''5개조의 서약문'''[1] (1868-1912)
'''八紘一宇'''
'''팔굉일우'''[2] (1926-1946)
[image]
'''1868 ~ 1945(1946)'''[3]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에도 막부'''
'''연합군 점령하 일본'''[4]
'''에조 공화국'''
'''류큐 왕국'''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위치'''
아시아, 오세아니아
'''역사'''
[ 펼치기 · 접기 ]
에도 막부
(1867년 대정봉환)
→ 대일본제국[78]
1868년 메이지 유신
1869년 도쿄 전도[79]
1879년 류큐 왕국 강제 병합
1889년 대일본제국 헌법 공포[80]
1894년 청일전쟁 발발
1895년 타이완 병합
1904년 러일전쟁 발발
1905년 사할린 남부 병합
1910년 대한제국 강제 병합
1931년 만주국 정권 수립
1937년 중일전쟁 발발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1945년 연합국에 항복
연합군의 군정
(1946년 일본국 헌법 공포)[81]

'''영토'''
'''일본 열도,(1868),'''
지시마 열도,(1875),
・ '''오가사와라 제도,(1876),'''
・ '''류큐제도,(1879),'''
타이완 섬,(1895),
뤼순 · 다롄, 사할린 남부 ,(1905),
한반도,(1910),
미크로네시아 일대,(1914),
만주,(1932),
내몽골,(1936),
중국 동부 일대,(1937),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1940),
홍콩, 서태평양 일대,(1941),
인도네시아, 말레이, 필리핀, 동티모르, 싱가포르, 브루나이, 미얀마, 인도 동부 일대,(1942),
'''수도'''
교토시(1868년~1869년)[5]
도쿄부(1869년~1943년)[6]
도쿄도(1943년~1946년)[7]
'''면적'''
675,114km²[8] (1933년)
8,510,000 km²[9] (1942년)
'''인구'''
105,200,000 명 (1940년)[10]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1868~1890)
입헌군주제(1890~1932, 1932~1940)
군사독재 · 익찬 체제 (천황제 파시즘)(1932, 1940~1945)
연합군 군정하의 입헌군주제(1945~1946)
'''국가 원수'''
천황(天皇)
'''역대 천황'''
메이지 덴노,(1868~1912),
다이쇼 덴노,(1912~1926),
쇼와 덴노,(1926~1946),
'''정부 수반'''
내각총리대신
'''주요 내각
총리 대신
'''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사이온지 긴모치
오쿠마 시게노부
가쓰라 타로
다나카 기이치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언어'''
일본어
'''문자'''
한자, 가나 문자
'''국교'''
국가신토,(사실상)[11],
'''민족'''
일본인, 조선인, 중국인, 류큐인, 아이누족
'''통화'''
(¥)
'''오늘날'''
일본
[ 독립한 점령지 ]
[ 반환한 점령지 ]
중국(만주, 동부 해안 등)
러시아(쿠릴 열도와 남사할린)
인도(동부 일부분)
미국(, 북마리아나 제도 등)

1. 개요
2. 상세
3. 상징
3.1. 국호
3.2. 국기
3.3. 국가
4. 역사
4.1. 대정봉환 이전
4.2. 제국의 탄생
4.3. 전성기
4.4. 폭주
4.5. 패망
5. 군사
6. 일본 제국의 식민지와 점령한 영토
7. 교육
7.1. 조선
8. 일본국 헌법 체제로의 전환
9. 평가
9.1. UN 헌장의 적국조항
9.2. 전후 일본의 관점
9.2.1. 일본의 극우 세력
9.3. 전쟁 피해자들의 관점
9.4. 학자들의 관점
10. 식민통치의 사죄 및 손실보상의 논쟁
11. 대중 매체에서의 일본 제국
12. 관련 문서
12.1. 일본의 동맹국(추축국)들
12.2. 일본의 괴뢰국들
12.4. 기타
13. 관련 사건

[clearfix]

1. 개요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 '''일본 제국''' 또는 '''일제'''는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 열도와 그 식민지[12]를 통치했던 국가이다. 1868년 1월 3일부터 1946년 11월 3일까지 존속했다. 동양에서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한 뒤 아시아 각국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패전으로 인한 연합군의 점령 이후 일본국 헌법이 제정됨으로써 체제가 붕괴되었다.[13]

2. 상세


1867년대정봉환(제정 복고)을 통해 에도 막부가 폐지되고 천황에게 권력과 정권이 이양됨으로써 성립되었으며, 동시에 메이지 유신이라 불리는 개혁개방을 통해 서양의 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여, 동양에서는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했다. 1889년에는 제국 헌법이 제정되고 이듬해인 1890년 제국 의회가 개설되어, 입헌군주제 국가로서의 기틀이 완전히 마련되었다.
일본 제국은 대외적으로는 제국주의를 표방하여, 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고자 청나라, 러시아 제국 등 주변국과 전쟁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다수의 식민지를 할양[14]받고 독립국이던 한반도까지 강제 병합하여 통치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협상국 측에 가담하여 승전하고, 전후 국제 연맹의 상임 이사국이 되었으나, 세계 대공황을 계기로 총리가 암살되는 등 정치적 혼란이 일어나 결국에는 군부가 권력을 잡는 군사독재 및 천황제 익찬 국가로 전락하였다.[15] 이후 국방 및 전쟁 업무의 수행이 국가의 최우선 목표가 되는 군국주의의 길로 들어선 일본 제국은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같은 파시즘 국가와 손을 잡고 추축국의 일원이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켜 많은 인명을 희생시키게 된다. 동시에 반인륜적인 전쟁 범죄 또한 자행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후 1945년연합국에게 패배하여, 포츠담 선언을 기초로 한 무조건 항복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황실과 정부가 종속됨으로써 사실상 제국이 해체되었다. 대일본제국 헌법일본국 헌법으로 개정하여 공포한 1946년에 법적으로도 완전히 소멸하였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이 시행됨으로써 현재의 일본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상징



3.1. 국호



'대일본제국((だい(にっ(ぽん(てい(こく)'[16]대정봉환 이래 1945년 항복 이전까지만 공식적으로 쓰인 국호는 아니다. 에도 막부미일화친조약을 맺을 때 제국일본(帝國日本)이라는 국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에도 막부는 자국에 대한 국호를 공식적으로 통일하지는 않았고 일본(日本), 일본국(日本國), 제국일본(帝國日本), 제국대일본(帝國大日本), 일본제국(日本帝國) 등을 모두 썼다. 심지어 항복 이후인 1946년 공식적으로 일본국 헌법이 공포, 1947년 시행되기 이전에는 외국과의 조약에서도 일본제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현상은 대정봉환으로 천황에게 권력이 넘어갔을 때에도 달라지지 않아, 여전히 정식 국호에 대해서는 애매모호한 상태로 넘어가고 저 위의 여러 호칭들이 외국에 보내는 국서에 모두 쓰였다. 그러다가 1889년에 대일본제국 헌법을 제정하면서 이 헌법에 따라 자국의 정식 국호를 1890년에 대일본제국으로 확정하였다.
그래서 1890년부터 정식 국호는 대일본제국이지만, 여전히 해외에 보내는 국호에서는 일본(日本), 일본국(日本國), 일본 제국(日本帝國), 대일본국(大日本國) 등의 표기도 쓰였다. 공문서에서 국호를 '''대일본제국'''으로 통일한 것은 1936년이다.[17]
당시 일본 제국은 국호 앞에 '대(大)'자를 붙여서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이라고 칭했으나 현대 한국에서는 '일본 제국'[18]이나 '일제' 또는 '제국주의기 일본'[19]라는 표기를 많이 쓴다. 사실 일제는 대일본제국의 줄임말이 아니라 일본의 제국주의 혹은 제국주의 세력을 일컫는 단어에서 비롯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이 당시 일본 정치체제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한국에서는 자주 등장하는 용어로 <일제 강점하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에 관한 특별법>에서처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일본 내에서는 주로 좌익들이 일제라는 말을 쓰고 우익들은 이 말에 반감이 있으며, 많은 일본인들은 이 시기의 일본도 그냥 일본이라고 한다.[20],현대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이후의 시대들은 연호+시대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도 하고,[21] 이때의 일본을 "이전의 일본이나 이후의 일본과는 차별적으로 존재한 대일본제국이라는 독자적인 국가"로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좀 애매하다.[22]
한국에서 굳이 일본 제국이나 일제라고 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고대 로마의 경우 왕정이었을 때를 로마 왕국, 공화정일 때를 로마 공화국, 제정이면 로마 제국이라고 하듯이 Empire of Japan[23]을 일본 제국이라고 하는 것은 틀린 표기가 아니다. 아울러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의 고유명사를 어떻게 표기할 지는 언어의 사회성에 근거하여 도의적 합의를 찾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24] 마치 아돌프 히틀러 집권기 나치 독일을 당시의 정식 명칭인 '대독일국(Großdeutsches Reich)'이라는 칭호대로 불러주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도 '일본 제국'이라는 용어는 종종 쓰였으니 역사성이 없는 명칭인 것도 아니다.
한편 당시 민간에서는 좁게 봤을때 '일본'이라고 하면 일제의 판도 중에서도 일본 열도 본토만을 뜻하기도 했다. 당시 일본에서 나온 지도 중에 동중국해쯤에 '제국'이라고 적어놓고 일본 열도(내지)에는 '일본', 한반도 위에는 '조선'이라고 적어놓은 물건도 있었을 정도다.

3.2. 국기



'''일장기'''
[image]
'''공식 명칭'''
'''일장기'''
日章旗 (にっしょうき)

'''속칭'''
'''히노마루'''
日の丸 (ひのまる)

'''채택일'''
1870(메이지 3)년 2월 27일 (관습상[25])

3.3. 국가




4. 역사



4.1. 대정봉환 이전



[image]
1868년(게이오 4년) 왕정 복고의 대호령
에도 막부는 중국, 조선을 비롯하여 극소수의 국가를 빼면 통상 교역을 금지한 해금(海禁)정책을 폈다. 이는 도쿠가와 막부의 영향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특히 서양 열강들(네덜란드, 러시아, 미국, 영국 등)이 지속적으로 밀고 들어오자 점차 해금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나왔다.
당시 일본 특유의 정치 체제인 幕藩体制[26](막번 체제)를 먼저 알아야 한다. 일본은 번(藩)이라는 지방의 자치를 제한적으로 인정하면서 이들을 막부에 철저하게 종속시키고,[27] 번들의 경쟁을 이끌어 효과적으로 견제하는 중앙 집권적 효과를 노리는 정도에 그쳤다.
시간이 흐르며 점차 에도 막부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반대로 지방 번들의 세력들이 커져갔다.[28] 이러한 상황에서 세력이 강해진 번을 웅번이라고 하는데 이 웅번들 가운데서도 특히 사쓰마, 조슈, 도사, 히젠 4개 번이 그 기세가 가장 강대하였다. 이들은 서구 열강과의 밀무역으로 근대적인 무기들을 도입하였고, 재정적인 부를 축적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에도 막부는 다시금 왕년의 전성기를 회복하고자 3대 개혁을 펴지만 모두 실패했다. 경제의 혼란, 무사(특히 하급 무사)의 잉여화, 새로운 문물과 학문에 따른 정치적 각성, 페리 제독의 함포 외교 등 여러 사건이 이어진 끝에 에도 막부는 그 정치력을 완전히 잃었다. 위에 말한 웅번들이 막부의 몰락에 한몫을 담당했다. 졸지에 사면초가 신세가 된 에도 막부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대정봉환을 단행하였으나, 사쓰마의 사이고 다카모리 등 급진파는 이후로 에도 막부의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내대신 사직과 막부령 반납을 지속적으로 강요했다. 동시에 쿠데타를 일으켜, 구 막부파가 지키던 교토고쇼를 점거하고 내대신 요시노부가 없는 상태에서 신정부를 출범한다. 이윽고 메이지 덴노에게 왕정 복고의 대호령을 선언하게 하면서 요시노부를 정치권에서 완전히 내쫓는 데 성공한다.
이후 1868~1869년 사이에 벌어진 무진전쟁을 통해 구 막부 잔당들을 완전히 몰아내어, 새롭게 정치판의 강자로 떠오른 웅번들은 판적봉환[29]폐번치현[30]을 단행(메이지유신)했다. 그리고 지방 영주가 스스로 중앙 귀족에 올랐다.

4.2. 제국의 탄생


[image]
1871년(메이지 4년) 이와쿠라 사절단
새로운 웅번들은 자신들의 정치 권력을 강화하려고 천황을 이용했다. 이는 명분적으로 그럴싸한 이야기였다. 막부의 최고 권위자는 일본어장군을 뜻하는 쇼군인데, 형식적이나마 쇼군은 천황에게 권력을 위임받아 일본을 다스릴 뿐이었고 일본의 진정한 통치자는 천황이었다. 그리고 700년 사이 7만 평 남짓한 땅을 받고 살아가던 천황은[31] 순식간에 일본 최고 정치 권력의 정점에 등극했다. 이 뒤에는 엄청난 정치 공작이 있었다. 철저한 중앙집권체제, 이른바 만세일계(万世一系)의 사상이 일어서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을 배경으로 메이지 유신이 일어났다.
메이지 유신을 전후하여 이들은 서구 열강을 보고 배워야 한다는 필요성을 크게 느꼈고, 이와쿠라 사절단을 꾸려 유럽으로 보냈다. 이와쿠라 사절단의 목표는 2가지였다. 하나는 서구 열강들과 맺은 불평등조약을 다시 교섭하여 평등 조약으로 바꾸기, 다른 하나는 서구 열강들의 정치 체제를 공부하여 일본에 도입하기. 그러나 일본 자체의 정치 역량이 모자랐던 까닭에 1번째 임무는 실패한다. 대신 그들은 2번째 임무를 성공적으로 하였는데, 이러한 정치 핵심부의 해외 사절 경험은 일본 정치에 그대로 넘어왔다. 예컨데 이토 히로부미독일로 넘어가서 헌법을 공부하고 온 바 있다.
그래서 헌법은 독일 프로이센 것을 채용하고, 민법은 프랑스인 보아 소나드를 법률 고문으로 초빙하여 프랑스 것을 채용하여 만들었다.[32], 다만 서구 법률을 받아들이면서 시민의 권리나 권익에 관한 사항 중 일부는 지배 계층의 편의에 맞게 취사선택 및 변형 채택되었고[33] 천황의 권한을 확고히 하는등 온전한 민주주의적 헌법이라 보기는 힘들었으며 선거권도 1889년 중의원 선거가 처음 치러졌을때부터 1920년대 본토에 살던 25세 이상 남성에게[34] 보통 선거권이 주어질때까지 소수의 상류층 내지 중산층이나 가졌던 것이고, 다수의 하층민들은 중의원 투표권을 가질수조차 없었다. 그러하니 식민지 주민들에게 투표권이 주어질 껀떡지도 없었던것이다. 다만 식민지인들도 일본 내지에 거류하게 되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일제 시대 당시 선거 포스터에 보면 한글이 같이 표기된 포스터들이 발견되는데 내지의 재일 조선인들의 투표 안내를 위한 것이다.[35] 일제 시대 당시 식민지 조선 출신의 국회 의원으로 친일파 박춘금이 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은 비민주적인 정부다보니 그 과정에서 지역 중심 인사가 횡행하였고 부정부패가 심했다. 특히 이들이 시도한 위로부터의 개혁은 서구 문물의 도입과 국민 의무 교육의 시행으로 정치 제도와 시민 문화를 바꾸는데는 성공했으나, 그 대가로 지역주의가 사라지고[36] 전 국민이 황국신민으로 일체화하면서 아래의 비판 능력을 철저하게 탄압하고 봉쇄했다. 또한 지극히 혼란한 상황인지라 상층부의 권력 다툼도 늘 일어났고, 금방 내각을 개편했다. 자국의 상황에 맞는 성찰 없이 외부로부터 '''그대로''' 이식한 서양식 정치가 보수적인 일본에서 제대로 돌아가지 않았다.

4.2.1. 대일본제국 헌법



[image]
1889년(메이지 22년) 헌법 반포 약도
[image]
황거 정전#s-5에서의 헌법 발포식 그림(아다치 깅코 安達吟光 그림)[37]
대일본제국 헌법(大日本帝國憲法)은 1889년(메이지 22년) 2월 11일[38]에 공포되어 1890년(메이지 23년) 11월 29일에 시행된 근대 입헌주의에 기초한 일본 최초의 근대적인 헌법이다. 현대에는 공포 당시의 천황인 메이지 덴노의 이름을 따서 메이지 헌법(明治憲法)이라 부르거나 단순히 제국 헌법(帝国憲法)라고도 부르며, 현행 일본 헌법과 대비해서 구 헌법(旧憲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기간 정지된 오스만 제국 헌법을 제외하면 아시아 최초의 근대 헌법이다. 1946년(쇼와 21년) 11월 3일 일본국 헌법 공포까지 반세기 이상 동안 한번도 개정되지 않았다. 제73조 헌법 개정 절차를 거쳐 1946년 11월 2일까지 존속하고 이듬해(쇼와 22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이 시행되었다.
헌법 발포의 칙어에서 "불마(불멸)의 대전"(不磨ノ大典)이라고 명시했기 때문인지 일본국 헌법으로 개정될 때까지 한번도 수정이나 개정된 일은 없었다. 또한 청나라흠정 헌법 대강, 대한제국대한국 국제에도 영향을 주었다. 상세 내용은 대일본제국 헌법 문서 참조.

4.3. 전성기


일본은 점차 제국을 표방했다. 이에 따라 국가를 개혁하고 군사력을 완전히 서구식으로 개편하여 증강하였다. 류큐왕국(현재 오키나와현 지역)을 강제 병합시킨 후 청일전쟁(1894)에서 승리하여 대만을 병합하고,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였고, 대한제국을사조약을 체결하면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가져간 끝에 이후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여 35년간 한반도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image]
러일전쟁 당시 정치풍자 그림엽서
또한 만주와 내몽골, 중국의 일부 영토를 점령하여 만주국, 몽강자치연합정부 등의 꼭두각시 국가들을 만들었다. 일본의 식민지 대상이었던 국가들은 당시 일본군에 비해 한 주먹거리도 아닐 만큼 군사력이 빈약했기에, 점령하는 데 별 다른 어려움이 없었다.[39]
제1차 세계 대전과 이후의 짧은 전간기 사이, 유럽에 전쟁 물자를 수출하던 일본은 호황을 맞이했다. 일본은 이로써 러일전쟁에서 입은 손실을 만회했고, 그동안 외국에 진 모든 채무를 갚은 것과 동시에 수십억 엔의 순채권국이 되어 장차 긴 전쟁을 치를만한 국력도 조금 쌓았다.
이후 중일전쟁 이전까지는 호황의 부가 효과로 서민 경제도 어느 정도 나아지는 효과를 얻었는데, 현대 일본의 노인들이[40] "그래도 그 때는 전쟁만 아니었다면 좋은 시절이었지..."라고 회상한다면 십중팔구는 이 때라고 보면 된다.
다이쇼 시대는 서브컬처 등에서도 꽤나 낭만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관련해 나오는 제국시대 일본의 풍경화나 그림들도 대부분 이 때를 묘사했다. 서브컬처 등에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이를 '''다이쇼 로망'''이라고도 한다.

4.4. 폭주


그러나 좋은 시절도 잠시였다. 점차적으로 농민들에게서 걷는 세금이 점점 높아져갔고, 상황이 다급해진 농민들은 도쿄와 같은 대도시로 몰려가 하층민을 이루기 시작한다. 당시 관동 대지진 때 마구 나눠준 채권의 가치가 폭락할 거란 소문이 돌면서 1927년 초에 전국적 대공황[41]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시작으로 하층민의 대부분을 이룬 청년 세대가 "부패한 정권을 무너뜨릴 혁명"을 요구하기 시작했지만, 1929년에 발생한 세계 대공황으로 2연타를 맞아 경제가 보이지 않는 수렁에 침식하면서 마침내 군부가 폭주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은 공공 건설을 늘리는 뉴딜 정책, 유럽은 식민지를 이용한 블록 경제를 통해 어느 정도 극복하는데 성공했지만, 일본은 그럴 만한 나라가 주변에 별로 없었을 뿐더러 처음부터 경제 체제가 미약했다.[42] 이런 상황에 분노하기 시작한 군부 내 급진층은 조금이라도 온건적 혹은 중도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총리와 고위 공무원들을 암살하기 시작, 일본 육군일본 해군이 엮여 두번에 걸친 쿠데타를 시도하게 된다. 1932년에 거국내각이 조직되면서 일본을 움직일 통합된 통치구조가 형성되었고 두 차례의 쿠데타 미수로 일본의 밑으로터의 파시즘은 분쇄되고 기타 잇키 등이 처형되었으나 1937년 고노에 후미마로가 집권하여 정당정치를 부정하고 군대에 굴복하게 된 일본 제국 정계는 결국 중일전쟁으로 폭주, 일본의 경제력이 감당할 수도 없는 총력전을 선택하게 된다. 관련해서 천황제 파시즘 문서 참조.
1931년 이시와라 간지를 비롯한 일부 장교들이 천황의 재가 없이 멋대로 일으킨 만주사변을 막지 않은 일본 제국은 고작 연대장에 불과한 무타구치 렌야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킨 것도 처벌하기는 커녕 기회로 여기고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는 꼴도 묵인했고 결국 폭주하는 군부를 제어하지 못해 나라가 군부에 먹히고 말았다. 이후 도조 히데키(군부를 대표하는 사람)가 총리가 되어 정권을 잡기에 이르렀다.
이에 미국은 일본의 확장을 저지하기 위해 만주 지역을 제외한 중국내 모든 곳에서 철수할 것을 통보했고 이를 어길 시 석유 등 주요 자원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선포했다.[43] 그러자 일본은 선전포고도 제대로 안 하고[44] 1941년 12월 7일 일요일 아침에 하와이에 위치한 미국 태평양함대의 모항인 진주만을 공습하는 이른바 진주만 공습을 벌여 미국에게 대책도 없이 전면 도전하는 자살 행위를 한다.
유럽과 아프리카의 싸움으로도 정신이 없던, 심지어 본국이 무너지기까지 한 유럽 국가들은 머나먼 서태평양 지역에 소홀하게 대처했고, 기세를 탄 일본 제국은 중국의 절반뿐 아니라 동남아 전역까지 휩쓸며 내친 김에 인도와 남태평양까지 쭉쭉 진출했다. 1942년, 일본 제국은 동북아에서 동남아, 남태평양까지 이르는 최대판도를 형성하였다. 태평양 전쟁 개시 뒤 귀축영미라는 단어가 유행했는데, 귀신짐승같은 영국미국이라는 뜻이다.

4.5. 패망


사실 일본 제국은 이미 자국의 군사력이 미국의 군사력에 뒤쳐짐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군사력상 차이가 있더라도 주요 전력에 선제 공격을 취하면 협상 테이블에 나올 것이라 계산하였다. 이는 러일전쟁 당시 얻은 교훈(?)이기도 했다. 문제는 이 당시 일본군이 러일전쟁의 진상을 하나만 알고 둘은 몰랐다는 것이다. 아니면 알면서도 애써 정신승리 했거나.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협상장으로 나온 진짜 이유는 쓰시마 해전과 같은 일본군의 전력 우세 때문이 아니었다. 이 당시 상황이 더 안 좋은 것은 러시아가 아니라 일본이었다. 쓰시마 해전에서의 승리를 통해 사기를 높이긴 했지만, 전쟁 치른다고 영국과 미국한테 빌린 차관이 이미 국가재정으로 갚기에도 벅찰 정도로 한계에 치닫고 있었던 것이다. 반면, 러시아는 전쟁자체는 계속 치를 수 있었지만, 피의 일요일 사건이 터지면서 외국과의 전쟁이 문제가 아니라 당장 내부 혼란부터 해결해야될 지경이 되었다. 그리고 당시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건설은 간신히 완료만 된 상황이고 기타 인프라는 아직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통한 유럽에서의 보급에도 차질이 심각했다. 즉 러시아의 국력이 100, 일본의 국력이 60이었다고 해도, 러시아는 유럽 쪽에 70, 아시아 쪽에 30으로 나뉘어 있고, 유럽에서 30을 더 끌고 와서 일본을 대적할 여건이 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거기다 이미 러시아는 일본의 배후에 자신들의 태평양 진출을 고깝게 보는 영국과 미국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협상장에 나온 것이다.
문제는 일본 제국이 전쟁을 시작한 시점에도 미국 태평양의 해군력은 일본 제국 해군력에 크게 뒤지지 않았으며(일각에 알려진 것과 달리 이 당시에는 일본제국 해군력이 미 해군력을 상회했다.[45]) 문제는 미국은 압도적인 공업기반을 이용하여 순식간에 열세를 극복하였다는 것이다.[46] 미국은 일본 제국과 굴욕적인 강화조약을 맺는 대신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양 국가를 완전히 없애기로 결정하였고 이를 실행시켰다. 즉, 이 당시 이미 미국의 국가기반은 전 유럽을 상회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초강대국 반열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
물론 전력 열세에 선제공격을 한 상태였으며 전쟁 초기에는 일본 제국군이 우세를 점했다. 그러나 갈수록 미국 본토의 막강한 산업력을 기반으로 세를 불려가는 미군에 의해 미드웨이 점령 실패와 과달카날 전역의 패배를 시작으로 뉴기니, 괌, 필리핀, 사이판 등의 점령지를 차례로 빼앗기며 전쟁에서 수세에 몰린 일본 제국은 이오 섬과 내지의 일부인 오키나와(구 류큐왕국 지역)를 뺏기고 전 국토가 미공군[47] 폭격기들의 공습으로 불바다가 되는 등 전황이 갈수록 불리해졌다.[48]그럼에도 끝까지 1억 총옥쇄를 주장하며 항복을 거부하던 일본 제국은 미국의 원자폭탄2번이나 맞고 소련이 대일 전쟁에 참가하자 마침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며 전쟁은 1945년 8월 15일 부로 끝나고 일본의 항복이 이루어져 일본 제국은 사실상 패망하였다.
패망 뒤에도 헌법 개정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아 헌법상 국호는 계속 '일본 제국'이었지만, GHQ의 통치를 받던 1947년 5월 3일일본국 헌법이 시행되어 국체가 완전히 변하고 정식 국명을 일본국(日本國, Japan)으로 고쳤다. 일본의 주권은 GHQ에 완전히 종속됐으며 1952년 샌프란시스코 조약으로 미군정에서 독립하여 재탄생 할때까지 주권국가가 아니었다.
일본 공화국이 아닌 일본국인 이유는 천황제를 폐지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미군은 패전의 책임을 물어 천황의 권한을 사실상 없애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고, 때문에 현대의 일본에서 천황은 그저 '''국가통합의 상징'''일 뿐 아무런 정치적 권력을 가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 논란을 불러올 발언을 하는 것이 금기시 되었다. 심지어 천황을 정치적 논란에 끌어들이려는 사람들이 암살 위협을 받을 정도이며 때문에 천황 본인도 행동 하나하나를 궁내청이 제한하는 수준이다.

5. 군사





6. 일본 제국의 식민지와 점령한 영토






[image]
1942년 일본 제국 최대 영토 지도[49][50]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식민제국으로 성장하여 제국주의 열강 중 하나가 되었다. 물론 영국이나 프랑스 같은 1류 열강 취급은 받지 못했지만, 러일전쟁 승전 이후에는 국제 관계에서도 열강의 대우를 받는데 성공했다.
위 이미지는 1942년 과달카날 전투 직전의 판도로, 동쪽으로는 버마 (현 미얀마) 일대를 대부분 점령했고, 서쪽으로는 알류산 열도 (지도에는 나타나있지 않다) 남쪽으로는 솔로몬제도 일부를 점령했다. 중국전선에서는 구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수도였던 남경을 비롯한 대부분의 중국해안을 점령하고 있던 상태였다. 하지만 1942년 말부터 시작된 연합국의 반격에 이 판도는 붕괴되고 만다.
탄생 직후부터 계산하면 일본 제국의 판도는 수십 년(78년)이다. 하지만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자신들이 침략하는 국가와 다를 바 없는 전형적인 아시아 국가였다. 열강이 된 이후에도 일본은 체급[51][52]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희생을 치뤄야 했고 최대 패권을 갖추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다만 어디까지나 서구 열강에 비해 그렇다는 것이지 아시아에서는 이미 그때 독보적 역량을 가진 국가였다. 최대 영토를 갖춘 것은 1942년 중엽 남방작전이 끝난 이후이다.
일본의 식민지와 점령지를 아우르는 일본 식민제국은 1945년 일본 제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함으로서 해체되었다.
아래는 일본 식민지들과 점령지를 획득한 순서로 나열.

6.1. 대만



1894년 일본 제국은 청나라조선의 종주권을 두고 싸워 청일전쟁을 벌였고, 그에 따라 대만 섬을 식민지로 따냈다. 대만인들은 타이완 민주국을 세워 저항했으나, 일본군에 의해 진압당한다.

6.2. 한반도




일본 제국은 운요호 사건과 그로 인한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조규) 체결로 조선을 상대로 처음 제국주의적 모습을 드러냈으며, 조선 침략의 발판을 마련한다. 이후 조선에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톈진 조약#s-2[53]을 명분으로 들며 조선에 군대를 파견하였고, 이후 벌어진 청일전쟁(1894)의 승리를 계기로 청나라를 한반도에서 영향권을 없애 밀어내고 조선에 대한 주도권을 쥐기 시작한다. 이후 고종아관파천으로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잠시 상실하지만, 러일전쟁의 승리와 을사조약 체결(1905. 대한제국의 외교권 강탈)로 결국 한반도를 손아귀에 쥐게 된다. 이윽고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제국에 병합되기 이른다.'''


6.3. 관동주



일본 제국은 청일전쟁 직후 청나라로부터 랴오둥 반도를 따냈으나, 러시아의 삼국간섭으로 철수한다. 그러다가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계기로 러시아 제국의 조차지인 뤼순다롄을 뜯어내어 관동주 식민지를 건설하였고, 이후 이곳은 일본군중국 대륙 침략의 거점으로 사용된다.

6.4. 사할린 남부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따냈다. 1943년 이후 본토로 편입된다.

6.5. 미크로네시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일동맹을 근거로 연합국 측으로 참전해 독일 제국의 식민지인 미크로네시아산둥 반도를 점령하였다. 이후 산둥 반도중화민국에 반환하지만, 미크로네시아는 남양제도라는 이름으로 위임통치령으로 삼았다. 그러나 취급은 사실상 식민지였고,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기지로 이용되었다.

6.6. 중국





6.6.1. 만주



1931년, 일본의 관동군은 천황의 재가와 정부의 허가도 없이 류탸오후 사건을 이유로 들어 중화민국의 영토인 만주를 점령했다.(만주사변) 그러나 뒤늦게 알아차린 일본 정부는 '어쩔 수 없다'라는 걸로 애써 무시했다. 그 결과 이미 축출당한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를 초대 황제로 하여 1932년 괴뢰국만주국이 설립되었으며, 일본은 군국주의의 길로 치닫게 된다.

6.7. 동남아시아


일본은 1941년 9월 비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군대 주둔권을 따냄으로서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를 자신들의 영향권하에 두고, 그해 12월 7일 진주만 공습을 감행함으로서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다. 일본은 , 버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동티모르 등 서구 열강들의 동남아시아 식민지나 해외 영토를 전부 손에 넣었다. 태국도 일본과 동맹을 맺어 일본의 버마 침공에 협조했다.
전쟁말기인 1945년 3월 명호작전을 통해 일본 제국은 프랑스를 완전히 몰아내고 베트남 제국, 캄보디아 왕국, 라오스 왕국이라는 괴뢰국을 세웠다.


7. 교육



당대에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예과, 전문학교, 대학교 등을 그런 이름으로 불렀지만 패전 이후의 제도 ('신제 고등학교')와 구분하는 의미에서 구제고등학교 등 '구제'를 붙여서 칭한다.
일제의 구 학제는 초-중-고-대 식의 단일 학제가 아니었다. 학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많았다. 또 이름도 자주 바뀌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일본 본토에서는 소학교 6년, 구제중학교 5년, 구제고등학교 3년 또는 구제대학 예과 2~3년, 구제대학 본과 3년 식이었다. 이것을 기본으로 해서 의과대학 본과는 4년, 구제중학교 4학년 수료자는 구제고등학교 합격시 입학 가능 등 몇 가지 예외가 덧붙었다. 사립대학의 경우 학부 코스 (학사 학위, 예과-본과)와 전문 코스 (전문학사 학위)를 두었다. 구제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제국대학과 관립 의과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특례가 있었다.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도 현대 한국과 달랐다. 고등학교는 현대 한국에서는 중등교육기관이지만 일제의 구제고등학교는 고등교육기관이었다. 위의 틀 참조.
구제고등학교나 구제대학 예과에 상당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는 구제대학 전문부, 구제전문학교, 고등사범학교,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도서관직원양성소,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등이 있었다.
일본 육군 장교의 경우 일본육군유년학교, 일본육군사관학교, 육군대학교 출신을 성골로 보았다. 육군유년학교는 응시자격이 만 13~15세, 수험시 학력 불문이었다. 따라서 요구되는 학력 자체는 구제중학교 2학년 1학기 수료 정도였지만 소수의 고등소학교 출신도 합격했다. 유년학교를 나오지 않은 경우 구제중학교 졸업 후 응시했다.


7.1. 조선



조선은 1938년까지는 본토와 제도가 구별되어 있었다. 우선 1920년대 중반 경성제국대학 설립 이전까지는 조선에 있는 학교의 재학연한 자체를 일본 본토와 다르게 했다.

1920년대 중반 이전
1920년대 후반~1938년
초등교육
보통학교 5년
보통학교 6년
중등교육
고등보통학교 4년
고등보통학교 5년
고등교육
구제전문학교 2~3년
구제전문학교 2~3년, 구제대학 예과/본과
여기서 1920년대 중반 이전의 구제전문학교는 관립 전문학교를 말하는 것이다. 보성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등 조선의 사립 전문학교는 당시에는 공식적인 구제전문학교 학위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래서 구제중학교 졸업 수준으로만 인정해주었다. 그리고 당시의 고등보통학교 졸은 구제중학교 졸로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등보통학교 졸업자가 일본의 상급학교에 진학하고 싶으면 구제중학교 4~5학년에 편입학해야 했다. 평양고보를 중퇴한 다음 일본 본토의 중학교에 편입하여 제6고등학교, 도쿄제국대학을 거친 정광현[54]이 그 예다.
경성중학, 용산중학 같은 조선 내에 있는 일본인 학교의 경우 일본 본토와 동일한 학제를 취했지만 조선인의 입학은 거의 불가능했다. 이런 차별이 친일파들에게조차 항의를 불러왔기 때문에 유화책으로서 학제가 개편되었다.
수학년한이 통일된 후에는 조선 내 사립 전문학교도 정식 구제전문학교로 인정받았다. 조선 내 전문학교 졸업생은 경성제국대학 본과 편입이 가능했으나, 경성제대 예과생 출신과 동등한 취급을 해준 것은 아니었다. 일제강점기 조선 내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던 곳은 경성제국대학 뿐이었다. 조선에 있는 구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본토의 제국대학에 진학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방 때까지 조선 내에 구제고등학교를 설치하지 않았다[55]. 대신 경성제대 본과에만 진학할 수 있도록 경성제대 예과를 만들었다. 2년제로 설치해서 나중에 3년제로 늘렸다.
수학연한은 통일되었지만 구제고등학교들은 고등보통학교 졸업장을 구제중학교 졸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인정해주는 경우보다 많았다. 일제 말기로 갈수록 고등보통학교를 막 졸업하고 일본 본토의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예가 많이 늘어났다. 일례로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서돈각은 대구에서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다음 마쓰야마 고등학교에 입학하였고, 역시 서울대 교수를 역임한 민석홍은 서울에서 경기고등보통학교(현재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한 다음 제8고등학교로 진학하였다.
사립대학의 경우 관립학교와는 사정이 달랐다. 조선 내 전문학교를 졸업했으면 바로 대학 본과로 입학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조선인 유학생이 사립대학을 선택한 이유였다.
학력을 인정해주지 않는 것은 단순히 연한이 짧았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조선에 있는 관립 고등보통학교들은 구제중학교보다 훨씬 쉬운 수업을 했다. 농업, 부기, 주산 등 직업교육 (手工)을 두었다. 영어는 성적이 좋은 학생에게만 가르치거나 알파벳만 가르쳤다[56]. 정규 교과 과목은 초보적인 수준에 그쳤다.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 학력을 일본 본토와 통일시킨 것은 1938년이다. 학교의 이름을 일본 본토와 동일한 소학교, 중학교로 통일했고 같은 자격을 부여했다.
조선에서는 고등보통학교만 나와도 지식인 취급을 받았다[57]. 일제 말기에는 국민학교 6년, 국민학교 고등과 2년으로 초등교육이 개편되었는데 국민학교 고등과 졸업자의 절반 이상이 취업하거나 가업을 이었다. 절반 미만만이 상급학교에 진학했다. 그래서 조선인 유학생이 일본에 유학하더라도 전문학사에서 마치는 경우가 많았다[58]. 대학 본과까지 나오는 경우는 관료가 되어 출세하고 싶다거나 학자가 되고 싶어서 가는 경우였다.

8. 일본국 헌법 체제로의 전환


1945년 9월 2일 일본 제국이 항복문서에 서명하면서 대일본제국 체제는 연합군에 의해 철폐되어 제국은 역사적 의미에서 붕괴했다. 천황과 조정은 SCAP에 종속되어 실정적으로는 독립국이라고 볼 수 없게 되었지만, 국제법적 절차를 위해 최소한의 주권이 GHQ에 허락된 명목상의 정부만이 1946년에 일본국 헌법이 공포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포츠담 선언에 명시된 대로 GHQ는 민주화와 인권이 보장되는 신헌법의 제정을 일본 정부에게 요구했다. 형식상으로는 대일본제국 헌법의 개정 절차를 따르고 초안 공표 후에 총선거를 실시했지만 일본에게 명목상의 주권만 있고 사실상의 주권은 없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본 의회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물론 타의성과는 상관없이 민주화와 전시체제 종식을 원하는 일본민중들의 신헌법 지지율은 압도적이었다. 신헌법이 공포된 1946년 11월 3일에 구 일본제국 정부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신헌법이 시행된 1947년 5월 3일에 새로운 일본국 정부가 설립되어 정부를 승계하였다. 그러나 GHQ의 간접 통치는 계속 이어젔으며 샌프란시스코 조약의 발효 전인 1952년 4월 28일까지 일본국의 주권은 제한되었다. 조약이 발효되어 주권이 완전히 회복되고 이후 이러한 절차 덕분에 일본국과 일본제국은 국제법상으로는 동일한 국가로 취급되고 있다.[59]
천황의 주권과 신성성은 완전 부정되었으며 헌법상으로 삼권분립을 명시한 확고한 국민주권국가가 되었다. 따라서 구 일본제국과 달리 신 일본국의 국체는 변화되었으며 정치 체제 역시 새롭게 재탄생되었고, 국호의 변화도 이뤄젔으며, 일본제국 헌법 시대의 법률들은 신헌법의 체제에 합치되는 형태로 완전히 개정되거나 폐지후 새롭게 개정되었다. 정부기관들도 신정부에 맞게 개편되었다. 현재의 일본법에도 구 일본제국의 판도가 문언으로 언급된 부분이 존재하는 등 일제의 흔적이 일부 남아 있다. 일본제국 헌법하의 판례도 폐기되지 않은 한 그대로 승계되었다.

9. 평가


긍정적인 측면도 없지는 않으나 당연히 전반적인 평가는 부정적이다. 일본의 극우세력 정도를 제외하면 세계적으로도 부정적인 평가가 강세이다.[60] 이런 역사적 평가에는 일본 제국이 추축국으로서 파시즘과 제국주의의 선봉에 섰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했다는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일본 제국은 대체로 '아시아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했지만 군국주의와 파시즘의 길로 타락한 국가'로 평가받는다. 일본 제국이 아시아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하고 열강의 반열에까지 진입한 것은 꽤나 대단한 발전이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은 그 이상으로 사상, 사회, 정치의 자유화와 국민 계몽에까지 도달하지는 못했다. 일본 제국은 오히려 신장한 국력을 휘두르며 제국주의, 군국주의, 파시즘의 길로 폭주했다. 그 결과, 엄청난 규모의 전쟁과 학살을 일으켰다. 그러한 폭주의 끝에 일본이 맞이한 말로는 패전과 국가 해체였다.
비록 관료제 아래에서 치밀하고 조직적인 악행을 저지른 나치 독일과 비교해 일제의 만행은 전근대적 국가의 미성숙함에서 온 바가 컸으나 그렇다고 일제가 저지른 수많은 전쟁범죄와 식민지배가 정당화될 수는 없다. 일제가 저지른 민간인 대학살은 그 규모가 나치에 미치지 못할 뿐 잔혹성은 결코 뒤지지 않는다 평가된다.[61][62] 731 부대에서 진행된 비인도적 인체실험 또한 아우슈비츠의 마경에 뒤지지 않는다 평가된다. 난징대학살, 그리고 이를 위시한 전대미문의 학살 명령인 신멸작전 등의 전쟁범죄도 마찬가지다.
일제강점기 당시 식민지배를 받은 국가들은 일본과의 감정의 골이 매우 깊었다. 물론 대만은 당시 일본이 자국의 선진성을 홍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식민지배 정책을 펼쳤으며, 타이완 성 이외의 모든 영토를 잃어버려 강도높은 친미 및 친일 정책을 구사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과 더불어 비교적 빠르게 감정이 회복된 편에 속한다. 한반도의 경우 말할 필요도 없다. 한일관계, 북한/정치, 북일관계 항목 참조. 전쟁 피해국인 중국 본토, 동남아시아 전역의 국가들 및 인도는 이 당시 씻을 수 없는 피해를 입어 마찬가지로 전후 일본에 대한 감정의 골이 매우 깊었으며 이를 회복하기까지 일본의 수많은 원조에도 수십년의 시간이 걸렸다. 다만 이들 국가도 21세기 중국이 남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분쟁에 강도높은 무력행사를 동원하면서 대미 외교창구로서 일본을 의지하였고 최근에는 남중국해에 자위대 군함이 들어갈 정도로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서양인들은 지구 반대편이라 그런지 대부분 이런 일본의 제국주의에 매우 무지하고,[63] 이 때문에 일부 일빠가 일제에 대해 무지한 소리를 하여 논란을 빚기도 한다. 다만 제국주의나 식민지배에 비해 전쟁범죄는 알 사람은 나치의 만행을 알듯이 안다. 이 역사 하나로 반일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다만 일본은 미국 등과 같이 승전국의 지위에 있는 국가들에 대해서만 상당히 적극적으로 과거사를 청산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대만과 동남아 국가들이 장기적으로 중국 견제를 위해 친일 기조로 돌아서면서 현재까지 , 북한처럼 일본을 증오하는 나라는 중국밖에 남지 않았다. 해당 항목 참조. 하지만 현 시점에서의 국가간 관계는 둘째치더라도 당시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부정하는 국가는 '''없다'''.[64] 이러한 국제정세를 바탕으로 일본의 과거사까지 정당화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9.1. UN 헌장의 적국조항


유엔헌장의 '승인 없는 무력 사용의 대상이 되는 국가'와 관련해 일제가 아닌 현대 일본에 대해서까지 '''전범 국가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다.''' 애초에 전범 국가라는 용어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말이다. 다만 2차대전의 승전국에게 적대한 국가들에 대해 책임을 묻는 적국조항(enemy-state clauses, 敵國條項)은 있다.
또한, 이러한 조항은 전후 일본이 사죄 차원에서 국제 사회에 대한 막대한 지원을 행했고 UN에 가입하여 막대한 분담금을 내는 현재에도 건재하다. 비록 일본이 UN의 적국으로 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나, 헌장을 개정하기 위해서는 상임이사국 전원의 동의가 필요하며 이들은 적국조항의 필요성과 별개로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상징으로 해당 조항을 남겨두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특히 2010년대까지 일본을 과거사로 압박하는 중국이 동의할 가능성이 0%이다. 때문에 일본 내 극우파들이 해당 용어의 사용에 불만을 가진다 해도 여전히 남아있는 용어이므로 사용 자체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보아야 한다.
일본의 재무장 이후 적국조항이 군대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 우려하는 일본 내 의견이 있다.

9.2. 전후 일본의 관점


아직도 일제의 망령은 현재의 일본 사회에 짙게 깔려 있다. 한때 일본 제국 시절의 부정적인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교육을 폈던 시절도 있었지만, 1970년대 후반기부터 점차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하더니 2000년대 들어와서 모리 요시로가 집권하기 시작하면서 틀어지기 시작하여 이런 교육을 도게자 교육 또는 암흑사관 등으로 부르며 "역사는 한쪽 측면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든가, "국민의 반 애국심을 키우는 자학사관이다!"라는 어이없는 까닭을 내세운 탓에 현재는 교육 일선에서 이런 내용을 배제하는 출판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물론 이른바 극우 교과서는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지만,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는 점이 경계해야 할 부분.

9.2.1. 일본의 극우 세력


군국주의제국주의를 미화하는 일본 극우 세력이 문제시된다. 니시베 스스무(西部邁(にしべ すすむ)는 이것을 이른바 '''자학사관(自虐史観)'''에 빗대어 자위(딸딸이)사관이라고 비판했다. 대동아 전쟁 긍정론의 일본 우익(세뇌된 넷우익 포함)들에게는 일본의 가장 화려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그들은 일본 제국은 올바른 국가였고, "백인 제국주의 침략으로 노예식민지 지배 상태이던 아시아 나라들의 해방을 위해 싸운 정의롭고 위대한 일본!"이라 믿는다. 그러나 현실은 시궁창으로 소수의 귀족, 소수의 재벌,소수의 군권력자 등을 제외하면 일본 본토 국민들에게도 상당히 괴로운 시기로 소수의 제국주의자 사치와 허영심으로 인하여 일어난 전쟁과 재벌 중심의 경제로 인하여 기본적인 권리도 보장받지 못한 채 살아간 시기다.[65]
고바야시 요시노리는 그의 만화(<전쟁론>, <대동아론>)와 인터뷰 등을 거쳐, "전쟁에서 졌기 때문에 '악', 전쟁에서 이겼으니까 '선'으로 규정했을 뿐이다. 너희들 자식이 싸움 잘하는 골목 대장한테 두들겨 맞고 집에 왔는데 너는 싸움에서 졌으니까 '악한' 놈이라고 자식한테 말할 수 있느냐!"나 "이제까지의 역사관은 이긴 놈들의 논리가 넣어 세뇌한 '자학사관'이다. 일본의 대동아 전쟁은 자랑스럽고 정의로운 전쟁이였다!"라 주장한다. 자기들 자식이 싸움 못하는 동네 애들을 꼬붕으로 부리고 때리고 금품 갈취를 하면서 괴롭히는 걸 골목 대장이 말리니까, 그 뒤통수를 돌로 내리쳤다가 붙잡혀서 얻어터진 사실은 언급도 안 한다. 자기 자식이 골목대장에게 얻어터진 것이 아니라 골목대장인 자기 자식이 금품갈취, 상납, 학대 등을 일삼다가 경찰아저씨한테 걸려 된통 얻어터진 것이라는 사실은 절대 인정하지 않는다(...)
더 가관인 건 일본 제국 시기를 일본의 최전성기로 생각하는 정신 나간 작자들도 있는데, 당연히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비록 일본 제국이 당시 열강의 반열에 들기는 했지만, 여러 모로 근대화 수준에서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미국 같은 당시 서방 제국주의 열강들에 비해 부족한 면도 많았고 국력 면에서도 제국주의 열강 중에서는 하위권에 속했다. 도리어 그 기형적인 규모를 유지하느라 미국에 선전포고할 정도로 궁지에 몰렸다고 보는 것이 정상이다.
당장 2차대전 시기 추축국들의 경제 규모 서열을 봐도 독일, 일본, 이탈리아 순인데 독일은 소련과 동급이고 프랑스와 일본이 비슷비슷하다. 즉 제국주의 열강 중에서는 중하위권에 속했었다는 뜻. 구체적인 숫자로 살펴보면 2차 세계대전 개전 직전 열강들의 본토 경제 규모는 아래와 같았다.[66]
1위) 미국(8,000억 USD)
2위) 소련(3,590억 USD)
3위) 독일(3,514억 USD)
4위) 중화민국(3,205억 USD)
5위) 영국(2,856억 USD)
6위) 프랑스(1,856억 USD)
7위) 일본(1,694억 USD)
8위) 이탈리아(1,434억 USD)
2차대전 직전의 일본의 경제력은 지금으로 치면 브라질, 중국하고 비슷하다 보면 된다. 개개인의 국민소득은 타 열강보다 꽤 뒤쳐졌으나[67] 인구는 엄청 많은 편이라 경제규모가 높게 측정됐던 것. 2차 세계대전 개전 직전 프랑스 본토 인구가 4,300만, 이탈리아 4,400만, 영국이 5,500만, 독일이 6,300만 정도였는데 당장 일본은 자체 인구만해도 독일보다 많아서 7,000만 명에 달했다. 사실상 일본의 본토로 취급되던 한반도, 대만 등지까지 다 합치면 1억에 약간 못 미쳤다. 이정도면 한반도와 대만의 인구를 제외하고도 당시 열강 중에서 일본의 인구는 소련, 미국 다음가는 수준이었다. 현재 브라질이 국민소득은 선진국에 비하면 많이 낮지만 인구가 많아서 경제규모가 큰 것과 흡사하다. 경제순위를 봐도 위의 문단에 나오는데로 2차대전 개전 직전에 일본이 세계 7위 규모였는데, 브라질은 경제가 최전성기이던 2007년에 이탈리아에 상당히 근접한 세계 8위로 흡사하다. 거기에 일정 수준의 공업력은 있지만 원천기술이 부족해서, 핵심 장비와 부품 그리고 첨단 제품은 최상위권 선진국에 비해서 한수 아래라는 점까지 흡사하다.[68]

지금의 중국과 비슷한 점으로는 각각 군사력과 경제력 면에서 아시아 최강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비록 경제적인면도 상당한 수준이라 두국가 모두 세계적으로 보면 1인당 gdp는 서구 선진국들보다 낮지만 많은 인구와 공업력 덕분에 총생산량이 높다. 둘다 서구 선진국보단 못하지만 후진국은 아니었고 라틴아메리카와 비슷한 소득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일본의 gdp는 미국의 20퍼센트 였고 현재 중국(10000달러) 미국(65000달러)로 시기상을 고려하면 국민 개개인도 비슷한 생활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또 둘다 개발도상국이지만 공업위주의 발전을 통해 뛰어난 기술력도 가지고 있다. 중국은 항공우주 기술과 외국기업으로 전수받은 기술이 있으며 일본은 자체적으로 전투기와 무기를 만들정도로 선진국의 턱밑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었다. 주목할 점은 둘다 이러한 국력을 바탕으로 패권주의를 내세워 주변국가를 위협한다는 점이다. 또한 둘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을 적대하며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돌린다는 공통점도 있다. 강력한 전체주의를 내세우는 점 또한 서로 비슷하다.
그리고 일본의 진짜 최전성기는 오직 경제력만으로 미국을 위협하던 1980년대이다.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혹한 패전으로 잿더미가 된 상황에서 한국전쟁 특수로 재건의 발판을 마련했고 이후 1964 도쿄 올림픽1970 오사카 엑스포,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등을 거치면서 폭발적인 고도성장을 계속해서 1980년대가 되면 영국, 프랑스, 독일 심지어 소련까지 넘어서는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된다. '''엔화가 전세계를 휩쓸던 이 시절부터 버블이 붕괴하기 바로 직전까지가 바로 일본의 황금기'''이다. 물론 일본 제국 시기에 쌓아놓은 유무형의 자산이 어느 정도 이 때의 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친 것까지는 부정할 수 없겠지만, 이 문서의 내용을 보면 이 시기를 전성기라고 하는 것은 오히려 자신들의 얼굴에 먹칠을 하는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심지어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일본 제국이 신화상의 일본 건국일인 기원전 660년(...)부터 지금까지(~ 표시로) 있는 것마냥 적어놨다. 일본제국 역사상 처음으로 황제란 말을 쓴 진시황보다 몇백년이나 먼저다. 자기들이 보기에도 코미디 같다고 느꼈는지 몇 번 중립적인 서술도 했으나, 광란에 휩싸인 어린 넷 우익이 지속적으로 공작했다. 그 뒤에는 각주로 그 경위를 살짝 따로 적는 유치한 짓거리를 해놨지만, 이는 명백히 틀린 주장이다.
천황이 아무리 기원전부터 현대까지 황위를 계승(만세일계)했다지만, 일단 초대 천황인 진무 덴노의 실체부터 불명이다. 결정적으로 천황이 일본을 스스로 직접통치 한 기간은 일본사를 통틀어 보면 정말 얼마 안 된다. 즉 일본에서 천황의 의미는 일본 열도의 국가 원수/통치자라기보다 정신적 지주에 가깝다. 일본 역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기간 사이 막부가 일본을 통치했으니, 막부를 일본 정부로 보고 막부의 쇼군을 일본의 국가원수로 봐야 맞을 것이다. 애당초 서양인과 와패니즈도 1800년대 이전의 일본 국가체제를 'Shogunate(막부)'로 부르지 'Empire(제국)'으로 부르지 않는데, 이런 마당에 그런 공작은 웃음거리일 뿐이다. 더군다나 국가의 존속 기간을 따지는 필수 요소인 정식 국명으로 따져봐도 일본국은 일본 제국과 엄연히 다른 나라다. 게다가 일본 헌법의 변화로 일본 스스로 천황을 국체로 규정하지 않는 마당에 이러한 주장은 일본 헌법을 부정하는 코미디다.
결론적으로 일본제국은 대정봉환이 이루어지고(1867) 그 다음해에 왕정복고의 대호령을 내림으로써 에도 막부가 몰락하여 천황이 통치권을 장악한 1868년부터 2차대전의 패전(1945)으로 연합군 통치 시대 도중의 헌법을 개정한 1946년까지 78년간 유지된 것으로 봐야 한다. 제아무리 일본 우익들이 천년 제국이라고 우겨본들 백 년도 존속하지 못한 제국이라는 역사적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9.3. 전쟁 피해자들의 관점


종종 전쟁에서 패배했기 때문에 악의 축으로 낙인찍힌 것 뿐이라며 논점을 흐리는 멍청이들이 보이는데[69][70], 정말 그렇다면 보불전쟁프랑스백년전쟁영국도 악당으로 남았을 것이다. 물론 이 두 국가는 지금까지도 문제를 일으키는 제국주의 국가 였기에 악당이 맞기는 하다. 장 이탈리아는 똑같이 추축국이었으며 파시즘 독재국가로 기억하고 반면교사인 점은 비슷하나, 최소한 일제나치 독일만큼 인간말종으로 여기지는 않는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탈리아에 관해서는 "전쟁 중에 실책만 가득 저지르고 그다지 한 일도 없는 나라"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71] 결정적으로 전쟁에서 져서 악의 축으로 낙인찍혔다는 말이 모순인 게 일본은 가장 빠르게 서구화를 했고 약육강식을 기본으로 한 당시 제국주의 열강의 확장에 가담한 유일한 아시아 국가였다. 더군다나 이러한 제국주의 열광이 본격적으로 식어버린 2차 세계대전의 양대 산맥 중 하나였던 태평양 전쟁의 시작 역시 일본이 시작했다가 패망해 버렸다. 일본 제국이 패하기 전까지 믿어 의심치 않았던 약육강식의 논리에 따르면 일본 제국은 할 말이 없어지는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일제나치 독일은 단지 전쟁에서 져서가 아니라, 그들이 저지른 '''엄청난 전쟁 범죄들 때문에 비난받는다.''' 나치 독일유대인학살했고 집시를 거의 절멸시켰으며, 우생학으로 '열등한' 사람들을 탄압하고 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다.[72] 한편 일본 제국은 의학 발전이라는 미명으로 악마같은 생체 실험을 저지르며 군인들을 위안한다는 명목으로 일본군 위안부라는 것을 만들어 동아시아 각국의 여성들을 취업사기와 강제 납치로 잡아갔고, 점령지인 홍콩, 인도네시아영국, 네덜란드 여성들도 잡아가 성노예로 썼다.[73] 일본 제국이 점령지의 서구권 여성들까지 잡아다 위안부로 썼다는 사실은 명백히 기록으로 남았고, 이는 '''현대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서 서구 국가들에게 제대로 호소하지 못하는 가장 큰 까닭'''의 하나이기도 하다.[74] 심지어 치치시마섬 식인 사건처럼 미군 포로를 술안주로 잡아먹기(식인사냥)도 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어느 호주 노인 여성이 자신 또한 위안부로 잡혀갔었다며, 서구 여성이 영국, 네덜란드인만 잡혀간 게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9.4. 학자들의 관점


좋지 않은 다른 예로 20세기의 일본을 들 수 있습니다. '''일본은 점령한 국가들의 국민들에게 매우 잔혹한 대우를 하였고 정복당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변화시킬 생각이 전혀 없었지요. 일본이 항상 더 높은 곳에 있어야 했고 모든 부와 권력은 자신들이 독차지해야 했습니다. 일본에게 다른 사람들은 피정복민이자 노예일 뿐이었습니다.'''' 반면 로마는 모든 사람들을 로마인으로 받아들였지요.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로마 제국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강대국이었습니다.

아드리안 골드워시 고대 로마 전투/군사 박사.

하지만 20세기 독일이나 일본처럼 하나의 국가, 하나의 민족에만 기초해서 제국을 세우고자 하는 나라들은 실패하였습니다. 반면 몽골, 로마 제국, 영국은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국가 체계의 토대로 삼았으며 성공했습니다.

잭 웨더포드 미국 미네소타 주 매칼래스터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세부 의견에서 차이들은 있지만 일부 학자, 전문가들은 일본 제국에 대해 가혹한 통치, 경직된 일본인 우위의 지배구조를 지적하고 있다.

10. 식민통치의 사죄 및 손실보상의 논쟁


일본은 영국네덜란드필리핀중화민국에 대하여 1940년대에 GHQ의 명령으로 손해배상을 실행했지만, 1951년의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1952년의 중일화평조약(中日和平條約)에 따라 미국과 영국과 네덜란드 및 인도와 호주와 중화민국은 일본에 대하여 손해배상 청구권을 포기했다. 그러나 필리핀인도네시아남베트남미얀마는 끝까지 손해배상 청구권을 고집한 덕택에 각각 따로 화평조약(미얀마와 인도네시아)과 배상협정(필리핀과 남베트남)을 체결했다. 반면에 한일기본조약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의 손해배상 청구권을 전면부정했지만, 한국의 요청을 마지못해 수용한 미국의 압력으로 은행증권보험, 연금예금송금, 주식저축국채에 대하여 손실보상 청구권만 인정했다. 그러니까 한일기본조약에 바탕한 손실보상이 완벽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일본이 아니라 한국의 문제다.[75]
여기서 잠깐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바로 시베리아 억류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태도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소련군은 당시 일본군의 활동영역이었던 만주 및 한반도 북부, 사할린 등지에 쳐들어가 약 64만명 정도의 일본군(일부 '민간인'포함)을 포로로 생포했다. 당대의 국제법에 따르면 이들을 일본으로 송환해야 마땅하지만, 대부분의 일본인들을 송환하지 않았고,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와 북극의 굴라크로 압송했기 때문에 운이 좋으면 2년~4년까지 노역하거나 운이 나쁘면 10년~12년까지 노역했으며, 그 결과 최소한 6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당시 소비에트 연방에 끌려갔던 일본인 생존자들은 나중에야 강제노동에 대한 사과와 손실보상을 요구하였으나 일본 정부는 정식으로 이를 제의할 수가 없었다. 이미 1956년의 일소공동성명(日蘇共同聲明)을 통해 일본과 소련이 다시 수교하는 과정에서 '''손해배상 청구권과 손실보상 청구권을 모두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일본 정부는 어물쩡 시간을 넘기다가 1990년대 소련이 붕괴된 뒤 "1956년에 포기한 것들은 국가(법인)간의 손해배상 청구권과 손실보상 청구권이었지 자국민 개개인(자연인)의 손해배상 청구권과 손실보상 청구권을 포기한 것이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냥 말 그대로 소비에트 연방모스크바 연방정부에 대하여 자연인손해배상러시아 연방민사소송에서 청구할 수가 있다는 것뿐이니(패소할 확률이 99%) 틀린 말은 아니긴 하다.
또한 한국은 전후 청산에서 승전국이 아니라 '''추축 부역국'''(정확히는 자의든 타의든 부역한 전적이라도 있다면 포함된다. '특별 상태국'이라고도 함. 특별 상태국의 다른 예로는 겨울전쟁핀란드가 있다.) 이었는데 이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준거하며 자세한 경위는 해당 항목을 참조. 냉전 구도에서 공산진영을 포위할 동아시아 경제 블록을 구축하기 위해 미국은 한국과 일본의 국교 정상화를 추진하였으나 이마저도 각국 정부의 입장 차이로 사실상 수년간 방치되어 있었다. 1953년 3차 회담에선 일본 대표인 구보타는 "일본 측도 (한국에) 보상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왜냐하면 일본은 36년간 벌거숭이 산을 푸르게 바꾸었다든가, 철도를 건설한 것, 수전(水田)이 상당히 늘어난 것 등 많은 이익을 한국인에게 주었다."라 발언하거나 "일본이 조선을 점령하지 않았더라면 중국이나 러시아에 점령당해 더 비참했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한국을 자극하였다. 다만 실제로 일본이 주장한 역청구권은 일본의 일방적 주장이 아니라 제3자인 GHQ도 당시 가치로 60억 불을 산정하는 등 그 실체가 없다고는 볼 수 없었으며, 일본의 국가재산 뿐만 아니라 일본인의 사유재산까지 한국에 불하한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점령군은 적지의 사유재산에 손을 댈 수 없다는 헤이그육전규칙 제 46조를 위반하였다는 일본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었기에 합의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었고, 이후 답보 상태를 거듭하던 배상 문제는 한국에서 쿠데타가 발생해 박정희가 집권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이후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어떻게 흘러갔는가에 대하여 한일관계 항목을 참조하라.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손해배상 청구권을 전면부정하고 손실보상 청구권만 인정했다. 그 뒤에 일본 정부는 동아시아 각국에게 수많은 ODA를 제공했다. 일본의 원조들 가운데 규모가 큰 몇가지를 특기하자면 공적개발원조(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와 아시아 여성기금(Asian Women's Fund) 등이 있는데, 이러한 원조를 받은 동남아권의 전쟁 피해국들은 반일 감정이 비교적 약한 편이다. 또한 이들 국가는 일본 정부의 노력과 별개로 '''21세기 들어서 다시금 대두된 중국의 팽창 때문에라도''' 친일 기조로 돌아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중국이 남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분쟁에서 무력시위를 동원하며 갈등을 노골화하자 배트남이나 인도네시아는 미국을 비롯한 서구 열강을 통해 이를 견제하고자 했는데, 일본이 이런 국가들을 대상으로 대미 외교창구 구실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동중국해 영해분쟁에 미국이 개입한 배경에도 일본의 중재가 컸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후에는 심지어 '''자위대 군함이 직접 남중국해에 행차하면서 중국을 견제하기도 했을 정도'''다. 이런 문제가 아니더라도 어쨌든 '''미국(+일본)이 있어야 중국을 막는다'''라는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앞으로도 동남아 국가들은 일본에게 우호적일 수밖에 없다. 애시당초 동남아 일제 전쟁피해국들의 GDP를 긁어모아도 일본의 GDP에도 미치지 못하니 이러한 인식은 냉정한 현실인식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 문서의 내용은 일종의 요약본이며 손해배상손실보상에 대하여 한일기본조약 항목에서 조금 더 많이 언급하고 있다, 그 뒤의 한일관계의 흐름은 시계열 순으로 한일관계 항목에서 서술하고 있으며, 전범기업의 스탠스에 대해서는 미쓰비시그룹 항목 참조. 하시마 섬 강제노역의 수혜자이므로 사실상 전범기업의 대표격이다.


11. 대중 매체에서의 일본 제국


나치 독일과 함께 2차 대전 배경 작품의 단골 악역으로 등장한다. 플레이 가능한 진영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라이징 스톰, 배틀필드 V,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커맨드 & 컨커: 레드 얼럿 3[76], Hearts of Iron 시리즈 등이 있다. 가끔씩 선역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매체는 당연하게도 대제국, 감벽의 함대 등의 일본산 극우 미디어물이 대부분이며, 적이 외계인, 좀비라도 되지 않거나 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말하는 작품이 아닌 이상[77] 이상 상식적으로 나치 독일과 함께 선역 배정은 불가능하다.
일제가 항복하기 전날 항복을 반대하는 군인들의 쿠데타인 궁성사건이 일어났는데 이를 묘사한 영화가 일본 패망 하루전이다.
2010년대 들어서 일본의 우경화가 심각해지기 시작한 이후로는 웹소설 등 비교적 서구권 국가의 눈에 띄기 어려운 매체를 중심으로 은근히 일제 미화가 진행되고 있다. 역사 속 일본제국 그 자체를 대놓고 정의의 사도로 묘사하는 작품은 아직 드문 편이지만 통치체제나 구성, 성립배경 등이 (극우들이 주장하는) 일본 제국과 거의 똑같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과거에는 그냥 적국이었다면 지금은 연합군이나 일본군이나 똑같았다던가 일본군보다는 독일군이 더 악이었고 일본군은 어쩔수 없이 살기위해서 독일편을 들었다던가 등등이다.

12. 관련 문서



12.1. 일본의 동맹국(추축국)들


※ 일본 제국의 괴뢰국들도 동맹국 취급이 가능하나 이들은 아래에서 서술함.

12.2. 일본의 괴뢰국들




12.3. 일본의 전쟁범죄




12.4. 기타




13. 관련 사건



[1] 직역하면 어서문(御誓文; 고세이몬)으로 '임금이 서약하는 글'이라는 의미가 된다. 메이지 천황이 1868년 4월 6일에 공포했다.[2] 전세계가 하나의 집이라는 뜻으로, 대동아공영권 등 당대 일본 제국의 확장주의(팽창주의)를 상징했다.[3]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 그 해 9월 2일에 연합군이 일본 제국을 점령하였지만 법적으로는 전후 처리를 위해 아예 멸망시키지는 않았으므로 일본국 헌법을 공포한 1946년을 제국의 종결로, 시행한 1947년부터를 오늘날 일본의 시작으로 봐야 한다.[4] 일본 열도,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류큐 제도), 미군정 조선(한반도 38도선이남), 소련군정 조선(한반도 38도선이북), 소련군정 만주(만주), 중국(중화민국 영토 반환), 소련(사할린 남부), 미국 신탁통치령 태평양 제도[5] 왕정 복고 전까지는 헤이안쿄로 불렸으나, 1868년 왕정 복고와 동시에 칙령으로 헤이안쿄의 행정 및 치안 업무를 담당하는 교토시내 단속청(京都市中取締役所)을 설치하고 같은 달에 이를 교토 재판소(京都裁判所)으로 개칭하였으며, 같은 해 부현제를 시행하면서 이를 교토부로 재차 개칭하였다. 참고로 오늘날 교토부의 영역은 1871년에 있었던 폐번치현1871년, 1876년에 두 차례에 걸친 부현 통합으로 주변의 여러 들이 교토부에 병합되면서 확정된 것으로, 일본의 1000년 도읍 헤이안쿄의 영역은 교토부 전체가 아닌 교토시로 한정되어 있다.[6] 1869년 5월 9일(음력 3월 28일)에 천황이 도쿄로 재행(再幸)하여 도쿄성을 황성으로 개칭, 태정관을 도쿄로 옮기고 교토에는 유수관을 설치한 것으로 도쿄 전도(奠都)가 완수되었다. 이름의 경우 도쿄 전도 이전인 1868년부터 이미 칙서(江戸ヲ称シテ東京ト為スノ詔書)를 통해 에도에서 도쿄로 이름이 바뀐 상태였다.[7] 도쿄도제 시행으로 명칭만 변경되었으며, 영역은 유지되었다.[8] 본토와 식민지만 포함한 면적.[9] 식민지뿐만 아니라 괴뢰국들도 포함한 면적, 최대 강역[10] 흔히 당시 일본 인구를 두고하는 '1억 옥쇄' 운운하는 관용구가 여기서 유래. 일본 내지(73,000,000 명 이상)와 조선, 대만, 그 외 태평양 도서 속령(남양군도 등)을 포함했다.[11] 표면적으로는 제국 헌법에 의해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었으며 국가신토는 종교가 아니라고 천명하였으나, 비교종교학적 측면에서는 종교의 성질을 띄고 있었다. 불교를 제외한 이교 신자는 비국민으로 매도당했으며, 정부의 압제에 의한 국교적 위치가 강요되었다. 당시 국가신토와 불교의 관계가 조선 시대 유교와 불교의 관계와 비슷할 정도이니 말 다했다. 이는 도쿄대학 문학부 명예교수이자 종교학자인 야나가와 케이이치(柳川啓一) 교수의 주장과도 상동하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신토 문서 참고.[12] 한반도, 타이완, 홋카이도(및 쿠릴열도 일부), 남사할린, 기타 태평양 소재 군도 등.[13] "The Diplomatic History of Postwar Japan" 1st Edition. Makoto Iokibe, 1999. ISBN-13: 978-0415498487. ISBN-10: 0415498481.[14] 타이완, 만주,쿠릴열도 북부지역,사할린섬 남부지역 등등[15] 이 시기부터의 일본 제국이 일본 내에서도 부정적으로 평가되기 시작하는 부분이다.[16] 일본어 발음은 '다이닛폰테이코쿠'[17] 당시의 공문서같은 것을 보면 스스로를 그냥 '제국'이라고 칭한 경우도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1941년 진주만 공습 당시 미국 정부에 전달된 선전포고문 일본어 문서에는 '제국정부는..." 하는 식으로 표현된 부분이 있다.[1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참조[19] '일본 제국주의 시기 고고학 조사의 다양성과 평가', 한국상고사학회 이기성, 2018[20] 왕조나 국호가 자주 바뀌어오다가 20세기 중반 들어서 현재 살고 있는 국가와 국호가 만들어진 한국이나 중국과는 달리 일본은 왕조도 고대부터 현재까지 그대로이고 국호도 794년 이후로 계속 일본이었던 만큼, 여러모로 한국인이 조선이나 고려 등등을 딴 나라라는 쪽으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는 많은 옛 시대들의 일본도 그냥 일본이라고 지칭하면서 현대 일본과 자연스럽게 이어서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21] 메이지 유신 때 일세일원제가 채택되었기 때문에 메이지 시대부터 이런 일이 가능해졌다.[22]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도 일본의 역사 문서에서 에도 시대 이후는 메이지 시대, 다이쇼 시대, 쇼와 시대, 헤이세이 시대, 레이와 시대 식으로 설명하며, 대일본제국 문서에서는 "1868년부터 1947년까지 존재했던 국가"라고 하면서도 본문에서는 "대일본제국이란 일본의 국호 중 하나로 에도시대 말기에 외교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하고 1946년경까지 공식 사용되었다. 또한 국호를 '대일본제국'으로 정한 법률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일본의 호칭 또는 대일본제국 헌법 하의 일본 호칭 중 하나로 취급된다."라는 식이다.[23] 대한제국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Empire of Dai han 또는 Greater Korean Empire을 표방했으나 역시 Korean Empire로 통용되었다.[24] 한국의 자국 명칭은 '대한민국'이지만 외국에서는 '대한민국'이란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25] 1999년까지 법률로 국기가 지정되지 않았다.[26] 사실 정자로 쓰고 '幕藩體制(막번 체제)'라고 읽는 게 딱히 틀린 용법은 아니지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한국어 맥락에서의 정자체(구자체) 體 대신 신자체 体를 쓴다. 과거에는 일본도 전자로 쓰긴 했다. 또한 체제의 이름 역시 고유 명사에 가까우므로, 신자체로 쓰고 '바쿠한 체제'라고 읽는 게 좀 더 정확하다.[27] 볼모를 보내고 그친 게 아니라 번주가 에도에 주기적으로 와야 했다. 그 이동에는 당연히 막대한 비용과 엄청난 시간이 들었다.[28] 일본은 왕통의 교체는 없다시피 했지만, 도무지 중앙 집권이 되지를 않았다.[29] 다이묘(번주)들의 '영지(領地)'와 '영민(領民)', 즉 '판적'을 천황에게 반환.[30] 지방 통치를 담당하였던 번을 없애고 그 자리에 중앙정부가 통제하는 부(府)와 현(縣)을 설치.[31] 여의도의 면적이 약 87만 평.[32] 당시 프랑스스페인의 시스템은 1인 독재이어질 가능성이 컸고 , 대영제국국회에 주권을 너무 많이 넘겨주는 것으로 판단됐고, 미국은 너무 급진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프러시아 헌법을 모델로 삼은 것이다.[33] 특히 농업의 소작 계약을 예로 들면 이렇다. 땅주인인 지주와 땅을 빌려서 농사를 짓는 소작인을 두는 형태가 소작이다. 프랑스 민법의 경우 땅을 빌린 소작인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소작권을 인정받아, 자기 땅이 아닐지라도 지주에 의해 농사를 짓고 있는 땅이 함부로 처분될 수 없었다. 그러나 메이지 정부가 프랑스 것을 본받아 일본민법을 재정할 때는 이 항목을 제거하고 지주의 처분권만 남겨두었다.[34] 여성 투표권은 1945년 종전 직후에 주어졌다.[35] 주간 동아 기사 http://weekly.donga.com/List/3/all/11/63344/1 여담으로 이 기사에서 언급된 마스조에 요이치 소장은 이후 도쿄도지사를 역임하기도 했다.[36] 보신전쟁서남전쟁으로 그 당시에 성행하던 지역주의에 대한 대책으로 내놓은 것이 국가주의를 교육에 몰빵한것이다. 국가신토에서 "일본인은 세계에서 가장 우월하다," "일본 열도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땅이다"라고 지랄을 해대니 얼마나 세뇌가 심했을지 알만하다. 그리고 사실 사라졌다고 하기도 뭐하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이전까지는 조슈파의 권력독점이 횡행했기 때문이다.[37] 메이지 덴노에게 헌법이 적힌 서류를 받고 있는 인물은 당시 내각총리대신인 구로다 기요타카로, 이렇게 군주가 신하에게 하사하는 형식의 헌법을 흠정헌법이라고 한다.[38] 일본의 건국기념일이기도 하다.[39] 근대화에 실패한 개화파 등이 식민지화에 앞장섰다.[40] 현재는 90~100세 초중반이다.[41] 일명 1927년의 쇼와금융공황과 30년의 쇼와공황. 이 둘은 다른 사건이지만 연결되어 있다. 전자는 본 기사를 참고하고 후자는 금해금 문서 참고. [42] 일본이 보유한 식민지들은 여타 유럽제국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들과는 성격 자체가 달랐다. 유럽지역의 식민지들은 공업 개발이 미약했던 반면 풍부한 원자재 공급처였기 때문에 원자재를 가져와 본국에서 제품을 생산한 뒤에 다시 되파는 돌려막기로 어느 정도 근근히 버텨나갈 수 있었지만 일본의 주요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은 정치/군사적 목적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이러한 돌려막기가 어려웠고 오히려 본국의 재정을 빨아먹어 손해만 내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조선을 병합한 뒤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직후 그해 1년 예산의 90% 이상이 경성(한양)의 상/하수도 기반시설 설치에 소요될 정도였다. 이 당시 경성(한양)의 상/하수도의 열악함과 불결한 위생상태는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기록에 잘 나타나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했다.[43] 이때 일본은 석유 수출의 90% 이상을 미국에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의 최후통첩으로 간주했다.[44] 일본 제국은 진주만 공습 전 선전포고라고 볼 수 없는 공문을 보냈으나 주미일본대사관이 암호화 된 공문을 해독하여 문서화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고, 미국 정부에 전달했을 때는 이미 미국 전역에 일본의 공습이 보도된 이후였다.[45] 일본군의 육해군을 가리지 않는 병크와 병맛의 극치 때문에 저평가되는 면이 있지만, 이 당시 일본 해군의 전력만은 무사시나 야마토와 같은 대형 전함부터 미군도 위협적으로 여기던 쇼카쿠와 즈이카쿠와 같은 항모의 존재 등 나름 한끗발 나갔다. 문제는, 이러한 전함이나 항모들을 운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석유를 물주인 미국과의 전쟁을 통해 절대적인 석유부족에 시달렸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나구모 주이치와 같은 지휘관들이 하나같이 삽질만 해대는 똥별이라서 이런 전력을 제대로 써먹지도 못했다. 이 때문에, 야마토는 '야마토 호텔' 이라는 드립으로 후세에 비웃음이 될 정도로 제대로 굴리지도 못하고 격침되었고, 후에는 제공권과 더불어 제해권까지 싸그리 미국에게 뺏긴 채 영향권을 상실하고 말았다.[46] 이 당시 미국은 서부전선이 어느정도 안정되자, 항모를 1달에 1척씩 뽑아대고 순양함을 1주일에 1척 씩 뽑아내는 쇼미더머니를 보여주었고, 미국은 이러한 공업력과 제대로 돌아가는 군대를 바탕으로 일본을 짓밟기 시작했다. 이 당시 미국의 공업력은 전 세계를 상대로 전쟁을 해도 버틸 수 있을 정도의 압도적인 생산량을 자랑했다.[47] 당시 육군항공대[48] 이 전쟁에서 일본이 조금이라도 승산을 가지려면 진주만 공습 직후 중국 쪽 전역을 포기하고 태평양 전선에 모든 전력(특히 항공모함)을 총동원해 제해권 자체를 점탈했어야 했다. 게다가 어디까지나 '''승산을 가지기 위해서'''일 뿐, 그렇게 한다고 해서 전략적으로 완전히 이길 가능성은 높지 않다.[49] 1944년 대륙타통작전으로 화중, 화남의 영토가 중국 전선에서 최종적으로 추가되었으나 그땐 버마와 필리핀에서 밀리고 있어서 최대 영토는 아니다.[50] 참고로 태국은 당시 추축국의 일원이긴 했지만 명목상으로 주권국이었으며 일본 제국의 점령지가 아니었다. 다만 당시 상황을 봤을 때 사실상 추축국에게 대항했다면 바로 점령 당했을 것이다.[51] 1942년을 기준으로 일본의 GDP는 미국의 6분의 1, 독일의 절반에 약간 못 미쳤고 영국과 소련이 일본의 약 2배에 달했다. 그 외 프랑스나 이탈리아보단 일본의 GDP가 조금 높았다.[52] 출처: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an Overview in Mark Harrison(1998), 10[53] 청과 일본이 합의를 이루어 맺은 조약으로, 한 국가가 조선에 파병시에는 다른 국가도 동시에 파병할 수 있다는 내용.[54] 윤치호의 사위.[55] 대만의 다이호쿠제국대학의 경우 처음에는 예과 대신 대북고등학교를 설치했는데,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이 일본 본토에 있는 제국대학으로 진학했다. 그래서 고등학교를 폐지하고 대북제대 예과로 바꿨다.[56] 화학자 이태규고등보통학교까지는 조선에서 나왔는데, 거의 매 학기 수석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알파벳을 다 알지 못 했다고 한다.[57] 야인시대의 김영태를 보면 된다.[58] 'XX대학 전문부 졸업' 같은 식이다.[59] 정부 체제와 국내법 질서가 완전히 변경되었음에도, 일본국의 주체성은 일본제국과 동일하다. “정부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국가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orma regiminis mutata, non mutatur civitas ipsa)라는 국제법의 원칙이 있기 때문이다.[60] 현대 일본에 대해서는 친일 성향인 미국이나 영국 등 서방에서도 일본 제국에는 기본적인 논조가 부정적이다. 이는 해당 국가들의 역사 교과서 등을 확인해보면 알 수 있다.[61] 그나마 서부전선에선 동부전선에 비하면 신사적으로 전쟁을 벌인 나치독일에 비해 일본은 식민지는 물론이고 전선을 가리지 않고 살인귀처럼 행동했다.[62] 물론 동부전선에 비해서 신사적이었다고 나치독일의 만행이 서부전선에서 전무한 것은 아니다.[63] 대표적으로 유튜브에서 나치독일이나 이탈리아의 2차대전 군가, 영상들은 경고를 달거나 댓글을 차단하는데 비해서 일본제국 미화와 관련된 내용은 대응이 훨씬 약하거나 아예 없는 경향이있다. 인터넷의 보급과 그 파급력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카미카제 특공대나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을 '멋지게' 바라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있다. 인터넷을 통한 이런 경향은 인터넷 이전 시대와 비교했을 때 동아시아의 미래에 있어 매우 매우 위험한 잠재적 폭탄같은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이다. 실제로 서양의 혐한 중에는 일본제국에 대한 미화와 환상에 빠져서 대한민국을 일본의 과거를 트집잡아 괴롭히는 더러운 놈들이라는 착각에 빠진 부류들이 적지 않다.[64] 친중국가들 중에서도 중국의 지나친 팽창주의를 지지하는 국가는 사실상 없는 것과 비슷하다.[65] 심지어 종전 후에도 냉전 특수로 인해(자세한것은 트루먼 독트린참조.) 재벌들은 주요 기술을 승전국에 제공하고, 고위 관료, 장군들 역시 731부대의 실험 자료와 다른 자료들을 비밀리에 전부 넘긴 뒤에 살아남았다. 기존의 재벌그룹은 해체됐지만 전후 다시 만든 재벌들에게 적용되는 조항이 아니었기에 대부분 그럴듯한 그룹을 새로 만들어 회장 노릇을 계속 하고 있기도 하다. 어느 분이 줄창한 일본 쑥밭론(...)에 의해 죽어나간 일본 국민들을 생각하면 천인공노할 노릇.[66] 다만 저 중에 중화민국은 웬만해서는 주요 열강으로 취급하지 않는다.[67] 2차대전당시 주요 열강중에서 일본의 국민소득은 소련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었다.[68] 예를 들어 일본제국은 항공기 엔진을 만들 수는 있었다. 하지만 영국과 미국에 비하면 엔진 기술이 떨어졌기 때문에, 군용기의 중량을 늘리는 것에 심각한 제약이 있었다. 그 결과물이 한두방만 맞아도 터져나가는 물장갑의 제로센이었다. 현재의 브라질도 제조업은 있지만, 항공기 제조사 엠브라에르 같은 몇몇 기업을 제외하면 그 품질은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등에 비하면 한단계 아래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브라질 경제는 몇몇 품목의 농축산물(ex.커피, 소고기..) 국제 시세와 석유, 철광석, 고무 등 원자재 수출에 좌지우지된다.[69] 재미있게도 나치 독일에 대해서도 똑같은 주장을 하는 이들이 있다.[70] 정말 그렇게 욕을 먹는 국가를 찾아보자면 강압적으로 추축국에 가입했고 전쟁범죄에서도 깨끗한 불가리아 왕국 정도가 있겠다. 또는 소련 때문에 2차대전으로 끌려간 핀란드 정도.[71] 이탈리아군도 마냥 깨끗한 것만은 아니지만 최소한 국가나 군대가 주도해서 대량학살극을 저지른 나치 독일이나 일제에 비하면 훨씬 양호하다. 워낙 세력이 미약했기 때문에 악행이나 전쟁범죄도 연합군의 전쟁범죄와 비교해도 무리가 없을 수준이다.[72] 독소전 당시 학살당한 소련 민간인이 천만 단위다.[73] 다만 영국, 네덜란드 또한 해당 지역을 식민지로 삼으려 진출했던 것이기 때문에 순수한 피해자였던 한국, 중국 등의 위안부 피해자들과는 다소 논점이 다르다. 물론 전쟁범죄, 그것도 성범죄라는 점은 변하지 않기에 일본이 대차게 까이는 건 마찬가지다.[74] 실제로 일본은 동양인 위안부에는 그런 것 없었다느니 사실은 매춘부였다느니 당사국 간의 문제라느니 온갖 개드립과 회피술로 일관하는 반면, 네덜란드 등 서양인 위안부에는 저자세로 굽실굽실거리는 이중적인 모습이라서 비난을 받는다. 물론 제대로 된 사과는 하지 않고 있기에 영국, 네덜란드는 이들을 절대로 용서하지 않는다.[75] 여기서 손해배상(reparation)과 손실보상(compensation)은 알맹이가 비슷하나 법학의 관점에서는 다른 개념이다. 예를 들어 유대인 학살에 대하여 손해 배상금을 지불한 서독의 연방정부가 징발징용에 대하여 손실 보상금을 지불한 이유를 생각해 보라.[76] 이쪽은 욱일 제국으로 패러디됐으며, 처음 공개 때는 일제 미화 논란이 있었으나 점점 자료가 나오면서 노골적인 병맛 넘치는 개그 캐릭터 진영으로 희화됐음이 밝혀져서 논란이 가라앉았다.(정확히 욱일 제국은 자기들은 나름대로 진지하나 제 3자가 보기에는 우스꽝스럽기 짝이 없다.) 레드얼럿 시리즈는 2편부터 모두 개그캐릭터로 나오기에 욱을 제국도 예외는 아니다.[77] 이런 작품에는 간간히 일본군과 군인 개인이 선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가 대표적. 심지어 일제강점기가 배경인 한국 창작물도 일본 제국의 소위 높으신 분들을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것과 별개로 일본인 개인들 중에서는 선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